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독후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년실격 Feb 25. 2024

50명의 사람들과 51개의 이야기

피프티 피플은 아주 간단히 말하면 액면가 그대로 50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이다. 처음 소설을 읽을 땐 당황하면서 책장을 넘기게 된다. 분명 괜찮다고 추천도 받고, 평도 좋은데, 이 소설의 독특한 서술 방식 때문에 초반부엔 내가 제대로 읽고 있는 게 맞는지 싶다. 이 소설은 으레 우리가 알고 있는 직선의 방식으로 서사가 전개되지 않는다. 총 50개의 이야기에선, 각 장마다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며, 그 사람들의 시선을 따라가거나, 혹은 그 인물 자체가 조명되면서 장이 마무리된다.

소설의 구조가 그렇다 보니, 이 소설은 "인물"이 특정한 사건을 쫓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독자"가 어떤 사건이 발생했는지를 더듬거리면서 읽게 된다. 독자도 소설 속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공평하게 무슨 사건이 벌어질지, 또 무슨 이유로 이 사람들을 다 호명하는지 영문을 모른다. 단지 인물과 인물의 관계에서 교집합이 생기거나, 앞 장에 나왔던 비슷한 이야기가 뒤에 나왔을 때 큰 이야기의 줄기를 가늠할 수 있는 정도다. (하지만 결국엔 실패한다)

 그런 점에서 보자면, 이 소설은 독자까지 51번째 주인공으로 소설이라는 무대 위에 등장시켜서 우왕좌왕하게 만드는 거 같다.  


파편적이던 이야기 조각은 결국 마지막 지점에서 한 곳으로 귀결되면서 폭발한다. 수 십 명의 이야기가 농축돼 있던 만큼,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는 여운이 짙다. 꼭 마지막 장까지 다 덮고 나서야, 이 소설이 무엇에 의해서 쓰였는지, 무엇을 말하기 위해서 쓰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니까, 이 소설에서 중요한 건 마지막 지점에 이르러서 발생하는 특정한 "사건"이 중심이 아니라, 그 사건 속에 있던 보통의 "사람들"에 관심을 둔 소설이다. 소설의 제목도, 형식도, 그 사람들에게 조명이 가 있던 사유가 이해된다.

 소설 읽기, 문학 읽기의 가장 큰 이유가, "타자의 마음에 들어가 보기"라면 이 소설은 감정 이입할 수 있는 인물이 50명이나 있다는 점에서 아마 좋은 교보재가 되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소설을 다 읽고 난 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지나쳐 가는 사람들, 뉴스에서 단신으로 짧게 지나쳐가는 사고들, 하루에 몇 번이나 울리는 재난 알람 문자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되더라. 

다만 한 가지 이 소설에서 아쉬웠던 점은 각 50장마다 이야기의 흡입력에 편차가 컸다는 점에 있다. 특히 이야기의 특정 장은 짧은 단편소설처럼 아주 재밌었지만, 어떤 장에선 그 정도는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이야기의 좋고 덜 좋고는 전적으로 주관적인 감상이니 참고만 해달라. 읽으면 읽을수록 이 50명의 이야기가 전부 궁금해졌던 건 사실이다. 

 또한 방대한 이야기를 수집하고, 설계하고, 짜임새 있고 만들어 내는 일은 대단히 수고스러웠을 것 같다. 이 소설의 일정 부분은 작가가 발로 뛰면서 적어낸 발소설이지 않을까 싶다.

소설 속에서 인상 깊었던 인물이 3명 있다. 출근할 때 3명, 퇴근할 때 3명의 목숨을 살린다는 "이호"할아버지, 교도소의 "이동열"씨, 병원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일하는 "하계범"씨가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불행히도 창작을 결심한 모두에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