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종헌 Apr 06. 2023

질문이 정답보다 중요하다

AI의 시대에서의 인간의 역할

답을 찾는 것보다 질문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GPT chat은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을 가져다줬습니다. AI의 발달이 눈앞으로 다가온 것을 대중에게 보여준 놀라운 사례니까요. AI가 발달하고 인간보다 더 빠르게 답을 찾아내면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AI가 모든 답을 찾아내는 시대에서 인간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문가들은 이 질문에 이렇게 답을 합니다. “더 이상 답을 찾는 능력이 중요한 시대가 아닙니다. 그건 인간이 더 이상 AI를 능가할 수 없기 때문이죠. 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질문하는 능력입니다. 즉, 문제를 찾는 질문, 본질에 다가서는 질문하는 능력 말입니다.


대부분의 답은 이미 나와 있다

사실 GPT chat이 나오기 전부터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구글신은 알고 있다.’는 우스개 소리가 있었습니다. 당신이 직면한 대부분의 개발 문제들은 이미 누군가가 겪었던 것이고 그 해결책 또한 인터넷 어딘가에 있다는 뜻이죠. 그래서 검색을 잘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비단 개발의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직면하는 대부분의 문제는 사실 이미 누군가가 겪었던 것이고 좋은 답 또한 있기 마련이죠. 그 답을 가지고 있는 정보에 어떻게 다 가느냐가 문제였죠. AI의 발전으로 인해 그 일이 더더욱 쉬워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미 존재하는 해답을 찾아내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바로 질문하는 능력에 달려 있죠. 물어보기만 하면 AI가 찾아줄 테니까요.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타기

사실, 기존의 정보나 답을 이용하는 것은 인류가 항상 따르던 방식입니다. 모든 학문적 진보가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졌죠. 이미 쌓아 올린, 혹은 만들어 놓은 지식을 토대로 그 위에 새로운 지식을 쌓는 형태로요. 그래서 내가 얼마나 높이 올라가느냐보다, 어떻게 이 거인의 어깨 위에 잘 올라타느냐가 중요한 겁니다.


예전에는 이 거인의 올라타기 위한 조건은 까다로웠습니다. 특정 누군가에게만 이러한 정보들이 공유되었죠.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모든 사람이 중요한 정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답이 만연한 세상에서 중요해지는 것은 어떤 답이 나에게 필요한지 알아내는 능력입니다.


질문은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질문하는 능력은 답을 찾는 능력과 결부되어 있습니다. 사실, 질문이 중요하다는 진리는 비단 요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에요. 과거에도 질문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되어 왔습니다. 위대한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문제를 해결할 시간이 1시간 있고, 그 해결책에 내 인생이 달렸다면 나는 우선 어떤 질문을 제기하는 게 적합한지 55분을 쓸 것이다. 일단 적절한 질문을 알기만 하면 문제 해결엔 5분도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질문은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 왜 그것이 문제가 되는지 찾아가는 실마리를 줍니다. “왜 사과가 떨어지는 것처럼 달은 떨어지지 않을까?”라는 뉴턴의 질문이 고전 물리법칙을 발견하는 시초가 되었듯이요(물론 이 질문 하나로 해결되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질문을 잘하는 것만으로도 문제는 정의되고 해결의 실마리는 보이는 것이죠.


잘못된 질문으로는 올바른 답을 찾을 수 없다

우리가 답을 찾고 있지 못하고 있다면 잘못된 질문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좋은 답은 좋은 질문에서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누구나 쉽게 해답들에 접근할 수 있는 이 시대에 좋은 답의 여부는 결국 좋은 질문에서 시작한다고 해도 무방한 것이죠.


그래서 올바르게 질문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내가 모르는 것이 무엇이고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그 질문이 문제의 본질에 다가서는 질문이지 말입니다. 필요하지 않은 답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듯 좋은 답을 끄집어낼 수 없는 질문으로는 문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없는 것입니다. 영화 올드보이에서는 이런 대사가 나옵니다.

당신의 진짜 실수는 대답을 못 찾은 게 아니야. 자꾸 틀린 질문만 하니까 맞는 대답이 나올 리가 없잖아. 왜 이유진은 오대수를 가뒀을까? 가 아니라 왜 풀어줬을까? 란 말이야. 자 다시. 왜 이유진은 오대수를 딱 15년 만에 풀어줬을까? 요.”


답이 아니라 질문을 찾는 시대

좋은 답은 이제 흔합니다. 물론 아직 찾아야 할 답들이 많기는 하지만요. 앞으로 중요해지는 것은 좋은 답보다는 좋은 질문입니다.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그것이 왜 문제가 되는가? 를 정의하는 것이 바로 질문이니까요.


우리보다 답을 더 잘 찾아내는 AI가 도래한 이 시대에 인간의 역할은 변화할 겁니다. 답이 아니라 질문을 찾는 것으로요. 문제를 찾아내고 본질에 접근하면 AI가 해결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질문하는 능력을 가지고 계신가요?


함께 성장하는 커뮤니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