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sb May 06. 2023

요가수트라 1.30~34 고요한 마음에 참나가 찾아온다

▶ Sutra I.30 마음 집중을 하지 못하게 막는 것들은 질병, 무위, 의심, 부주의, 게으름, 호색, 망상, 무력 그리고 불안정이다.

▶ Sutra I.31 다음과 같은 증상은 마음 집중이 안되었다는 신호이다 ; 슬픔, 절망, 신체의 산만함, 불규칙적 호흡

▶ Sutra I.32 이러한 것들을 없애기 이해서는 하나의 근본에 명상한다. (참고: 전변설)

▶ Sutra I.33 마음이 고요해 지기 위해서는 행복에 우호적으로 다가가고, 불행에 대한 동정, 미덕을 즐거워함, 그리고 사악한 것을 향한 무관심을 닦는다. 

▶ Sutra I.34 또한 마음은 호흡을 내쉬고 들이마신후 저장하는 것을 조절함으로써 고요해진다. 



  사람의 영과 육은 다른 차원에 속한다. 그리고 서로 반대의 길을 간다. 그렇기 때문에 육이 너무 활동하면 참나는 숨게 된다. 참나가 숨지 않기 위해서는 육의 작용을 멈추어 주어야 한다. 육이 생존을 위해 이리저리 활동하다보면 그 만큼 나의 본질적 영은 나 자신과 멀어지게 된다. 


  요가수트라에서는 마음을 고요히 해야 집줗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마음의 집중은 삼매로 가기 위한 첫단계이다. 요가적인 관점에서는 슬픔과 절망은, 마음이 타마스tamas(암질, 음)기운이 강해진 상태다. 이렇게 음의 기운이 강해지면 집중이 안되었다는 신호이다. 이런 상태에서 내 호흡을 관찰해 보면 호흡이 불안정하고 불규칙하다. 


  이런 상태를 극복하고 빠져 나와야 하는데 그 첫째로, 하나의 근본에 명상하라고 말한다. 


  '하나의 근본'이라는 말이 매우 생소하다.  이것은 상키아 사상에서 나온 것으로 상키아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상키아에서는 세상을 초극미세원소 단위로 가정한다. 이러한 초극미세원소의 본체가 있는데, 이것이 씨앗이 되어 만물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씨앗 하나를 뿌려서 땅에 묻히고, 그것에 싹이나서 세상밖으로 나오고, 줄기가 자라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이런것 처럼, '하나의 근본'인 씨앗이 실재라고 생각한다. 그 싹이 줄기가 되고 꽃이 되고 열매를 맺는 것은 실재의 변형물일 뿐이다. 이것을 '전변설'이라고 부른다.


  마음이 심란하고 고통스러울 때, '하나의 근본'을 명상하라고 말한다. 나를 슬프고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하나의 근본'의 변형물이지 실재가 아니다. 생존활동에 바쁘다보면 나의 영은 실재가 아닌것을 실재라고 착각하는 어리석음에 빠진다. 이것이 착각임을 깨닫기 위해서는 '하나의 근본'을 명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불안정한 마음을 진정시키는 두번째로, 맑고 청정한 기운을 가까이하라고 말한다.  불행에 대한 동정, 미덕을 즐거워함, 그리고 사악한 것을 향한 무관심 이런 마음들은 모두 맑고 청정한 기운에서 나온다. 


  마지막으로는 호흡을 고요히 하라는 것이다.  요가에서는 호흡수련의 종류가 많다. 그런데 항상 기본은 숨을 내쉴때와 들이마실때, 거칠게 하지 말고 천천히 고요하게 하는 것이다. 실제로 수행자들에게서 나오는 말은 호흡을 관찰만해도 삼매에 빠져든다고 한다. 정말 쉽다. 복잡한 기교가 필요한것도 아니다. 그저 나가고 들이마시는 숨을 관찰만하는 것이다. 너무 쉬워서 설마하기 쉽지만 실제로 이것은 내 육체를 가라앉히고 참나의 문을 열어준다. 



<3구나(자연계의 3가지 기운)>

사뜨바satva(양) : 맑고 청정

따마스tamas(음) : 무겁고 둔함

라자스rajas(움직임) : 가볍고 움직임




▶ Sutra I.30

व्या धस्त्यानसं शयपर्मादालस्यािवरितभर्ा न्तदश र्नालब्धभूिमकत्वानव स्थतत्वाि

vyādhi styāna saṁśaya pramāda-ālasya-avirati bhrāntidarśana-alabdha-bhūmikatva-anavasth

Disease, inertia, doubt, carelessness, laziness, sensuality, delusion, impotency and instability are the barriers that distract the mind.

▶ Sutra I.31

दुःखदौम र्नस्याङ्म ेजयत्वश्वासपर्श्वासा िवक्ष ेपसहभुवः ॥३१ ॥

duḥkha-daurmanasya-aṅgamejayatva-śvāsapraśvāsāḥ vikṣepa sahabhuvaḥ ￿

Sorrow, despair, unsteadiness of the body and irregular breathing are the symptoms of a distracted mind.

▶ Sutra I.32

तत्पर्ितष ेधाथ र्म ेकतत्वाभ्यासः ॥३२ ॥

tat-pratiṣedha-artham-eka-tattva-abhyāsaḥ ￿

To remove these meditate on one principal.

▶ Sutra I.33

मैतर्ीक णामुिदतोप ेक्षणां सुखदुःखपुण्यापुण्यिवषयाणां भावनात श्चत्पर्सा

maitrī karuṇā mudito-pekṣāṇāṁ-sukha-duḥkha puṇya-apuṇya-viṣayāṇāṁ bhāvanātaḥ citta-p

The mind becomes tranquil by cultivating friendliness toward the happy, compassion for the unhappy, joy in the virtuous, and indifference toward the wicked.

▶Sutra I.34

पर्च्छद र्निवधारणाभ्यां वा पर्ाणस्य ॥३४ ॥

pracchardana-vidhāraṇa-ābhyāṁ vā prāṇasya ￿

The mind also becomes tranquil by the controlled expelling and retaining of the breath.

이전 19화 카르마, 자연의 정화작용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