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헌문학 Oct 22. 2023

음악은 삶의 유연제

그 저녁 무렵이면 오랜 나무들의 숲.

보이지 않는 뿌리들의 가지들로부터 울려나오는 노래가 있다.

고요한 것들 속에는 텅 비어 울리는 소리가 있다.

그 때마다 엄습하며 내 무릎을 꺾는 흑백의 시간.

이것이 회한이라는 것인지. 산다는 것은 이렇게도 흔들리는 것인가     

시인 박남준 씨가 데이비드 달링의 음악에서 영감을 얻고 썼다는

시 <저녁 무렵에 오는 첼로>의 한 구절입니다.          

가만히 귀를 기울여 보지요. 사물 깊은 곳에 존재의 노래가 들리시나요.

시인은 만물이 제 자리로 돌아가는 이런 저녁 무렵이면 고요한 가운데 저 마다의 뿌리서부터 울려나오는 어떤 소리들이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게 귀가 뜨인 시인의 귀를 지니게 되면 세상은 온통 그윽한 음정으로 차오를 수 있겠죠.      

그렇게요. 우리 일상으로 재미있는 소리나 음악들이 내가 서 있는 곳의 배경인 듯 공기인 듯 흐르고 있어 줬으면 좋겠어요. 마치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흘러나오는 BGM처럼 말이죠. 만일 그렇게 된다면 우리들 하루하루는 한 편의 감동적인 영화의 한 장면처럼 곱게 채색되고 더 풍요로워지지 않을까요.     

세탁물의 재질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섬유유연제라는 게 있죠. 

그러고 보면 음악이란 건 현실의 메마르고 거친 결을 비단 결처럼 부드럽게 해주는 

그런 '삶의 유연제'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억제해둔 감정과 맺혀있는 응어리 따위는 음악에 내장돼있는 자정작용, 

넋과 멜로디의 화학반응으로      

맘껏, 양껏 모조리 풀어내보지요.

이전 27화 감긴 채로 뜬 눈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