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행운동 무화과 Jul 11. 2023

오랜 친구들이 좋은 이유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진짜 나를 숨기고 살게 된다

동네 산책하다가 술에 진탕 취해서 친구들 사이에 둘러싸인 채 계단에 앉아 있는 젊은이를 봤다.


갑자기 대학 시절 술만 먹으면 저렇게 취해서 계단켠에서 울던 친구의 모습이 겹치면서, 내가 처음으로 엄청 취해서 기억이 끊겼던 때가 떠올랐다. 기억력이 정말 안 좋은 나지만 또렷하게 기억하는 몇 안되는 젋은 날의 기억이다.


1차로 술을 먹고 있던 내게 고등학교 친구가 놀러온다고 했고, 한창 취해서 반가운 마음에 알겠다고 연락한 것까지만 기억이 난다. 그 날은 처음으로 내가 매취순을 먹고 그 매력에 빠진 날이었다. (그 이후로는 먹은 기억도 없는 것 같다.)


눈을 떠 보니, 친구가 앞에 있었고 난 엎어져 있었는데, 알고보니 어찌어찌해서 만났는데 몸도 잘 못 가누는 상태에서 만나서 술집에서 졸립다고 잠든 것이었다. (친구가 길거리에서 계속 주저앉는 내 모습을 친절하게도 찍어줘서 충격적인 진상짓을 똑똑히 볼 수 있었다.) 그러고는 정신 차리고 술집에서 또 이 충격적인 일을 가지고 한참을 깔깔거리다가 돌아갔던 것 같다. 


그 친구와는 요새도 만나면 유난히 다른 어떤 친구를 만날 때보다 더 괴팍하게 웃고 목소리가 커진다. 어딜가나 꼭 하루에 1번 이상은 조용히 해달라는 소리를 들으며 괜시리 뿌듯함을 느끼기도 한다(민폐 맞음). 옛 친구가 좋다는 게 이런 느낌일까.




사회 생활을 하게 되면서 문득문득 내 본모습을 많이 숨기고 살아간다는 생각을 한다. 내 본모습은 걍 아몰랑 땡깡쟁이 단비인데, 회사에서는 정상인 범주에서 눈에 띄지 않게 행동하려다 보니까 그 괴리감이라는 게 턱턱 느껴질 때가 있다. 텐션을 절반 이상 낮추고 사는 것 같다고 느껴질 때도 있다. 내 진짜 모습을 보여준다고 해서 좋을 것도 없으니까(이전 회사를 이직하면서 깨달은 중요한 교훈 중 하나였다).


오랜 친구들을 만나면 이런 시선에 대한 아무런 계산 없이, 아무런 생각 없이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 그대로 행동하게 된다.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그 여유와 말도 안되는 편안함 덕분에 시시껄렁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말도 안되는 원초적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일 테다.


잡담과 수다의 특징은 하고 난 후에 내용은 생각나지 않지만, 그 사람과 내가 같은 시간을 보냈다는 유대감만 남는다는 것이라고 한다. 수년에 걸쳐 켜켜이 쌓인 유대감이 있었기에 서로의 본모습이 이렇게나마 다시 나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게 아닐까. 어릴 때 그 깨발랄한 모습을 서로서로 지켜주고 있다는 게 다행이고 고마울 따름이다. 술에 취한 누군가를 보고 아무렇게나 이어진 초복의 밤산책.


작가의 이전글 행복한 삶은 무엇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