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혜희 Apr 30. 2023

미역국



  해린의 원룸은 냉기로 가득했다. 문밖에서는 라일락 꽃향기가 따스한 봄바람에 얹혀 넘실거리고 오월의 투명한 햇살이 연둣빛 잎사귀들 위에서 눈부시게 반짝이는데, 해린의 집은 겨울 한복판에 놓여있는 듯 어둡고 추웠다. 나쁜 년. 분명히 수술 후에 들러 쉬어가겠다고 전했는데 보일러도 켜놓지 않았다. 하긴 뭐 장한 일 했다고. 창문을 열자 온기를 품은 바람이 파도처럼 밀려들었다. 그제야 옹송그렸던 어깨가 툭 하고 바닥으로 내려앉았다.



   병원에서 나오는 길에 삼계탕이나 한 그릇 사 먹을까 하다가 이마트에 들러 오뚜기 자른 미역 한 봉지와 투플러스 국거리용 한우를 사 들고 왔다. 미역을 물에 불려놓고 미역국 레시피를 핸드폰으로 검색했다. 검색창에 미역국을 치자 ‘미역국 맛있게 끓이는 방법’이 가장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 맛있게, 먹을 자격이 있나. 잠깐 망설였지만 기왕 먹을 거면 맛있는 게 좋지. 결론 내렸다. 그러나 해린의 집에는 참기름도, 국간장도 없었다. 결국 맛있게 먹긴 글렀다. 없는 대로 대충 끓여낸 국을 예쁜 그릇에다 옮겨 담고 접어놓은 테이블 러너 위에 올린 후 사진을 찍어 해린에게 전송했다. 보기엔 그럴듯했다.     

  


  그건 살인이야. 하느님의 심판을 받게 될 거야. 수술 계획을 말하자 해린이 대뜸 내던진 말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만나온 20년 지기에게 이런 야멸찬 말을 비수인 양 휘두르게 하다니 너의 하느님은 도대체 너를 어떻게 가르친 거니. 생각했지만 지옥에 떨어진대도 어쩔 수 없어. 라고만 말했다. 미역국을 떠서 한입 먹어본다. 간이 되지 않아 심심하다. 오래 불리지 않고 푹 끓이지 않아 꼬들꼬들한 미역이 식도를 타고 위장을 거쳐 자궁에까지 닿기를 바라본다. 라일락 꽃향기가 코끝을 스친다. 코끝이 시큰거리며 눈물이 난다. 눈물방울이 미역국 안으로 퐁당 떨어진다. 이제 간이 좀 맞겠네. 숟가락 가득 미역국을 퍼 올린다.


매거진의 이전글 소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