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노 소비
고환율과 저성장 늪에 빠진 대한민국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저임금마저 올해 들어 1만 원을 처음 돌파하면서 스테그플레이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이란 스테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불황을 뜻합니다. 고금리로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소비자는 지갑을 열기 어려운 상황이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촉발된 고정비 악화는 생산자의 판가 인상을 압박하는데요. 결국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가격은 4.4% 인상되었습니다.
이처럼 불황의 소비 트렌드를 대한상의에선 S.N.A.K.E로 정의했는데요. S는 Survival로 불황 속에서 기업의 생존이 무엇보다 우선되는 정책을 말합니다. 고정비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조직 슬림화가 단행되고 있습니다. 다음 N은 Next Business로 경쟁 악화를 벗어나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는 시도를 말하는데요. 레드오션을 탈피해 퍼플오션으로 도약을 찾습니다. A는 AI로 운영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입니다. AI Agent 등을 활용해 인건비 부담을 줄이거나 비용구조를 개선하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죠. K는 K-culture로 문화와 결합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E는 Economical consumption으로 경제적 소비인데요. 가벼운 호주머니 사정을 고려한 소비 성향이 더욱 더 두드러질 것으로 우려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