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담해 Oct 12. 2019

이전의 나와 종지부를 찍은 것이구나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다가 위로를 받았다

레빈에 의하면 어떤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이 정착되어 있는 조직은  ‘해동-혼란-재동결’의 과정을 거쳐 변화한다. 여기서 이 프로세스가  ‘해동’에서 시작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해동이라는 것은 바로  ‘끝낸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언가 새로운 것을 하려고 할 때 앞으로의 일을  ‘시작’하는 데만 초점을 맞춘다.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쿠르트 레빈의 지적은 새로운 것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오히려 지금까지의 방식을 ‘잊는’ 것, 즉 이전 방식에 ‘종지부를 찍는 일’이라는 점을 상기시켜준다.*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의 18번째 무기, 「혁신은 새로운 시도가 아닌 과거와의 작별에서 시작한다」에 나오는 내용이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철학을 잘 알지도 못하고 잘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쿠르트 레빈이 누구인지조차 몰랐다. 하지만 이 대목을 읽는 순간, 누구인지도 모르는 철학자에게 위로를 받았다.


퇴사를 고민할 무렵 ‘시작’이라는 주제로 글을 썼다. 한 주에 주제 하나를 계속 썼으니 시작을 주제로 한 글이 7개다. 그중 「나는 어리석은 원숭이였다」에서, 마지막에 이렇게 썼다.


시작이 있어야 끝이 있다. 당연한 말이다. 끝이 있어야 새로운 시작도 있다. 그 역시도 당연한 말이다. 그 당연한 말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머뭇거리고 있다. 이 좁은 병 속에, 간식이 들어 있어서.**


그때 나는 퇴사를 결정하지 못하고 고민만 하고 있을 때였다. 마음으로는 결정했어도 말로는 꺼내지 못할 때였다. 그 글을 쓰고 2개월 뒤, 퇴사를 선언했다. 그리고 또 2개월이 흘렀다. 퇴사 후 한 달은 퇴사가 별로 실감 나지 않은 채로 흘렀다. 또 그 뒤로 한 달은 외주 작업을 하면서 보냈다. 나, 퇴사한 거지? 가끔 그렇게 자문하기도 했다. 어딘가 찜찜한 게 남아 있었다.


요 며칠 마음이 싱숭생숭했다.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면서부터였나.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로 신청하라는 우편물을 받고부터였나. 이제는 정말 퇴사가 피부로 통장으로 와 닿았다. 내가 잘한 일이었을까. 아니라고 한 들 돌아갈 생각도 없으면서 그런 생각이 자꾸 들었다.


그런 상태로 이 책을 읽으니, 내가 이전의 나와 종지부를 찍은 것이구나.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이미 서류상(전산상) 근로자 신분이 종료되었고, 이를 증명하듯 매번 우편이 날아왔는데도, 나만 혼자, 내 마음만 혼자 받아들이지 못한 모양이었다. 미련이었을까.


이제는 털어버려야겠다. 미련이든 그리움이든 그 무엇이 되었든. 털어버리고, 혼란과 재동결의 단계로 넘어가야겠다.




*출처_ 야마구치 슈 저, 김윤경 역,『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151쪽), 다산초당, 2019


**내가 내 글을 인용하는 날이 오다니.

https://brunch.co.kr/@damhae/38





매거진의 이전글 오늘, 더 힘낼 수 있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