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주영 Jan 05. 2024

퍼블리 기고 후기

지난 여름엔, 브런치북 [프로덕트의 판을 키워라] 를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 나의 크고 작은 결과물들과 치열했던 의사결정 과정들을 복기할 수 있어서 나의 커리어 정리와 사회적 정체성 확인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 이후에는 퍼블리에 2편의 아티클을 기고하게 되었다.

퍼블리에서 사업개발/영업 관련 저자를 찾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지원하였고, 바로 연락이 닿아 글을 쓰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첫 번째 글은, 초도 미팅을 성사시키는 법에 대한 내용으로, 담당자의 상황/직급/컨택하는 채널 별로 서로 다른 작전을 펼치는 상세한 테크닉을 소개했다.

https://publy.co/content/7360


사실 사업개발/세일즈 경력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이라면 많은 부분 알고 있는 내용일 수 있다. 하여 이러한 글이 과연 얼마나 도움이 될까 의심이 들기도 했지만, 사수가 없거나 누군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 일하는 주니어들 대상이라 생각하고, (실제 '퍼블리'는 사회초년생부터 신입팀장까지를 공략하는 듯하여) 굉장히 구체적인 노하우를 담을 수 있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많은 이들이 이 글을 빠르게 읽어주었다. 당시 퍼블리에서 내 콘텐츠로 광고도 내보내 주시고, 그 영향인지 얼마간 퍼블리 내 1위도 차지했다. 또한 반응(만족도)도 현재 83%로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페북에 나간 광고
당시 저장해 놓은 이미지는 없고 스토리에 올린 것만 찾았다.




첫 번째 글이 나가고 얼마 안된 시점에 두 번째 글에 대한 제안이 왔다. 이번에는 사업담당자들이 주로 쓰는 메일 템플릿을 요청하셨다. 처음에는 '아니 뭐- 그런 글을 누가 읽지? 사업개발 메일이 뭐가 다르다고?' 하는 마음이 들기도 했으나, 주니어들은 이러한 글에 대한 니즈가 크다는 콘텐츠 매니저님의 설명을 믿고 한번 써보기로 했다.


나의 과거 메일과 우리 팀원들이 썼던 메일을 참고하며 몇 가지 (콜드컨택, 미팅 후 팔로업 상황, 리마인드 등) 상황 별 메일 템플릿을 뽑아냈다.


그렇게 만든 콘텐츠가 이것이다.

https://publy.co/content/7400



이러한 메일 템플릿은 생성형 AI가 일상화되기 전 마지막 유물 같은 것이겠지만, 고맙게도 많은 분들이 읽어주셨고, 이것도 얼마간 1위를 차지했다.


감사할 따름이고요-



퍼블리에 두 번의 기고를 하면서 콘텐츠 매니저님을 포함한 퍼블리의 직원들은 굉장히 잘 분업화된 환경에서 체계적으로 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나의 경우 콘텐츠는 대부분 머릿속에서 있는 상황이었지만, 콘텐츠 매니저님과 해당 콘텐츠 결과물에 대한 기대치를 맞추기 위해 기획서를 작성하는 등 몇 번의 필수적인 작성 과정을 거쳐야 했다. 하지만 큰 수정이나 방향 변경 없이 빠르게 진행되어 최초 논의부터 발행까지 총 4-5주 정도 걸린 듯하다. 모든 단계는 매끄러웠고 커뮤니케이션도 편안했다.


내 커리어에 비해 글이 다소 소소하고, 지엽적이지 않나 싶기도 했고,

막상 10페이지가량의 문서를 쓰는 과정에 물리적인 시간이 꽤나 들었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즐거운 시간들이었다.



작가의 이전글 유인나 목소리가 책이 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