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드라이트리 Sep 03. 2022

2022년 테슬라 모델3 차량 안전성 평가 (2)

NHTSA와 JDPower 2022년 버전 모델3 차량 안전성 평가 결과

앞서 살펴본 IIHS의 2022년 테슬라 모델 3 차량 안전성 평가에 이어서, 2편을 통해 다른 평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2022년 9월 시점에서, NHTSA에서 발표한 2022년 버전의 모델3 차량에 대한 안전성 평가 내용이 업데이트 되어 해당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NHTSA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으로 차량 제조사의 저승사자로 불리며, 차량의 안전성 평가와 리콜 지시 등 안전에 대한 부분을 관할하는 기관이다. 


2022년 테슬라 모델3에 대한 NHTSA의 전반적인 평가 결과는 별5개로 최상 등급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방 충돌에 대한 부분에서는 시속 60km(시속 35 마일)로 전방 충돌했을 때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전 확보에 별5개로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다음으로 측면 충돌에 있어서도 앞좌석과 뒷자석 모두 충돌 테스트에서 별5개로 최상 등급을 받았다. 


다음으로 NHTSA에서 권장하는 안전 기술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 전방 충돌 경고와 차선 이탈 경고, 충돌 직전 제동에서 NHTSA의 기준을 충족(standard)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동적 제동에 있어서는 일부(optional)만 기준을 충족하였다. 

 

다만, 동적 제동에 있어서는 일부(optional)만 기준을 충족하였다. 


동적 제동은 테슬라 모델3에서 제공되는 기능이다. 모델3의 동적 제동 기능이 NHTSA 기준에 충족은 하나, 제동 모드(stopping mode)가 사용자의 세팅과 배터리 충전 잔량에 따라 동적 제동의 성능(performance)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optional)적인 평가를 내릴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테슬라 모델3 차량은 회생제동에 대한 3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회생제동은 차량의 엑셀을 떼게 되면 자동으로 줄여진 속도만큼 상대적으로 충전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회생 제동에는 홀드(hold)와 크립(creep), 롤(roll) 3가지 모드가 있으며, 홀드가 회생제동이 가장 강한 경우이고, 크립과 롤로 갈수록 회생제동의 강도가 약해진다고 보면 된다. NHTSA에서는 홀드 상태에서는 NHTSA의 동적 제동 기준을 충족하나, 크립 모드에서는 NHTSA의 동적 제동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고, 롤 모드에서는 충족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밝히고 있다. 


NHTSA에서는 안전벨트와 머리 지지대(헤드 레스트, Head Restraint), 에어백, 어린이 탑승객을 위한 안전 기능 등에 대해서도 아래와 같이 언급하고 있으며, 동적 머리 지지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에어백의 경우에도 운전석과 조수석에 전방과 측면, 무릎 등에 에어백이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안전을 위한 파워 윈도우 기능(손이 끼지 않게 멈추는 기능)이 적용되어 있다.


NHTSA가 자동차 제조사에게 무서운 존재인 이유는 아래의 정보와 NHTSA의 기능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먼저 NHTSA는 소비자로부터 자동차를 사용하면서 불편한 사항(complaints)를 수집한다. 이에 따라 리콜(recall) 명령을 내리기도 하고, 보다 자세한 파악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조사(investigation)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제조사는 추가적인 해명(manufacturer communications)을 통해 부가적인 설명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소비자 중심적인 미국 자동차 시장의 구조는 우리나라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NHTSA는 2022년식 모델3에 대해서는 7건의 리콜 명령을 내렸다.
NHTSA는 2022년 모델3에 대해 오토파일럿과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게임 플레이, 팬텀 브레이킹 등 3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에서 공신력있는 민간기관인 JD Power에서는 자동차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2년식 테슬라 모델3에 대해서도 평가가 진행되었다.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다. 안전성에 있어 전반적인 평점과 전방/측면 충돌 시험에 있어 별점5개로 최고 등급을 받았다. 


아울러 리콜 정보에 대해서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최근 있었던 테슬라 안전벨트 업데이트 내용에 관한 것으로 앞좌석 안전벨트가 충돌 상황에서 보호 기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리콜 명령이었다. 차량 평가에 있어 리콜 정보까지 상세히 제공한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지금까지 두 편의 이야기를 통해 테슬라 모델 3의 2022년 버전에 대한 미국 3개 기관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IIHS와 NHTSA는 상당히 공신력을 가지고 있는 기관들이고, 세부적인 평가들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KNCAP도 가혹한 실험 조건들을 가지고 있는 좋은 평가이나, 향후 더 소비자들에게 좋은 결과물들을 전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들을 지속해야 한다. 현재 KATRI(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도 다양한 첨단기능의 발전에 따라 평가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개선하는 작업들을 지속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들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 필요한 경우 해외의 사례들을 참고하고, 한국의 소비자 환경에 맞게 보다 치밀한 정보 제공과 엄정한 평가 기준을 갖춘다면 KNCAP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해 많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갖고,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들도 한국 시장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평가를 준비하게 되어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전 02화 2022년 테슬라 모델3 차량 안전성 평가 (1)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