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용섭 Sep 28. 2024

잃어버린 역사 200년 '실상사'

‘구산선문’ 최초 가람, 지리산 실상사

▲실상사 입구 ‘해탈교’에서 바라본 지리산의 모습이다. 중앙의 높은 봉우리가 천왕봉이고, 바라보는 방향 왼쪽 산줄기가 중봉-하봉으로 이어지는 동부능선, 오른쪽 산줄기는 제석봉-장터목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이다. 중앙의 낮은 봉우리는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창암산이다. 사진 아래의 하천은 뱀사골, 달궁, 운봉, 아영의 여러 물길이 모여 흐르는 만수천으로, 함양 마천면으로 흐르며 ‘임천’으로 이름이 바뀐다.

    

12월 하순에 접어들자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졌다.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늘어나는 ‘확진’ 소식에 우리 삶의 주위도 거대한 벽에 갇힌 채 얼어붙은듯하다. 모쪼록 ‘생명의 산’ 지리산이 이 모든 어려움을 이겨내는 위로와 격려의 공간이 되길 소망하며 희망의 걸음을 걷는다.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있는 실상사는 신라하대인 828년(흥덕왕3) 홍척증각국사에 의해 창건된 구산선문 최초의 가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렇듯 유구한 역사를 지닌 절집인 만큼 실상사에는 승탑과 탑비, 석탑, 석등, 그리고 철불 등의 귀중한 문화재가 남아 옛 역사를 전하고 있다. 하지만 실상사의 전각들은 모두 17세기 후반에 중창불사가 이루어졌고, 그 후로도 거듭되는 중건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특히 1882년(고종 19)에는 절터를 가로채기 위한 민간인들의 방화에 의해 전각들이 불타버려 다시 지어졌다고 하니, 평야지대에 위치한 대가람 실상사는 전란과 방화에 의해 절집이 불타버리는 고단한 역사를 반복해서 겪어왔던 것이다.     


그런데 16세기~17세기에 지리산을 유람하며 이곳을 다녀간 선비들의 기록에서 이러한 실상사의 역사 속 풍경을 만날 수 있어 흥미롭다. 실상사는 조선 전기 세조(재위기간 1455~1468) 때 큰불이 나서 폐허가 된 후, 무려 200년 동안이나 방치된 채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폐사상태에 있던 실상사의 모습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잘 알려진 양대박 장군(1543~1592)이 1586년 지리산 유람을 하고 남긴 「두류산기행록」에 잘 드러난다.     


"절은 폐허가 된 지 1백년이 지나, 무너진 담과 깨진 주춧돌이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고, 철불이 석상(石床) 위에 우뚝 앉아있었다."   

  

그런가하면 그로부터 정확히 100년 후 성리학자 우담 정시한(1625~1707) 선생은 1686년 4월과 8월 두 차례 실상사를 들르는데, 그의 『산중일기』에 중창불사가 한창이던 당시 실상사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생생하게 알려주고 있다.


"4월 25일 미시(오후 1시~3시)에 실상사에 닿았다.(중략) 법당 화주(化主) 일행(一行)스님과 기와 화주 계오스님도 와서 만났다.(중략) 이 절의 스님들은 지금 마을사람들과 절 땅을 놓고 다툼이 있어 제대로 보존이 어려운 형국이라고 한다. (중략) 법당의 옛날 철불을 보았다. 절의 터로 보아 실로 거찰(巨刹)이다."

    

"8월 22일 향로전에 들어가니 불존승 담익과 화주 일행·계오 스님이 들어와 보았다. 잠시 뒤에 한 스님이 들어오는데 바로 영휴대사였다. 파근사에서 온지 10여 일 되었다는데, 불상 뒤에 조성하는 후불탱화를 증명하기 위해서 왔다고 한다."     


100년 전 절집 마당에 방치된 채 석상(좌대) 위에 덩그러니 앉아있었다고 하였던 철불은 새롭게 지어진 법당(약사전) 안으로 모셔졌고, 승려들이 머무는 향로전 등 일부 건물들의 중건도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불사의 소임을 맡은 ‘법당과 기와 화주’ 스님들이 머물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실상사의 중창불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랫동안 폐사상태로 있다 보니 이렇듯 절터의 소유권 다툼 문제가 일어났을 것이다. 100년을 사이에 두고 모습을 달리하고 있는 실상사의 풍경을 ‘양대박과 정시한’이라는 역사인물의 ‘지리산 유람록’에서 확인할 수 있음이 뜻밖이다. 현재 실상사의 유물유적 안내판에는 대체로 ‘정유재란 때에 피해를 입은 후 다시 중건되었다‘라고 되어있다.     


▲실상사 약사전 철불


또한 불상의 후불탱화 증명법사로 온 영휴대사가 머물던 ‘파근사’라는 절집 이름에 눈길이 간다. 지리산 정령치로 오르는 도로(정령치路) ‘비폭교’에서 오른쪽 산자락으로 오르면 파근사 옛 절터가 있다. 오랫동안 파근사에서 주석하였고, 지리산 영원암을 비롯한 여러 절집에서 강석을 펼쳤던 조선후기의 고승 용담조관대사(1700-1762)는 실상사에서 입적을 하였다. 그 후 대사의 사리를 실상사, 파근사, 감로사(천은사)에 모셨다고 하는데, 이 기록에서도 이 두 절집이 지녔을 연관성이 남달랐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대사의 승탑(용담대화상탑)은 실상사 천왕문을 나와, 오른쪽 약수암 가는 길 약 100m 쯤에 있는 작은 개울을 건너 오른쪽 농로를 따라가면 만날 수 있다.[2020.12.22.]    



#지리산 #실상사 #용담조관 #만수천 #구산선문 #약사전 #정시한 #양대박 #철불

이전 19화 가슴 먹먹한 사랑 '화엄사 효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