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영조 Aug 11. 2018

뒤집어도 같은 단어, dollop, suns, pod

[뇌과학자의 잡학사전 #1] 단어의 예술, Ambigram

 다음과 같이 180도를 돌려도 같은 글자로 인식되는 단어들이 있다.

Vegas [P1]
FREE [P2]
Ambiguity [P3]

 이와 같은 글자들을 '앰비그램(Ambigram)'이라 부른다. 앰비그램이 유명해진 것은 댄 브라운의 소설 '천사와 악마'에서 일루미나티의 앰비그램이 사용된 것이 화제가 된 이후부터이다. 실제로 이 소설에 사용된 앰비그램은 유명 앰비그램 아티스트인 존 랭던(John Langdon)이 만들었고, 주인공의 이름 로버트 랭던(Robert Langdon)은 존 랭던의 이름을 따와 지은 것이라고 한다.

영화화된 '천사와 악마' 포스터 [P4]

 '앰비그램'이란 단어는 유명 인지과학자, 더글라스 호프스태더(Douglas Hofstadter)가 친구들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만들어진 단어라고 한다. 그의 유명 저서인 괴델, 에셔, 바흐 (Gödel, Escher, Bach)의 표지에도 3차원형 앰비그램이 그려져 있다.

인지과학자, 더글라스 호프스태더(Douglas Hofstadter) [P5]
더글라스 호프스태더의 저서 '괴델, 에셔, 바흐'에 나와있는 3차원형 앰비그램 [P6]

 아마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저 위의 그림도 앰비그램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는 사실에 놀랐을 것이다. 앰비그램은 시선 방향과 관점이 달라져도 어떤 의미로 다시 해석되는 예술품을 말한다. 실제 의미하는 바가 넓기 때문에, 앰비그램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여기서 그중 몇 가지 형태를 골라 소개해보겠다.


1. 거울 이미지 앰비그램(Mirror image ambigram)

  거울을 비출 경우, 의미가 있는 단어가 다시 보이는 앰비그램이다.

optical - let it go [P7]


2. Perceptual shift

 돌리거나 거울을 비추는 등의 물리적 조작을 가하지 않아도, 인지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앰비그램이다.

Wave - particle [P8]

3. 자연적 앰비그램 (Natural ambigram)

 특이한 폰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그 상태만으로 앰비그램이 되는 것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dollop, suns, pod 등이 있고, 한국어에는 '곰', '문'을 들 수 있다.


 그럼 이와 같은 앰비그램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위키하우 페이지에서 매우 간단한 앰비그램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준 높은 작품을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앰비그램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얻기에는 충분하다.

https://www.wikihow.com/Make-an-Ambigram


 직접 만들기 힘들다면, 앰비그램을 만들어주는 사이트와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먼저 flipscript는 두 단어를 입력하면 다양한 폰트로 앰비그램을 만들어주며, 사이트에 들어가 무료로 시험을 해보면 두 가지 폰트로 앰비그램을 생성해준다.

https://flipscript.com/en/

 그리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Ambigram studio 앱을 이용해도 매우 준수한 앰비그램을 만들어낼 수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igitalenergy.ambigramstudio&hl=ko



<저작권 정보>

[P1] 저작권: Public domain,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Vegas_ambigram.svg

[P2]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mbigram_Ambiguity.png, ⓒ Basile Morin

[P3]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mbigram_Ambiguity.png, ⓒ Basile Morin

[P4] (공표된 저작물에 대한 인용), 출처: 네이버 영화

[P5]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Douglas_Hofstadter,_Stanford_2006_(crop).jpg, ⓒ "null0"

[P6] 저작권: CC BY-SA 2.0, 출처 링크: https://www.flickr.com/photos/maxbraun/3196699274, ⓒ Max Braun

[P7] 저작권: CC BY-SA 4.0, 출처 링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Optical_Let_it_go_mirror_ambigram_by_Basile_Morin.jpg, ⓒ Basile Morin

[P8] 저작권: CC BY-SA 3.0, 출처 링크: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 Douglas Hofstadter

keyword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