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음 Jul 26. 2023

부모의 말을 통해 자녀가 듣는 것

둘째. 자녀의 처지에서 부모의 훈계가 어떻게 들릴지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아이가 청소년기에 들어서면 부모 입장에서는 못마땅한 말이나 행동은 더 많아집니다. 밥 먹을 때도 붙잡고 있는 스마트폰, 성문처럼 닫겨 있는 아이의 방문, 고슴도치 가시처럼 따가운 말투, 잔소리가 시작도 안되었는데 서늘해진 눈빛... 부모인 우리들은 밖에 나가서 이런 대우를 받아본 적이 없을 텐데, 청소년 자녀들에게서는 모양 빠지는 대우를 감당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어찌 보면 부모의 분노는 정당하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럼에도 부모의 분노가 담긴 훈계 또는 잔소리가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지에 대해서는 숙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의 분노가 아무리 정당하다고 하더라도 그 속에 담긴 부모의 본심이 왜곡되어 전달된다면 부모로서는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나지오는 청소년 자녀가 부모의 말을 통해 무엇을 듣고 있는지 주목하라고 말합니다.



그는 청소년 자녀가 부모의 말을 통해 듣는 것은 "부모가 그들의 영혼에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라고 말합니다. 다소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말입니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 보면 그 느낌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말이 부모가 자녀를 인격과 영혼이 있는 존재로 대하고 있는지를 되묻고 있는 것 같이 느껴졌습니다. 자녀 역시 자신의 문제를 자각하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름대로 고심하고 있다는 걸 믿어주고 있느냐는 것 아닐까요?


전 그렇지 못할 때가 많았습니다. 청소년 자녀를 여전히 어린아이 취급하며 스스로 문제의식이 없는 아이처럼 판단하거나 비난할 때가 적지 않았죠. 하지만 저희 아이뿐만 아니라 주변의 청소년들을 생각했을 때 스스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별로 없었습니다. 오히려 반대이지요. 스스로 문제가 너무 많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더 많고, 그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센 척하거나 숨어 버릴 때가 많다는 걸 이제서야 깨닫습니다.


이럴 때 "부모"가 할 수 있는 건 자녀에 대한 굳은 믿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6년 전 제가 상담을 처음 받을 때 상담사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이 떠오르네요. "자녀를 하나님께 맡기려면, 자녀를 먼저 믿을 수 있어야 해요." 그 당시엔 이 말이 알쏭달쏭했지만 이젠 무슨 말인지 좀 더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녀를 믿는다는 건 자녀를 "믿어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하나님께서 연약한 인간인 우리를 믿어 주셔서 우리를 부모 되게 하시고, 소중한 자녀를 맡겨 주신 것처럼요. 여전히 불안하고 믿음직스럽지 못해 보이는 모습이 많아 보여도, 아이도 나름의 방식으로 치열하게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음을 믿어 준다면, 그 믿음이 아이에게 전달된다면 어떨까요. 그런 부모의 믿음은 힘이 셉니다.


상담심리사로 수련하는 과정에서는 상담 과정을 수퍼바이저에게 드러내고, 수퍼비전을 받아야 합니다. 많이 혼나기도 했지만 그 중 오래 기억하고 싶은 수퍼바이저의 피드백을 나누고 싶습니다. "상담자의 내담자를 향한 굳은 믿음이 내담자를 이만큼 변화시킨 것 같네요." 제가 내담자를 그렇게까지 믿어주고 있는 건지 몰랐는데 그 피드백을 듣고 깨닫게 되었어요. 내담자를 굳게 믿고 있었구나. 그리고 그 믿음이 내담자에게 전달이 되었구나. 많이 기뻤습니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도 이런 변화가 가능한데 부모와 자녀의 관계라면 얼마나 더 치유적일까요. 서로를 믿어주는 부모와 자녀. 오늘도 그런 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한 걸음을 떼어 봅니다.


@inside.talk_

인사이드토크 마음연구소

https://insidetalk.oopy.io/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