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자의 잡학사전 #1] 단어의 예술, Ambigram
다음과 같이 180도를 돌려도 같은 글자로 인식되는 단어들이 있다.
이와 같은 글자들을 '앰비그램(Ambigram)'이라 부른다. 앰비그램이 유명해진 것은 댄 브라운의 소설 '천사와 악마'에서 일루미나티의 앰비그램이 사용된 것이 화제가 된 이후부터이다. 실제로 이 소설에 사용된 앰비그램은 유명 앰비그램 아티스트인 존 랭던(John Langdon)이 만들었고, 주인공의 이름 로버트 랭던(Robert Langdon)은 존 랭던의 이름을 따와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앰비그램'이란 단어는 유명 인지과학자, 더글라스 호프스태더(Douglas Hofstadter)가 친구들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만들어진 단어라고 한다. 그의 유명 저서인 괴델, 에셔, 바흐 (Gödel, Escher, Bach)의 표지에도 3차원형 앰비그램이 그려져 있다.
아마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저 위의 그림도 앰비그램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는 사실에 놀랐을 것이다. 앰비그램은 시선 방향과 관점이 달라져도 어떤 의미로 다시 해석되는 예술품을 말한다. 실제 의미하는 바가 넓기 때문에, 앰비그램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여기서 그중 몇 가지 형태를 골라 소개해보겠다.
거울을 비출 경우, 의미가 있는 단어가 다시 보이는 앰비그램이다.
돌리거나 거울을 비추는 등의 물리적 조작을 가하지 않아도, 인지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앰비그램이다.
특이한 폰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그 상태만으로 앰비그램이 되는 것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dollop, suns, pod 등이 있고, 한국어에는 '곰', '문'을 들 수 있다.
그럼 이와 같은 앰비그램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위키하우 페이지에서 매우 간단한 앰비그램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준 높은 작품을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앰비그램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얻기에는 충분하다.
https://www.wikihow.com/Make-an-Ambigram
직접 만들기 힘들다면, 앰비그램을 만들어주는 사이트와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먼저 flipscript는 두 단어를 입력하면 다양한 폰트로 앰비그램을 만들어주며, 사이트에 들어가 무료로 시험을 해보면 두 가지 폰트로 앰비그램을 생성해준다.
그리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Ambigram studio 앱을 이용해도 매우 준수한 앰비그램을 만들어낼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igitalenergy.ambigramstudio&hl=ko
<저작권 정보>
[P1] 저작권: Public domain,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egas_ambigram.svg
[P2]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mbigram_Ambiguity.png, ⓒ Basile Morin
[P3]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mbigram_Ambiguity.png, ⓒ Basile Morin
[P4] (공표된 저작물에 대한 인용), 출처: 네이버 영화
[P5]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Douglas_Hofstadter,_Stanford_2006_(crop).jpg, ⓒ "null0"
[P6]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maxbraun/3196699274, ⓒ Max Braun
[P7]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Optical_Let_it_go_mirror_ambigram_by_Basile_Morin.jpg, ⓒ Basile Morin
[P8] 저작권: CC BY-SA 3.0, 출처 링크: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 Douglas Hofstad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