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여 년 전, 한국에서 열린 2010 G20 정상회의 기자 회견장.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훌륭한 개최국 역할을 해 준 한국에게 고맙다며 특별히 한국 기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질문권을 준다. 보통 기자회견장에서는 기자들의 치열한 질문 경쟁이 당연하기에 이를 감안한 배려였다. 그런데 오바마 대통령의 말이 끝나자마자 회견장을 가득 채운 건 질문이 아닌 무거운 침묵. 카메라 플래시 소리만이 찰칵거린다. 아무도 손을 들거나 질문을 하지 않고 어색한 침묵이 계속 이어지자 오바마 대통령은 덧붙인다.
"한국어로 질문하면 아마도 통역이 필요할 겁니다. 사실 통역이 필요할 거예요. 정말로요."
그제야 보이지 않던 팽팽한 긴장감이 다소 누그러진 듯, 청중석에서 웃음소리가 들린다. 그때 갑자기 한 명의 기자가 벌떡 일어나 마이크를 잡더니 질문을 한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마이크를 잡은 기자는 한국인이 아닌, 중국 기자였다.
"실망시켜드려 죄송하지만 저는 중국 기자입니다. 제가 아시아를 대표해서 질문해도 될까요?"
이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다시 말한다.
"하지만 공정하게 말해서 저는 한국 기자에게 질문을 요청했어요. 그래서 제 생각에는....."
"한국 기자들에게 제가 대신 질문해도 되는지 물어보면 어떨까요?"
"……. 그것은 한국 기자가 질문하고 싶은지에 따라서 결정되겠어요. 없나요? 아무도 없나요?"
또다시 흐르는 무거운 침묵. 결국 오바마 대통령은 어색한 미소를 지으며 중국 기자에게 발언권을 넘겨준다. 그리고 중국 기자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기다렸다는 듯, 준비했던 질문을 던진다.
이 영상을 보며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G20 정상회담에 취재를 가는 언론인들은 어쩌면 우리나라 지성을 대표하는 그룹 중 하나다. 착실하게 학교 교육받고 대학에 입학하고 대학에서도 열심히 공부해서 언론고시에 합격한 인재들이다. 그런데 그들은 궁금한 게 없다. 특별한 배려 속에 질문을 할 수 있는 우선 권이 주어졌음에도 아무도 그 기회를 잡지 못했다. 왜, 도대체 왜 그런 걸까? 무엇이 이들의 입을 이토록 무겁게 만든 것일까?
질문을 하지 않는 것은 비단 이 사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반에 걸친 문제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질문을 하지 않는다. 학생일 때는 '그게 뭐 그리 심각한 문제인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아이들을 낳고 키우다 보니 아이들이 궁금한 게 없다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느껴졌다. 왜냐하면 아이들은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아이를 낳은 부모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이건 뭐야?” “이건 왜 그래?” “새는 왜 하늘을 날아?” “하늘은 왜 파래?” 등등 아이들의 질문은 끝이 없다.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 태어났나 싶을 정도로 아이들은 호기심 박사들이다. 그런데 이 아이들이 자라면서 점점 궁금한 게 없어지고 질문이 없어진다는 건 자라나는 과정에 이를 가로막는 무언가가 있다는 뜻이었다. 나는 그걸 알아내기 위해 여러 교육 관련 다큐멘터리와 교육 서적 등은 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아주 놀랍게도 그 중심에는 ‘학교 교육’이 있었다.
교육 혁명의 권위자 캔 로빈슨은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는 주제로 TED무대에 섰다. 교육의 권위자가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확실했다. 학교가 ‘천재적’으로 태어난 아이들을 모두 ‘획일적’으로 만드는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지금의 교육 시스템. 어느 곳을 가나 지식만을 강조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육으로 인해 아이들의 타고난 천재성과 창의성이 모두 말살되어 가고 있다고 켄 로빈슨 교수는 거침없이 말한다. 여전히 주입식 교육에 정답 찾기만 강조하는 한국의 현실을 생각하면 곧바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 강점기 35년(1910~1945)과 미 군정기(1945.9.8 ~1945.8.15)를 거치는 동안 이른바 식민교육, 우민화 교육이 실시됐다. 일본과 미국 모두 근대 공교육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프로이센(프러시아) 교육제도'의 영향을 받아 이를 자신들의 통치 수단으로 삼고 우리나라에 그 교육제도를 이식했는데, 프로이센 교육의 핵심은 ‘국가에 충성하는 국민을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프로이센 교육을 받은 아이들은 학교에서 질문을 할 수 없었고 무조건 규칙에 따라야 했다. 이러한 전체주의적인 교육의 결과는 괴물, 히틀러의 등장이었다. 미국은 어떠한가. 상류층을 위한 사립학교 교육과 중하류층, 이민자들을 위한 공립교육으로 철저하게 나뉘었는데 미국의 공립 교육제도 역시 프로이센 교육에 기반하고 있다.
미국 교육자 존 테일러 개토(John Taylor Gatto)는 근대 교육 시스템의 시초 격인 프러시아에서 92%의 학생들을 교육했던 국민학교(Volksschule)의 교육 목표가 지성 발달이나 사고력 함양이 아니라 복종과 순종의 사회화였다고 단언했다. 그곳에서 학생들 대부분은 국가와 사회의 최하위 부속품처럼 길러졌다. 그들은 스스로 생각할 줄 아는 똑똑한 사람이 될 필요가 없었으며, 그렇게 되어서도 안되었다.
<나의 교육 고전 읽기> 중에서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로 혜성처럼 등장한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자녀들을 학교에서 자퇴시키고 ‘아스트라 노바’라는 학교를 세워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아스트라 노바를 세운 이유는 ‘기존 교육에 대한 의문’ 때문이라고 이 학교의 교장, 조슈아 댄은 말한다. 앞으로 변하는 시대에 원하는 인력을 기존의 학교에서는 키워낼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은 대부분 AI가 하게 될 텐데 기존 학교에서는 여전히 그러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친다고 일침을 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미래학자이자 <부의 미래>, <제3의 물결> 등의 저서로 이미 변화의 시대를 예고했던 앨빈 토플러 역시 2006년 한국을 방문해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뼈아픈 충고를 했다. “한국 학생들은 미래에 필요하지 않은 지식과 직업을 위해 하루 10시간 이상을 허비하고 있다.”라고 말이다. 실제로 우리는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모든 지식을 몇 초 만에 알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교육은 프로이센에서 시작된 그 교육 방식에서 어쩌면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아이들 한 명 한 명의 개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모든 학생들을 학교 성적으로 판단하며 줄 세우기를 하고 있다. 수업시간에는 여전히 아이들이 ‘다양한 질문’보다 ‘선생님의 말씀을 잘 듣는 것’이 중요하고, 시험을 볼 때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피력하는 것’보다 ‘출제자의 의도를 잘 파악’ 해야 한다. 그렇게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공교육 12년을 착실히 받고 나면 신기하게도 그 질문 많던 호기심 박사들은 꿀 먹은 벙어리가 되어 사회에 나오게 된다. 자신의 주장을 갖기보다 상사가 시키는 대로 하는 게 편하고, 질문하는 것보다 눈치껏 정해진 규율을 따르는 게 편한, 타고난 천재성은 온데간데없는 그런 무기력함을 탑재한 인간이 되어 있다.
모든 학교가 그런 것은 아니다. 90년대 대대적인 교육개혁을 실시한 핀란드에서는 아이들이 아침에 눈 뜨면 즐거워서 학교를 가고 싶어 하고 이스라엘에서는 ‘질문이 없으면 그건 학생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교사가 일방적으로 강의를 하고 학생들은 노트에 받아 적는 방식이 여전히 유효하다. 질문을 하면 ‘튀는 애’, ‘쉬는 시간 잡아먹는 애’ 취급받는다. 부모들의 인식도 확연히 다르다. 유대인의 부모들은 “오늘 학교 가서 질문 많이 하고 와.”라고 하는 반면, 우리나라 부모들은 “학교 가서 선생님 말씀 잘 듣고 와.”라고 한다. 어쩌면 우리는, 참 인정하기 무섭지만, ‘질문 없고 규칙 잘 따르고 말 잘 듣는 국민’을 만들려던 프로이센의 교육 목표에 너무도 부합하는 사람들이 되어 있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그 교육을 받고 자라난 우리들이 부모가 되어 우리 아이들 역시 그렇게 만들지 못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한국 기자들이 2010 G20 정상회의에서 어떠한 질문도 하지 못했던 건, 이런 이유들 때문이 아닐까?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의 유현준 교수는 <어디서 살 것인가>라는 자신의 책에서 ‘양계장에서는 독수리가 나오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닭장 같은 곳에 아이들을 12년 동안 묶어 놓고 졸업 이후엔 ‘왜 독수리처럼 훨훨 날지 못하냐’고 묻는 건 어른들의 완벽한 모순이라고 말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부모들은 여전히 학교 공부 잘하고 내신 잘 받아 좋은 대학에 입학하는 것만이 이 아이를 위한 최고의 길이라 여기며 오늘도 아이들을 채찍질하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말했다. “모든 아이들은 천재로 태어난다. 문제는 그 천재성을 어른이 될 때까지 얼마나 유지할 수 있느냐이다”라고. 우리는 어른이 되면서 그 천재성을 모두 잃어버린다. 교육의 핵심은 어쩌면 아이들의 타고난 천재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부모인 우리가 돕는 것, 그것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