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와붕가 Apr 30. 2024

모임방을 나갔다.

조용히 나가기.

오래됐지만, 교류가 없는 모임방.


내게 회사 모임 두 개가 있다.

하나는 5호선 1 급지 K역이고, 다른 하나는 4,6호선 환승역 S역이다.


오늘 K역 모임방을 나갔다.

행적을 남기지 않으려고 카톡 새로운 기능인 '조용히 나가기'를 사용했다.


나는 지난번 총무였다.


운 좋게? 코로나 시절 총무를 맡았다.

여기서 운 좋게라는 표현은 코로나로 인해 모임을 자주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총무의 일이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전 총무를 맡았던 형(난 직장 내에서 친한 몇몇 사람을 이렇게 부른다.)이 나를 새 총무로 지목하면서 K역 총무를 시작했다.


K역 모임 구성인원은 퇴직자 1명, 현장 근무 4명, 본사 근무 4명으로 이뤄져 있다.

모임 시작에는 구심점인 K역 역장이 있었다. 그는 한 직원에게 모임을 만들라 했고,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그런데 지금 모임에서 역장은 어디 있는가?


그는 한 번도 회비를 내지 않았다. 첫 시작부터 잘못됐다. 

그는 가장 많은 혜택을 보았다. 각종 경조사를 회원들로부터 챙겨 받았다.

퇴직 후 본인이 키우는 농산물을 회원들에게 팔았다.


농산물의 상태는 상품으로 가치가 떨어졌다.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이런 상품을 판단 말인가.


두 번을 도의적으로 사줬다. 세 번째 부탁이 들어왔다.

난 모임방에 설문조사를 하고 정중히 거절 의사를 밝혔다.


이후로 그에게 연락이 없었다. 

이 쓸쓸함이 뭘까. 


모임방에 찬 바람이 불다.


난 6개월에 한 번씩 회비를 정리했다. 그렇게 자동이체를 말해도 끝까지 안 하는 두 명이 있다.

(저 둘은 나중에 모임유지에 투표를 했다.) 

전 총무였던 형이 회비를 몇 달치 납부를 하지 않아서 연락을 했다.


"형, 잘 지내죠? 회비가 몇 달 밀렸네요. 흐흐"

"코와붕가씨, 나 이제 모임에서 빠지려고.."

"에이.. 농담 좀 하지 마쇼."

"진짜야. 내 개인 시간을 가지려고."

"....."


몇 년간 모임을 성실하게 운영해 왔던 사람이기에 놀랐다. 

며칠 후 다른 회원에게 전화가 왔다.


"총무님, 우리 모임 이쯤에서 그만하면 안 될까?"

"그러면 제가 설문조사 한 번 해볼게요."


일주일간 설문조사를 했다. 결과는...

5:4로 모임유지로 결정 났다.


이후, 모임을 가졌고, 새로운 총무를 뽑았다.

새 총무는 모임 해체에 반대했던 퇴직 선배로 결정했다.


K역 모임은 다시 제자리로 왔다.

새롭게 출발한 모임을 응원했다. 

지금 전보다 못한 모임이 돼 가고 있다.


오랜만에 방에 들어가 보니 벌써 한 명이 방에서 나간 걸 확인했다.

실수일까? 아닐 것이다. 


허울뿐인 모임에 나가고 싶다. 회비 정산만 해 주면 바로 나갈 사람이 여럿 있다.

적극적이지 않은 사람들이 왜 모임을 유지하고 싶은 것일까?


어쩌다 오는 단체방 메시지를 확인해 본다.

본사에 있는 회원 승진했다는 축하 메시지다.

형식적인 축하 아이콘을 날려준다.



나도 모임을 정리해야겠다.




작가의 이전글 근무평가 시즌이 왔구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