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산책 Oct 04. 2022

아무 말

한바닥 소설집


아무 말.

한참 유행한 노래가 있다. 아무 노래나 틀어 어떤 춤이라도 추라는 가사의 노래.

나도 문서 창을 열어 아무 말이나 해보기로 한다. 하얀 무지 노트 처럼 줄 없는 하얀 창에 검은 커서가 반짝인다. 바람은 시원하나 나는 여전히 회색 코듀로이 바지를 입고 빛바랜 남색 집업의 지퍼를 목까지 끌어 올리고 앉아 있고 그렇게 계절도 시간도 한 박자 어긋난 채로, 아무 말이나 하기로 한다.

아무 글이나 써야 하니까. 이번 주 분량은 1만자. 200자 원고지 50장 분량이다. 장당 2000 타, 10만 타 정도면 일주일 근근히 살아갈 수 있다. 일주일에 발간되는 디지털 신문이 5부, 페이지는 10페이지 내외. 한 페이지에 필진 1명, 5천만 인구 중 50명만이 글을 쓸 수 있다. 출판의 시대는 이미 종료된지 오래 이고, 오직 신문만이 살아 남았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사는 시대는 어떠한가. 책이란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 상품이기도 하지만, 물성 자체가 귀해서 책이 보관되고 있는 서고에는 신분과 직업이 확실한 사람만이 입장 가능하다. 사람들은 책을 읽지 않아도, 활자를 읽지 않아도 살 수 있다. 그들은 모두 영상에 의존한다. 글을 배울 필요가 사라졌고, 모든 미팅은 녹화된다. 오직 말만 존재하는 세상에서 활자를 아는 이는 소수에 불과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니 나는 선택받은 자와 다름없다. 이렇게 기록을 남겨 누군가에게 전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인간. 그래서 언제든 아무 말이나 해야 한다. 생각나는 것은 무엇이든 적어둬야 한다. 글은 사라지고 말테니. 사라지고 말 것에 왜 이렇게 집착하느냐고 묻는다면, 그것이 삶이기 때문이다. 지금이 곧 과거이고 지금이 곧 미래이므로.

그렇다. 이 또한 아무 말이다. 나는 어떤 책임도 의무도 느끼지 못한다. 그저 돈을 벌기 위해, 다음 주에 살 빵과 과일과 맥주를 위해 아무 말을 쓴다. 선조들은 넘치게 글을 마주했고, 넘치게 책을 찍어대면서 자연을 훼손했다. 그들에게 받은 교훈이 지금 이렇게 돌아왔다. 글자는 흔한 것이지만, 흔해서 사람들은 더 이상 글을 읽지도 쓰지도 않게 되었다. 마치 한 해 살이 들풀처럼 글은 땅 속으로 공기 중으로 흩어져 갔다. 그래서 지금 나는 이런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귀하지 않은 글을 쓰면서 귀하지 않은 보수로 근근히 배를 채우는 직업을 갖고. 어쩌다 이 일을 하게 되었는지 궁금한가? 인생은 우연의 연속이지만 그 또한 필연의 집합체일 것이다. 나의 할아버지는 도서관 관장이었고 어머니와 아버지는 사서였다. 전국에 50여개가 채 안 되는 도서관에는 필경사 비슷한 무리가 있는데, 이들은 주기적으로 글자를 입력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사회적으로 문자는 사라지고 있지만, 도서관이란 곳이 문자를 보관하는 곳이므로 필경사 비슷한 무리들은 일주일에 한 권의 책을 골라 무심히 문서 창에 입력한다. 그렇게 입력한 문서는 국가 전자 도서 기록원에 보관된다. 나는 어릴 적 부터 부모님을 따라 도서관을 들락거렸으므로 문자란 것과 글을 쓰는 것을 보는 일에 익숙했다. 집에 없는 책이 넘쳐나는 그곳의 퀴퀴한 종이 곰팡이 냄새를 사랑했다. 그러다 열 일곱 살에 스승을 만났다. 그는 5천만 인구 중 50명에 해당하는 신문 필진이었다. 스승은 일주일에 한 번 도서관에 열람 신청을 하고 들어와 이런 저런 책을 하루 종일 읽고 가곤 했는데, 어느 날 서가에서 마주친 나에게 레이 브레드버리 책을 읽어봤냐고 물었다. 아직 이라는 내 대답에 그는 '도서관을 집처럼 드나들 수 있는 자네에게 그 책이 아직 이라니, 유감이로군.' 이라며 책을 읽고 일주일 후 다시 만나자고 했다. 나는 조금 자존심이 상하기도 했고, 대체 무슨 책이길래 싶은 궁금증과 혹시나 읽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조급한 마음에 도서관을 뒤졌다. 전국에 분포된 도서관은 동일한 책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게 원칙이었을 뿐만 아니라, 필경사 비슷한 무리가 입력한 책이 국가 전자 도서 기록원에 보관 되면 동시에 파쇄 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도서관은 많은 양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지 못했다. 마침 도서관에는 딱 한 권의 책이 남아있었다. 화씨 451, 이 책은 마침 그 주 입력자료 였다. 당시 연애 전선이 삐걱거려 만사가 복잡다단했던 필경사에게 부탁해 대신 일을 맡아 일주일 내내 나는 책을 읽고 썼다. 글자는 익숙했지만, 뭔가를 써 본 적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그러니까 태어나서 열일 곱이 될 때 까지 나는 글자를 써 본 적이 없었던 것이다. 종이는 사라졌고, 태블릿 위에 기록되는 것은 오직 숫자 뿐이었으므로 나 뿐만 아니라 내 또래 아이들은 숫자로 기록하고 그림과 영상으로 대화하는 게 전혀 이질적이지 않았다. 글을 쓸 수 있다니. 그것은 생경한 경험인 동시에 짜릿한 쾌감을 동시에 안겨줬다. 생각한 것이 활자로 남았다. 문서 입력 프로그램은 공인된 컴퓨터에만 설치할 수 있었고 필경사용 컴퓨터가 바로 그것이었다. 새창을 열어 개인 문서를 작성하는 일 또한 허가 받은 이들만 할 수 있는 작업이었다. 그러니까, 내가 그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운명이었다. 써야 하는 운명.

일주일 후, 나는 스승을 만났다. 자네에게 글을 쓸 수 있게 해주지. 그는 책 이야기는 하지 않고 바로 자신의 노트북을 열어 문서 창을 띄웠다. 나는 떨리는 손가락으로 한참 키보드 위에 머물렀다. 무엇을 써야 할 지, 생각은 늘 많았으나 나의 버추얼 아이덴티티가 받아적었던 뇌 속 이야기를 막상 현실의 내가 적으려 하니 아무 것도 쓸 수 없었다. 그때 나를 보며 스승이 말했다. 아무 말이나 써보게. 아무 말, 이렇게 말일세.

아무 말을 적기 시작한다. 창가에는 바람이 지나가는 게 보이고, 빨간 세이지 꽃이 흔들린다. 그 옆에 나란한 청보리 얼굴이 이리저리 움직인다. 하늘은 파랗고 가장 좋아하는 계절이다. 은행잎이 눈부신 초록으로 변하는 계절에 나는 아무 말을 적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사다리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