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돈다돌아 Dec 09. 2023

쇼펜하우어는 왜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일까?

[남에게 보여주려고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 책 리뷰







1. 쇼펜하우어와 접점 만들기

요즘 쇼펜하우어 열풍입니다. 염세주의적 의지주의자 같은 이상한 용어로 표현하기 좋은 쇼펜하우어의 번역서가 굉장한 인기입니다. 출판계에서는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쇼펜하우어 책을 팍팍 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저처럼 습자지 같은 얕은 지성의 소유자도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습니다. 이럴 때 같이 읽어줘야 거 뭐 대충 한 번 읽어봤다고 하면서 스리슬쩍 지식인 사이에 무임승차하기 좋은 것입니다. 인생은 타이밍입니다.


쇼펜하우어의 가치관, 인간에 대한 인생론을 살펴볼 수 있는 에세이 성격의 소품집인 <남에게 보여주려고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에 따르면 쇼펜하우어는 저 같은 범인을 대체로 하급으로 취급하며 경멸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세간의 관심을 원하거나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자 하는 태도를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지요. '인생은 혼자야, 혼자 고고하게 고독을 즐기고 인생을 관조하는 것이 왓따인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 시대에 쇼펜하우어가 회자되는 것은 쇼펜하우어 철학의 정수에 대한 평가라기보다는 이런 독고다이식 사고와 태도, 역설적으로 나르시시즘적인 쇼펜하우어의 대찬 모습이 특히 부각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전문가들의 코멘트나 기사 등에 요즘 유행하고 있는 쇼펜하우어 관련 책들에 대해 언급할 때 매우 짧고 모호하게 대충 평가하고 넘어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듭니다.


철학이 부재한 시대에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같은 후덜덜한 제목을 달고 있는 철학자의 사상이 유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 양반은 다음 책도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로 '의지'를 매우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쇼츠나 릴스 등의 짧은 영상으로 무장된 우리 시대에 의지는 먼 달나라에 가 있는 풍조를 감안하면 쇼펜하우어의 사상이 사실 시대적으로도 딱 달라붙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런 소품집을 통해 쇼펜하우어와 일종의 접점을 만들어 가는 현상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도 가열차게 편승해 보기로 합시다.






2. 쇼펜하우어는 왜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일까?

쇼펜하우어는 소품집인 이 책에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행복론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의 절반을 할애해 기본적인 분류, 개인의 본질, 개인의 소유물, 개인의 외면 등으로 구분해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지 철저히(!) 자신의 관점에서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이 파트에서 쇼펜하우어의 엄청난 꼰대력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정말 작금의 현대인이 보기에는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 없는 꼰대력입니다. 읽으면서 고개를 여러 차례 절레절레 흔들고 말았습니다.


책의 후반부는 아포리즘 스타일로 권고와 격언을 하고 있는데 총 52가지 정도 인생 조언을 무작위로 쏟아붓고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말하자면 명언 폭격이고 좀 더 솔직히 말하자면 뭔가 체계적이지 않은 잔소리로 보여 기기도 합니다. 52가지를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자기 자신에 대한 태도, 타인에 대한 태도, 세상사와 운명을 대하는 태도로 나누고 있는데 이게 편집자가 분류를 한 것인지 본인이 애초에 이렇게 구성을 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걸 굳이 알 필요까지는 없는 격언이라 그냥 하나하나 의미를 찾아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책의 말미에는 '나이의 차이에 대하여'라는 타이틀로 인생 초반부터 말년까지를 조망하면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조언을 해주고 있습니다. 이 마지막 파트는 쇼펜하우어가 인간의 일생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부분으로 좀 더 집중해서 읽으면 좋을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원티어 꼰대력은 여전했던 파트였습니다. 특히 이 마지막 파트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기존 저서를 어찌나 홍보하는지 이건 뭐 협찬을 쎄게 받았나 싶은 느낌이 들 정도였습니다. 그만큼 자기 철학에 자신이 있고 자뻑이 심했던 것 같습니다.


쇼펜하우어는 도대체 왜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일까요? 아쉽게도 이 책만 읽어서는 쇼펜하우어가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뭔가 편향된 듯한 이야기들을 확신에 차서 내뱉는지 감을 잡기 어렵습니다. 이 책에 실린 쇼펜하우어의 여러 주장들을 이해하려면 쇼펜하우어의 일생과 가족사, 경제적 상황, 애정사 등 책 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쇼펜하우어의 일생을 살펴보다 보면 '아, 이 사람은 자기가 잘 난 것을 아무도 몰라주고, 사람들이랑 어울리지도 못했던 고독한 상황에서는 이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겠구나..'하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그리하야 이 양반을 어느 정도 이해함과 동시에 측은함도 느껴지는 기묘한 감정에 휩쓸리게 됩니다.


이 책은 쇼펜하우어의 생각과 주장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책이고, 그 와중에 통찰이 느껴지는 좋은 글들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베다나 우파니샤드 등 인도철학을 이해하고, 동서양의 철학에 대한 통섭적 접근을 한 부분도 좋았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확신은 항상 역풍을 맞기 마련입니다. 인종이나, 여성에 대한 그의 주장은 읽기 힘들 지경입니다. 평생을 돈 걱정 없이 살아서인지 먹고살기 위해 노력하는 행위에 대한 리스펙트가 1도 없는 것 역시 안타깝습니다.


고립된 환경 속에서 철학적 고찰로 파고들 수밖에 없는 환경은 천재 쇼펜하우어를 시대를 넘어서는 철학자로 만들어주었습니다, 그러나 본인은 외롭지 않고 고독을 즐기며 정신적인 고양을 최고의 선이라 주장하는 그의 태도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라는 전제하에 무리에 끼지 못했을 때 어떤 부작용이 생기는지, 그 인간이 남다르게 너무 똑똑해서 재수가 없어서 일 때 어떤 정신승리를 할 수 있는지 똑똑히 보여주는 교보재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난 간단한 인상비평을 남겨 보자면 이렇습니다. "시대적 인식 차이, 꼰대, 편견과 선입관의 향연 그러나 이상하게 맞는 말이 많아 마냥 욕하기도 어렵다.", "성급한 일반화와 통찰 사이의 아슬아슬한 출타기가 지속되니 독자 입장에서는 죽을 맛, 아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말 또 하고 한말 또 하는 거 진짜 미칠 지경입니다. 정말 귀에서 피가 나는 느낌입니다. 이상 끝!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도 어른도 함께 자라고 성장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