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에는 반드시 경험이 필요하다
힘닿는 데까지 딸을 지키겠다는 아빠의 마음은 소중하고 꼭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강한 부성애를 가졌다 하더라도 언제까지 온실 속의 화초처럼 키울 수는 없는 노릇이며 그래서도 안 된다. 아빠 육아의 목표는 결국 아이가 언제든 스스로 자신의 꿈을 이루고 실패를 딛고 일어설 수 있는 자생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아빠는 딸이 스스로 인생의 주인으로 살 수 있도록 도와주고, 결핍을 해소해 나가는 실제적인 방법을 논리적으로 가르쳐 줄 수 있는 존재다.
엄마와 아빠가 일과를 마치고 함께 테이블에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엄마는 오늘 낮에 동네에서 한 이상한 아줌마를 만나 겪었던 어처구니없는 일을 아빠에게 얘기한다. 아무 말 없이 얘기를 듣고 있던 아빠가 한마디 한다.
“그럴 땐 이렇게 하면 돼지”
분명히 아빠 나름대로는 명쾌한 솔루션을 제공했다고 생각했는데, 엄마의 표정은 썩 좋지 않다. 뭔가 부족한 듯한가 싶어 한마디 더 보태는 아빠.
“아니면 저렇게 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다.”
“(있는 힘껏 이를 악물고) 그만해라.”
엄마가 원했던 건 솔루션이 아닌 아빠의 공감이었다. 하지만 감성적이고 공감 능력이 뛰어난 여성의 특성을 가진 엄마와 달리 아빠는 논리적으로 문제 해결하는 것에 집중하는 성향이 있다. 엄마에게는 핀잔을 듣게 되는 아빠의 이런 특성을 관점을 달리하면, 육아할 때 오히려 장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아직 많은 것이 서툰 딸은 언제 어떤 상황에서라도 분명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얼마든지 그럴 수 있다’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딸이 마주할 수 있는 순간을 예상하며 마음의 준비를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물이 찰랑거릴 정도로 가득 든 컵을 들고 어디론가 가려는 딸을 보게 된다면 아빠가 해야 할 일은 곧 딸에게 닥칠 수 있는 순간을 예상하는 것이다.
‘흠, 저러다 얼마든지 물을 쏟을 수 있겠군’
상황을 판단해 봤을 때, 바닥에 물을 쏟는 정도는 그리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 여겨지면 우선 그냥 둔다. 운이 좋으면 딸에게는 아무 문제 상황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역시나 예상했던 대로 물을 쏟게 되면 아빠는 ‘빙고!’를 외치고 자리에서 일어나 걸레를 들고 가 상황을 정리해 주면 된다. 하지만, 그냥 아무 말 없이 대신 사고처리를 해 주어서는 안 된다. 뻔히 예상하던 결과였기 때문에 아이에게 놀라 큰소리를 낼 필요가 없게 된 아빠는 여유 있는 미소로 놀란 딸의 머리를 한번 쓰다듬어주고 이런 질문을 던지면 된다.
“지금 어떻게 하다가 물이 쏟아진 거지?”
“물을 들고 가다가 컵이 기울어져서 쏟아졌어.”
“아빠 생각엔 수아가 조심조심 잘 들고 갔을 것 같은데, 맞아?”
“응”
“그럼, 조심했는데도 왜 물이 쏟아졌을까?”
“물이 너무 많아서”
“맞아! 그럼 다음부턴 어떻게 하면 될까?”
“물을 조금만 담아서 가져가면 돼”
“멋져!”
잘못을 저질러 분명 혼이 날 것을 예상하던 딸에게, 이런 아빠의 모습은 딸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어디에서라도 나타나 자신을 지켜줄 수 있는 영웅의 모습과도 같을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하나의 작은 실수를 통해 논리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경험을 쌓게 된다. 일상 속에서 과연 이런 일들이 얼마든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을까? 그리고 이 모습을 과연 또 누가 지켜보고 있을까? 이렇게 아빠가 가진 본래의 특성을 장점으로 활용하여 아이를 교육적으로 키울 수 있는 아빠를 보는 엄마의 눈은 분명 이전과 달라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