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라이킷 1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국 어학연수 실패기.

05. 런던의 작은 다락방.

by 규민 Jan 30. 2025

알 수 없는 우울은 갯벌 같았다. 갯벌에 푹 박힌 두 다리를 아무리 빼내려고 몸부림을 칠수록 점점 깊이 빠질 뿐이었다.


언젠가부터 시간이 아깝기 시작했다.

여기가 한국이라면 자격증 준비라도 할 텐데, 이보다는 알차게 보낼 텐데. 남은 기간은 환불을 받고, 그 돈으로 유럽여행이나 하고 한국에 돌아가면 안 되나. 이 생각이 들자마자 걷잡을 수 없이 견딜 수 없어졌다. 더 이상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엄마, 나 한국에 돌아가면 안 돼?"


엄마의 반응은 불 보듯 뻔했다. 전화 너머로 거품을 물고 고래고래 소리를 치는 소리가 들렸다.

간 지 몇 달 됐다고 그러냐. 그것도 고작 못 버티냐. 이렇게 나약해서 어떻게 살래. 등등등.

예상은 했지만 서러움이 복받쳐 올라왔다. 엉엉 울기 시작했다.


더더욱 서럽게 했던 건 아빠였다. 엄마 옆에서 통화를 듣던 아빠는 전화를 뺏어 들었다.

한참 동안 나의 울음 섞인 서러운 성토를 들었다. 아빠는 가끔 깊은 한숨을 쉬었고, 엄마의 격양된 목소리가 끝없이 귓전을 울렸다.


"학원을 안 가도 되고 하루종일 그 방에서 안 나와도 되니깐 한국에 올 생각은 하지 마!"


한참을 듣던 아빠는 매몰찬 말을 마지막으로 전화를 끊었다.


아빠는 나에게 유일한 믿을 구석이었다. 언제나 아빠는 온화했고 내 편이었다.

돌아갈 곳이 없어졌다. 한국에도 내가 있을 곳이 없어졌다.


 



돌아갈 곳이 없어진 뒤 마음 둘 곳이 없어졌다.


마음이 공중에 붕 떠 정처 없이 떠돌다가 더 이상 견딜 수 없을 때면 런던에 있는 친구의 작은 방으로 도망갔다.

브리스톨에서 시외버스로 2시간. 앞뒤 간격이 좁아 다리도 제대로 펼 수 없는 좁은 좌석에 몸을 구기고 런던으로 갔다.


파리여행에서 돌아오는 날도, 느닷없이 슬퍼지는 날도, 친구가 남자친구와 헤어진 날도, 동생이 영국에 온 날도.


친구의 방은 런던의 오래된 아파트, 부엌과 화장실 사이의 아주 좁디좁은 다락방이었다. 가늘고 긴 책상 하나와, 매트리스 하나면 방이 꽉 찼다. 매트리스에서 다리를 쭉 펴면 책상에 닿았다. 덕분에 책상 위에 노트북을 올려놓고 드라마를 보기에 딱 좋았다.


친구의 아파트에는 한국인이 3명 살았는데, 우리보다 2-3살 위인 오빠들이었다. 그중 한 오빠는 친구를 알뜰살뜰 챙겨주어서 내가 '친구의 엄마'라고 불렀다. 오빠는 종종 볶음밥이나 간단한 요리를 해주었고, 나는 친구와 부엌 구석에 앉아 그 모습을 구경했다. 볶음밥을 먹지는 않았다. 어딘가 서늘하고 허름한 부엌에서 느껴지는 따뜻한 온기가 그저 좋았다. 타국에 온 이방인들끼리의 말 없는 위로 같았다.


밥을 먹고 나면 푹푹 꺼지는 매트리스 위에 쭈그리고 앉아선 쉴 새 없이 수다를 떨었다. 보통은 대학교 이야기였다. 군대에서 제대하는 누가 말도 없이 편입을 했다더라, 누가 헤어졌다더라, 누구는 어디 가서 어떻게 지낸다더라. 그래도 할 말이 없으면 캐캐묵은 옛날이야기를 꺼냈다. 그때 참 재밌었지. 라든가, 꼬질꼬질했던 인도 배낭여행 이야기라던가, 2학년 때 같이 살았던 이야기라던가. 그런 이야기는 해도 해도 또 재밌었다.


그렇게 한참을 이야기하다가 좁은 매트리스에 나란히 누워 잤다. 아침이 되면 친구와 함께 밖을 나섰다. 친구는 지하철 역 근처 스타벅스를 갔고, 나는 지하철역으로 갔다.


다시 좁디좁은 버스자리에 몸을 구기고 일렁이는 마음으로 2시간을 갔다.

그러고 나면 조금 살 만했다. 가끔 런던에서 나눈 실없는 대화들에 피식 나는 웃음으로, 잠시 갯벌에서 들썩이는 찰나가 생기는 것만으로 조금 버틸 만했다.



작가의 이전글 영국 어학연수 실패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