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타 Aug 17. 2020

비숲? 라이프? - 비밀의 숲 시즌 2 1, 2회 리뷰

tvN 비밀의 숲 시즌 2 1, 2회 리뷰

비숲? 라이프? - 비밀의 숲 시즌 2 1, 2회 리뷰


∗ 비밀의 숲 시즌 2를 보고 계신 분들이 보시길 추천합니다.

∗ 비밀의 숲 시즌 1, 라이프를 보신 분들이 보시면 더 재미있을 듯?



#1. 드라마는 글이 아닌 영상이다 - 비밀의 숲 시즌 1


 “드라마는 글이 아니다. 영상이다. 그렇기에 영상으로 복선을 세팅하고 거둬들여야 한다. 영상으로 스토리의 전개를 해야 한다. 영상으로 시청자들을 납득시켜야 한다. 모든 걸 영상으로 보여줘야 하는 게 드라마다. 그러나 비밀의 숲은 과도하게 친절했다. 혹여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시청자들을 위해 극 중 내용을 캐릭터의 대사로 풀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비밀의 숲 시즌1을 비평하면서 쓴 내용이다. 비밀의 숲 시즌2에도 이 경향이 답습했다. 모든 걸 대사로만 풀려고 한다. 그것도 첫 화에서.


 어느 정도 이해는 간다. ‘검경 수사권 조정’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큰 틀로 잡고 있는 드라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라마는 글이 아닌 영상이기에 최대한 영상으로 풀어내야 한다. 시즌1에서 드러난 아쉬운 점이 1화에 고스란히 등장하니 솔직히 맥이 빠졌다.


#2. 플롯의 산발성 - 라이프


 “<비밀의 숲>이 칭송받았던 이유. 뚝심이다. 오로지 한 가지 사건을 전제로 극을 진행한다. 사건 해결 과정에서 이뤄지는 완벽한 ‘떡밥 회수’도 압권이었다. (중략) <라이프>는 아니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부수적인 장치가 많아졌다. 대표적으로 화정 그룹과 새글 21. 분량이 늘어나는 이들의 모습 속에서 <라이프>의 스토리는 밋밋해져 갔다. 결국 메인 플롯은 뒷전으로 몰렸고 메인 갈등 중 하나인 이보연 원장의 죽음 원인이 14화, 김태상의 대사로만 풀리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졌다. 동시에 진우와 선우의 형제애, 진우와 서현, 승효와 노을의 러브라인 등 서브플롯들이 튀기 시작했다.” 


 라이프를 비평하면서 쓴 내용이다. 요약하면 플롯의 산발성이 라이프의 주제의식을 뚜렷하게 구현해내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비밀의 숲 시즌2’에서 벌써부터 이 조짐이 보인다. 수많은 대사를 하나하나 뜯어보면, 지적하고 싶은 현실의 문제들이 너무나도 많다. 시청자가 기대한 건 비밀의 숲 시즌 1에서 드러난 뚝심이다. 이 뚝심에서 빚어진 황시목을 보고 싶어 한다. 2화에선 이 뚝심의 기초가 나올 줄 알았지만 어떠한 사건 하나도 발생하지 않았다. 뚝심을 쌓아 올리기 위한 토대가 벌써부터 어그러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제 시작이다. 이제 1, 2화 했다.’ 맞는 말이다. 표본이 부족하니 제대로 된 평가를 할 수 없다. (그래서 평론이 아닌 리뷰라고 썼다.) 우려되는 건 ‘비밀의 숲 시즌 1’과 ‘라이프’에서 나온 아쉬운 점이 벌써부터 드러났다는 점이다. 이제 시작이고 이제 1, 2화 했는데.


 그래도 나는 토, 일요일에 약속을 반납하고 비숲 2를 보고 있겠지... ㅎㅎ

매거진의 이전글 숲만 추구해서 더욱 아쉬운 드라마 ‘보이스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