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티 피플은 아주 간단히 말하면 액면가 그대로 50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이다. 처음 소설을 읽을 땐 당황하면서 책장을 넘기게 된다. 분명 괜찮다고 추천도 받고, 평도 좋은데, 이 소설의 독특한 서술 방식 때문에 초반부엔 내가 제대로 읽고 있는 게 맞는지 싶다. 이 소설은 으레 우리가 알고 있는 직선의 방식으로 서사가 전개되지 않는다. 총 50개의 이야기에선, 각 장마다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며, 그 사람들의 시선을 따라가거나, 혹은 그 인물 자체가 조명되면서 장이 마무리된다.
소설의 구조가 그렇다 보니, 이 소설은 "인물"이 특정한 사건을 쫓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독자"가 어떤 사건이 발생했는지를 더듬거리면서 읽게 된다. 독자도 소설 속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공평하게 무슨 사건이 벌어질지, 또 무슨 이유로 이 사람들을 다 호명하는지 영문을 모른다. 단지 인물과 인물의 관계에서 교집합이 생기거나, 앞 장에 나왔던 비슷한 이야기가 뒤에 나왔을 때 큰 이야기의 줄기를 가늠할 수 있는 정도다. (하지만 결국엔 실패한다)
그런 점에서 보자면, 이 소설은 독자까지 51번째 주인공으로 소설이라는 무대 위에 등장시켜서 우왕좌왕하게 만드는 거 같다.
파편적이던 이야기 조각은 결국 마지막 지점에서 한 곳으로 귀결되면서 폭발한다. 수 십 명의 이야기가 농축돼 있던 만큼,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는 여운이 짙다. 꼭 마지막 장까지 다 덮고 나서야, 이 소설이 무엇에 의해서 쓰였는지, 무엇을 말하기 위해서 쓰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니까, 이 소설에서 중요한 건 마지막 지점에 이르러서 발생하는 특정한 "사건"이 중심이 아니라, 그 사건 속에 있던 보통의 "사람들"에 관심을 둔 소설이다. 소설의 제목도, 형식도, 그 사람들에게 조명이 가 있던 사유가 이해된다.
소설 읽기, 문학 읽기의 가장 큰 이유가, "타자의 마음에 들어가 보기"라면 이 소설은 감정 이입할 수 있는 인물이 50명이나 있다는 점에서 아마 좋은 교보재가 되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소설을 다 읽고 난 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지나쳐 가는 사람들, 뉴스에서 단신으로 짧게 지나쳐가는 사고들, 하루에 몇 번이나 울리는 재난 알람 문자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되더라.
다만 한 가지 이 소설에서 아쉬웠던 점은 각 50장마다 이야기의 흡입력에 편차가 컸다는 점에 있다. 특히 이야기의 특정 장은 짧은 단편소설처럼 아주 재밌었지만, 어떤 장에선 그 정도는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이야기의 좋고 덜 좋고는 전적으로 주관적인 감상이니 참고만 해달라. 읽으면 읽을수록 이 50명의 이야기가 전부 궁금해졌던 건 사실이다.
또한 방대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설계하고, 짜임새 있고 만들어 내는 일은 대단히 수고스러웠을 것 같다. 이 소설의 일정 부분은 작가가 발로 뛰면서 적어낸 발소설이지 않을까 싶다.
소설 속에서 인상 깊었던 인물이 3명 있다. 출근할 때 3명, 퇴근할 때 3명의 목숨을 살린다는 "이호"할아버지, 교도소의 "이동열"씨, 병원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일하는 "하계범"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