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골목길 경제학자 Oct 25. 2021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는 진정성 비즈니스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표방하는 기업, 산업의 경쟁력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의 경쟁력은 ‘진정성에 기인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 진정성은 어디서 올까? 역사성과 지역성을 주목한다.


이케아의 심플 라이프, 스타벅스의 어반 라이프, 애플의 이단아 주의는 각각 서구에서 대안적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은 보헤미안, 힙스터, 히피 문회에서 유래한다. 역사적 대표성이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한 것이다.


라이프스타일의 지역성 또한 중요하다. 이케아, 스타벅스, 애플 모두 자신이 창업한 지역에서 기업이 표방하는 라이프스타일 생태계를 구축했다. 지역에서 뿌리내린 라이프스타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생활화된 라이프스타일이다.


기업 사례뿐 아니라 최근 주목받은 라이프스타일의 유래만 거슬러 올라가 봐도 이 ‘지역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힙스터, 빈티지, 인디 문화는 뉴욕과 캘리포니아, 웰빙, 비건, 그린 라이프스타일은 캘리포니아, 휘게, 라곰 라이프스타일은 북유럽, 미니멀, 심플 라이프스타일은 캘리포니아와 일본이 고향이다. 각각의 라이프스타일이 시작되고 산업화된 지역 또는 국가가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그런데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 생산과정에서 지역성만 갖추고 있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그 안에는 ‘진정성’을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라이프스타일이 소비자가 체험하고 수용하길 원하는 '진짜' 라이프스타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에서 먼저 상품화된 라이프스타일이 캘리포니아 라이프스타일로 다른 지역에 수출되는 것이다. 캘리포니아에서 성장하고 활동하지 않는 기업이 캘리포니아 라이프스타일을 파는 것에 성공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제 시리지를 정리할 시간이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려면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기억해야 한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의 관건은 첫 번째, 지역성, 즉 지역 생태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지역에 이미 존재하는 생태계를 활용하지 않더라도 사후적으로는 지역에 로컬 소비를 통해 충분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다른 지역에 수출할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를 육성할 수 있다.


두 번째, 라이프스타일의 지속성을 강화하는 일이다. 지역에 라이프스타일 생태계를 구축한 후 소비자와 함께 호흡하고 동행해 더 열정적인 팬층을 확보함으로써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세 번째, 라이프스타일을 기업 문화로 내재화하는 일이다. 창업자와 더불어 조직 전체가 기업이 표방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해야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이중 제일 중요한 성공 요인은 홈마켓 생태계다.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는 공통적으로 홈마켓 생태계를 통해 진정성을 강화했다. 나이키, 이케아, 스타벅스, 애플 모두 자신이 탄생한 도시에 소비자, 생산자, 기술자, 투자자가 참여하는 라이프스타일 산업 생태계를 구축했다. 포틀랜드의 아웃도어 산업, 시애틀의 커피 산업, 스몰란드의 디자인 산업, 실리콘밸리의 스마트폰 산업 생태계가 각각 나이키, 스타벅스, 이케아, 애플이 조성한 생태계다. 기업이 구축한 산업 생태계 덕분에 홈마켓 도시가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업과 브랜드를 배출한다.


산업 생태계는 또한 기업의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관련 인재와 산업의 집적으로 얻을 수 있는 규모와 범위의 경제가 직접적인 경제적 혜택이다. 라이프스타일 생태계는 또한 라이프스타일 마케팅에 중요한 테스트 마켓, 브랜드 전시장, 플래그십 스토어를 제공한다. 가장 큰 혜택은 진정성이다. 라이프스타일 기업이 추상적인 라이프스타일이 아닌 홈마켓 도시에서 광범위하게 생활화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기업의 라이프스타일 산업 생태계는 신규 진입 기업이 넘기 어려운 장애물이다. 한 도시에 뿌리내린 기존 기업의 생태계를 다른 도시에서 복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라이프스타일 산업에 도전하는 신규 기업은 기존 기업과만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업이 생태계를 구축한 도시와 경쟁해야 한다. 포틀랜드의 아웃도어 산업, 스몰란드의 가구 산업, 시애틀의 커피 산업, 실리콘밸리의 스마트폰 산업이 지배적 위치를 유지하는 이유다.


한 지역에서 그 지역의 지역성과 결합한 고유의 콘텐츠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그곳에서 다른 기업이 복제할 수 없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의 본질이다.



이전 11화 실리콘밸리도 라이프스타일 산업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