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lmengs Dec 18. 2023

12월 17일의 에피소드. 그리고 꼬리를 무는 생각들.

결혼 전과 후의 가정


어제 작은 사건이 있었다. 엄마가 잠깐 집으로 오셨고, 그 잠깐이 길어져서 차라리 아기를 데리고 방에 들어가시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 빨리 가주시라고는 말 못 하겠고, 온라인 예배 드리던 중이어서 한 말이었다. 그랬더니 1분이 지났을까, 아기가 엄청 우는 것이었다. 엄마도 어쩔 줄 몰라서 당황하시고.


엄마가 아기를 아기 침대 안으로 넣으시려다가 아기 다리인지 발인지가 난간에 끼여 생긴 일인 것 같았다. 아기 예방접종날에만 들었던 격한 울음소리였고, 나는 당황하는 엄마를 붙잡고 '엄마가 당황하시면 안 된다'라고 말한 뒤 아기를 넘겨받았다. 그날 아가는 밤 12시까지 제대로 잠들지를 못해서 우리 부부에게 힘들었던 날이었다.






휴. 다른 사람에게는 모르겠지만 나에게 엄마는 감사하고도 어려운 분이다. 부탁이라면 편하게 할 수 있고, 말하지 않아도 내 걸 먼저 생각해 주시는 분이지만, 한편으로는 조심스럽다. 어떤 사건을 말했을 때, 불안이 높으셔서인지, 내가 생각지 못한 부정적인 해석을 내놓으실 때도 있다. 그래서 편한 대화 상대는 아니었다. 또 너무 바쁘셔서 대화할 기회도 많지 않았다. 9시쯤 퇴근하시면 씻고 TV 보시거나 직장에서 가져온 일거리를 자정까지 하시곤 했다. 두 경우 모두 말 걸면 방해하는 셈이 되곤 했다.




한편 엄마는 헌신하시는 분이다. 직장에서도 남들에게 도움 될 만한 게 있으면 그걸 먼저 하고 본인 걸 하시느라 더욱 바빠지신다고 하고, 집에서는 본인이 정하신 일은 무리해서라도 해내시는 분이다. 그래서 항상 드리는 말씀이 '너무 힘들게 하진 마시라'는 말이었다. 엄마 스스로의 높은 기준 때문에 빠르게 피곤해지시는 것 같았다. 집안에서는 엄마의 생기 있는 얼굴을 보기 어려웠다.




결혼 전 가정을 생각해 보면 무난했던 시절이었다. 그렇게 기쁜 적도, 웃었던 적도 없지만 그래도 의식주는 해결되었던 공간이었다. 건강하게 먹으라고 엄마는 일주일에 한 번씩 야채를 많이 씻어다 놓으셨고, 내가 사달라고 하는 먹거리들을 사놓으셔서 평일엔 알아서 잘 해먹을 수 있었다. 부모님과 대화는 별로 없었지만 그냥 그렇게 흘러가는 시간들이 모인 게 가정인 것 같았다.




그런데 남편과 가정을 꾸린 후 많이 바뀌었다. 그에게는 연애 때부터 나의 시시콜콜한 일상을 모두 얘기한다. 그와 같이 살면서 집에서는 대화가 항상 흘렀고, 아무것도 아닌 일상에서도 기쁨과 웃음이 생겼다. 아기를 낳고 나니 더 많은 일거리가 가정에서 생겼지만, 그걸 같이 하는 과정에서도 즐거움이 있다. 한 번은 기저귀를 가는데 '사즉생 생즉사'라는 말이 나한테서 튀어나와 남편과 나 모두 빵터진 적이 있다. 그 당시의 맥락은 '내가 (기저귀를) 간다고 나서면 똥이 아닐 것이다'는 뜻이었다. 하여튼 가정이 참 좋은 곳이라는 걸 느낀다. 




전이 있어서 후의 가치가 더 빛나는 것 같다. 참 감사하다.




작가의 이전글 하나님의 타이밍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