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금 Apr 01. 2021

직장에서 '정치'의 역할

어느 직종에서나 생기는 포지션

직장에 다닌다는 것은 최소한 하나의 '힘듦'을 수반한다. 야근이 힘들던지, 월급이 적어서 힘들던지, 사람이 힘들던지, 일찍 일어나는 게 힘들던지, 성과가 안 나오던지 적어도 하나는 힘들다. 그중 참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는 것이다.


내가 열심히 하고 있는데도 성과가 없을 때 보통 무언가의 탓으로 돌리게 된다. 열심히 하지 않아도 누군가는 습관처럼 탓을 하기도 한다. 구조 탓, 상사 탓, 동료 탓, 예산 탓, 상황 탓. 그 탓을 기점으로 업무만으로도 바쁜 직장에서 정치 또는 친목도모가 시작된다. 회사를 마치고 나면 진짜 활동이 진행되는데 대면활동과 비대면 활동이 있다. 돌이켜보면 생각보다 조직적이고 관계지향적인 활동이다.


 이 정치활동은 사람마다 성향에 따라 다르게 전개되는데 대부분의 목표는 같다. '내가 의지할 수 있는 동지를 만드는 것' 혹은  '내가 있는 자리를 견고히 하는 것' 이 그것이다. 나의 경험상 작은 조직에서는 대부분 수평적 정치활동이 전개되고 비교적 큰 조직에서는 수직적인 활동도 포함된다. (설명이 뭔가 전략가 같다) 비교적 큰 조직에서는 정치가 진급에 필수조건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일을 해보니 직장 내 정치 자체가 나쁘다고 말을 못 하겠다. 직장을 다니는 순간 어느 정도 그 분위기에 동조하게 된다. '어휴 유치하게 정치질이라뇨'라고 하지만 정치질은 사회생활과 인간관계의 중간 정도에 위치해있는 느낌이다. 가끔 소통의 창구가 되기도 한다. 이 시간을 통해 마음을 의지하는 동료를 만들기도 하고 나를 힘들게 하는 누군가를 함께 욕하며 직장을 견디는 동력을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무엇이든 과하면 탈 난다. 가끔 일보다 정치질이 목적이 되는 사람들을 종종 본다. '일을 어떻게 잘해볼까?'라거나, '누군가의 부당함을 이겨내고 일 잘해보자'라는 것을 넘어서 본인의 자리를 유지하는 것에 많은 에너지를 쓰는 사람이 있다.


이런 분위기는 스펀지에 물방울이 떨어지듯 천천히 스며든다. 어느 정도 스며들 때까지 티도 안 나다가 어느 순간 스펀지를 눌렀을 때 적지 않은 양의 물을 흡수했음을 알 수 있다. 뒤돌아 보면 알 수 있지만 그때 수습해보겠다고 티 나게 스펀지의 물을 짜기란 쉽지 않다.


'직장 내에서 나의 자리를 견고히 하는 것' '내가 한 일을 오롯이 인정받는 것' 사실 이것은 정치로 통제할 수 없는 '평판'이라는 영역이다. 내가 한 일에 대해 아예 언급하지 않는 것은 호구가 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언급은 분위기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사실 나도 관찰자지 실무자는 아니다. 모든 면에서 현명하게 일을 해왔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어디나 그렇듯 직장 또한 많은 경우의 수양면을 지닌 공간이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평판에 있어 억울한 상황은 드물다. 하지만 누군가에겐 억울해진다면 끝도 없이 억울해질 수 있는 공간이 직장이라는 생각도 동시에 한다.


개인적으로 직장에 다닌다면 자기 계발과 월급. 이 두 가지가 첫 번째 목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을 하러 왔으니 내가 좋아하는 일이든 아니든 일단 최소한의 계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내가 일한 것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아야 한다. 개인적으로 내가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통제하는 개인사업자가 아니라면 이 두 가지는 기본적인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일을 하러 왔으면 일부터 했으면 좋겠다.


정치를 열심히 하지 않아도 진짜 좋은 동료는 자연스럽게 생긴다. 아직 안 생겼다면 아직 나와 맞는 팀원이 회사에 안 들어온 거다. 동료도 넓게 보면 인연이다. 인연을 만나기엔 직장이 좁은 경우도 많다. 뒤돌아보니 관계 운운하는 사람들이 건강한 관계를 이어가지 못하더라. 진짜 사람, 진짜 인정은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사진 unsplash  



이전 06화 배려의 순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