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보의사 Jan 07. 2023

쿰즈검사 제대로 알고가자.


Autoimmune hemolytic anemia 진단에 활용되는 쿰즈검사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보자.

매우 기본적인 내용으로 생각되나 여기저기 참고서에는 설명이 부족하다.

필자처럼 쿰즈.. 어.. 적혈구.. 머 serum.. 용혈반응. 간접/직접 뭐였드라? 정도만 알고있다면 꼭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의문을 가졌던 내용

1) 쿰즈검사 시약에 대해 설명이 잘 안되어 있음 

--> 보통 책에는 "anti-human globulin" 이라고 써있는데 자세한 설명들에는 IgG니 C3d니 하는 말이 나옴. 아니 글로불린이 얼마나 종류가 많은데 이렇게 broad하게 이름을 지어놓은 건지..?

--> 찾아보니 쿰즈검사 시약 (Anti-human globulin)은 1) Anti-IgG와 Anti-C3d임 

--> 왜 쿰즈검사 시약은 anti-IgG & C3d 인가? (warm은 IgG 매개, cold는 IgM 매개라면서 왜 IgM으로 안했나? cold 또한 항원항체 매개반응 이라면 C3d 보기전에 IgM을 보는게 더 primary 하지 않은가?


0. 기본

직접쿰즈검사 = direct coombs=DAT (direct antigloblulin test)

간접쿰즈검사 = indirect coombs=IAT (indirect antiglobulin test) 


(본문 그림 및 주요 내용 참고 출처: https://www.hindawi.com/journals/bmri/2015/363278/)


1. warm HA의 RBC에는 IgG가 붙음. (IgG가 문제되는 자가항체인것임.)

Figure 2  Mechanisms of erythrocyte destruction in warm-antibody autoimmune hemolytic anemia.

warm에서는 IgG 가 붙어있음 1) 마크로파지가 표면에 붙은 IgG에 달라붙어서 떙기면서 모양 똥그래짐

--> spherocytosis, 즉 공모양 되서 비장 그물에 걸려서 깨짐 => 혈관외용혈 발생

2) IgG 붙어있으니께 비장 내 macrophage에 의해서도 직접 탐식 (비장안에서도 넘나 땡기나봄) 

==> 요건 anti-IgG로 검사를 진행한다. 

+ warm에서도 C3d 양성인데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complement activation does occur to some extent, at least in a proportion of the patients, but is hardly essential for hemolysis in w-AIHA. DAT positivity for C3 fragments is a marker of complement involvement."

==> warm에서도 보체 활성화 된다고. 근데 별로 중요한건 아니야. 


2.   cold HA의 RBC에는 IgM이 붙음. (이 IgM이 자가항체이며, 요게 cold agglutinin임)

Figure 3 Immune-initiated, complement-mediated erythrocyte destruction in cold agglutinin disease (CAD) and cold agglutinin syndrome (CAS). 


1) cold HA에서 문제되는 자가항체 IgM (cold agglutinin) 은 RBC에 맨날 달라붙어있는게 아님. 

(윗 그림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음) 

---> 혈액이 돌다가 손가락 발가락 같이 차가운곳 (3-4도) 가야 달라붙음 (추우니까 펭귄처럼 달라붙는듯)

---> IgM이 RBC에 달라붙으면 굉장히 강력한 보체활성물질이 된다고 함. RBC가 antigen개념임.

---> 여기에 (IgM-RBC 붙어있는거) C1이 달라붙고 classical complement pathway 활성화되면서 이름이 바뀜. 결국 C3b까지 진화를 해나가는데 이때까지 IgM-RBC-보체(C)가 다같이 들러붙어 있는 형태임

---> 혈액이 돌면서 심부로 가서 37도 쯤 뜨끈뜨끈해지면 IgM이 RBC로부터 떨어져나감. (더우니까 떨어지는듯) 근데 문제는, 보체 (C3b)는 아직 RBC랑 달라붙어 있는 상태임. RBC-C3b는 간으로 가면 간의 대식세포 (주로 쿠퍼셀)가 먹어치우는데, 꿋꿋이 살아남은 애들은 C3b가 쪼끔 떨어져 나가면서 C3d로 바뀜.

---> 그래서 간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요놈들이 RBC-C3d 붙어있는 것들이 되겠다.

====> 따라서 cold HA에 대해 쿰즈검사시 C3d만 양성. (IgG는 말할것도 없이 당연히 음성이다.)

====> 즉 cold HA에서 C3d를 보겠다는건, IgM이 머물렀던 흔적을 보겠다는 거임. 


--> RBC-C3d 달라붙어있는 형태의 생존자 RBC는 이후 보체활성화 경로 에 따라 (?) 혈관내에서 용혈됨. 

===> 따라서 cold HA는 보체에 의한 혈관내 용혈임. 



** 그럼 간접/직접 그건 뭐냐.

기본적으로 간접이나 직접이나 둘다 RBC (항원) -- RBC에 달라붙는 모종의 항체 (anti-IgG/C3d) 있는지 보는 검사. 

- 직접검사는 이미 완성형으로 "RBC-자가면역항체" 들러 붙어 있는 요놈이 있는지 보겠다는거고.

- 간접검사는 아직 RBC에 달라붙지는 못했지만, 달라붙을 준비를 하고 있는 자가항체가 있긴있는지 보는검사.

===> 따라서 간접검사가 더 sensitive함. 검사법은 너무 기본적인 내용으로 생략. 

단, 꼭 알아둬야 할거는, 간접검사나 직접검사나 혈구-혈청 섞은 다음에 둘다 똑같이 "시약"을 넣음. 

---> 시약이 anti-IgG 또는 anti-C3d 임. 

==> 요걸 넣어서 달라붙게 되면 RBC가 응집이 되면서 눈으로 확인을 할수가 있음. 

(아니 그럼 그냥 간접검사는 혈청 본다면서 혈청에다가 그냥 시약만 넣으면 되는거 아닌가? 굳이 RBC를 넣어줘야되냐? ---> ㅇㅇ 넣어야됨. 이건 결과를 western blot 등 분자생물학적으로 보는게 아니고, 항체들이 마구 달라붙으면서 끝에달린 RBC들이 뭉게뭉게 뭉쳐지는걸로 결과를 보는 방법이기 땜에..!) 


==> 결과적으로 간접검사나 직접검사나 둘다 똑같은거 보는거기때문에 결과는 간접이든 직접이든 음성/양성으로 본다. (간접은 양성이고 직접은 음성 등등 2x2 결과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지고 그런게 없다는 말이다. 물론 예외도 있을수 있지만 아직 기본적인 것도 잘 모를땐 이정도만 이해.. (ref check 필요)  

---> 간접에서 양성 나왔으면 그건 어짜피 RBC와 complex 이룬다는 얘기라서 환자 RBC에도 complex 있을거다. 

===> 수혈 교차시험에서는 당연히 간접 쓴다. (간접이 더 sensitive, 직접으로 하면 채혈하는 그 순간 RBC와 미처 안붙은 antibody 있을수 있기때문에.)  

===> 직접/간접검사 결론 : 간접검사 -- 스크리닝 // 직접검사 -- 찐 

 

참고) PNH는 항원항체 반응 없이 혈관내 보체 활성화 되니까 쿰즈 음성이다. 


끝.

추가할 사항/수정필요한 사항 있으면 코멘트 부탁드리겠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