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쓰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다은 Aug 09. 2023

타르타르 소스의 역습

 어렸을 때부터 줄곧 생선이란 생물을 싫어했다. 살키를 바르기도 힘들뿐더러 바르고 발라내도 그런 나를 비웃기라도 하듯 목에 걸리는 잔가시들, 그리고 비릿한 냄새. 날 거든 익힌 거든 ‘생선’이란 것을 인지하는 순간 웬만해선 쉽게 입에 올리지 않았다. 성인이 되고 나서는 회전 초밥집에 일하게 된 연유 때문에 그 이후로 회는 조금씩 먹게 되었다지만. 아직도 난 생선을 그리 즐겨 먹는 타입은 아니다. 소주가 있으면 말이 좀 달라지지만.

 어찌 됐든 고등학교 시절, 급식에 어쩌다 생선가스가 나오면 그날의 난 평소보다 더욱 힘이 빠졌다. 아무리 배가 고파도 내가 생선가스를 파먹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생선가스가 나왔다. 가운데 칸에 생선가스를 받는다. 거들떠도 안 보고 항상 통째로 잔반통에 버린다. 예외는 전혀 없었다. 생선가스가 나오면 항상 먹지 않는다. 그건 내게 오랫동안 이어진 전통과도 같은 의식 같았다.

 생선과 같이 나온 이유 때문일까. 나는 생선가스 옆에 자리하고 있는 타르타르 소스가 생선과 마찬가지로 그리 달갑지 않았다. 신맛을 좋아하고, 또 즐겨 먹어 생레몬도 얼굴 한 번 찡그리지 않고 먹을 수 있는 내가 저 허여멀건한 타르타르 소스는 왜 그리도 싫은지. 살면서 타르타르 소스를 먹은 기억을 세어 보면 아마 열 손가락도 채 안 될 것이다.




 그런 내가 최근 한솥도시락에서 동백이란 메뉴의 도시락을 먹게 되었는데 그 안엔 내가 그토록 외면하던 타르타르 소스가 들어 있었다. 도시락 구성은 새우후라이 1개, 햄버그 스테이크 1개, 치킨 1조각, 소불고기, 타르타르 소스, 조미김. 딱 보니 새우후라이나 치킨을 타르타르 소스에 찍어 먹으라는 요량이었다. 이번에도 난 뒤돌아보지 않고 타르타르 소스를 쓰레기통에 처박았을까? 물론 그럴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번엔 그냥 속는 셈 치고 찍어 먹기로 했다.


 ​타르타르 소스든 누텔라 잼이든 뭘 찍어 먹어도 맛있을 수밖에 없는 메뉴 구성 때문이었을까? 타르타르 소스는 지금껏 울며 겨자식으로 먹었던 기억들과는 달리 새콤달콤 맛있었고, 튀김의 느끼함을 깔끔히 잡아주었다. 그날엔 적은 양의 타르타르 소스가 오히려 부족할 정도였다.



 나이를 먹어서도 절대 변하지 않겠다고 굳게 맹세하는 것들이 있다. 좋아하는 음식, 물건, 분위기, 취향, 스타일, 사람, 기타 등등…. 하지만 시간이 가고, 세월이 흐르면, 언젠간 조금씩 바뀌게 된다. 쇠고집에 외골수인 나마저도 그렇다. 20대 초반의 나는 단 음식을 엄청 좋아했었다. 카페에 가면 언제나 카페 모카 아이스를 시켰고 휘핑크림은 꼭 필수였다. 거기다 각종 케이크나 디저트까지 시키는 걸 주저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카페 모카를 잘 시키지 않는 데다가 어쩌다 휘핑크림이 올라가는 커피를 시키더라도 휘핑크림은 빼달라고 요청한다. 디저트를 싫어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매번 즐겨먹진 않는다.


 ​예전엔 때려 죽어도 이해 못 하던 것들을 지금은 이해하는 순간을 꽤나 자주 마주하곤 한다. 그만큼 나이라는 경험치를 쌓아 올려서일까? 변한다는 걸 부정적으로만 여기던 내가 이제는 그것마저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받아들이게 된 요즘, 죽어도 싫다는 말은 되도록이면 입 밖에 내지 않아야겠다고 다짐한다. 내가 죽도록 싫어하던 걸 언젠가 또 죽도록 좋아하는 시기가 찾아올지도 모르니까. 모쪼록 ‘싫어’라는 말보다 ‘좋아’라는 말을 자주 입 밖에 내는 사람이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무언가를 사랑한다는 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