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VIVA Oct 04. 2024

바닥에 두 다리를 딛고 서서

뜬구름 잡는 소리는 이제 그만!  

살며시 뜬 눈으로 햇살이 들어왔다.

시간을 확인해 볼까 하고 몸을 돌려 충전기에 연결된 핸드폰으로 손을 뻗었다. 눈을 감고 핸드폰을 두 손에 잡았다. 알람이 울리지 않았기에 계획한 시간보다 이르다는 뜻인데. 시간을 확인하는 순간, 다시 몸을 돌려 잠을 계속 잘 것 같았다. 쓸데없는 내적 갈등을 피하는 길은 그냥 하는 거다. 그 어렵다는 마음을 먹었다면, 안 하고 후회하는 것보다 하고 후회하는 게 차라리 낫다는 내 습에 따라 그 자리에서 당장 일어났다. 실눈 뜨고 전날 챙겨 놓은 옷을 주섬주섬 입었다. 양말까지 바짝 당겨 올려 신고 머리를 질끈 묶었다. 그 위에 모자와 선크림까지! 1층으로 향하는 엘리베이터 시계는 5시 30분을 알렸다.  

    


땀이 비 오듯 쏟아진다.

이 상투적인 표현 말고는 생각나지 않았다. 느닷없는 움직임에 몸 곳곳의 관절은 동시다발적으로 경계경보를 울렸다. 나름 코어에 힘을 주고 영상에서 본 대로 자세를 잡고 뛰었다고 생각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내 몸은 반드시 고쳐야 할 자세의 예시대로 되었다. 허리에 힘이 빠지면서 중심이 앞으로 쏠렸고 당연하게도 엉덩이는 뒤로 빠져버렸다. 힘 빠진 다리는 마음의 욕심에 멱살 잡혀 질질 끌려가는 듯했다.     


마지막으로 달리기를 한 게 언제였지?

이 또한 까마득한 전생의 기억이다. 그나마 집 밖을 나가야 할 수밖에 없던 시절도 있었다. 반려견이 있을 때는 하루 4번은 기본, 많게는 6번까지도 집 밖을 나가야 했었다. 반려견이 나이가 들면서 그 횟수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실외 배변습관이 고착되어 안고서라도 밖으로 다녀야 했다. 반려견이 세상과 이별하고 2여 년이 지난 지금, 난 완벽한 집순이다.


그토록  움직이지 않았던 몸을 갑자기 움직이니 정말 마음과 완전히 따로 논다.

몸과 마음이 얼마나 서로 어이없어하는지, 마음은 웃으면서 ‘용기 내서 끝까지 해봐’라고 다정히 격려하지만, 몸은 ‘그 입 다물라!’ 하며 화 난 듯 발로 길바닥을 찍어낸다.

   


분명 무모한 도전이었다.

준비운동도 없이, 폭염에 쩍쩍 달라붙는 두터운 30수 면티를 입고 걷는 것인지 뛰는 것인지도 모르겠는 속도로 용기를 넘어 ‘오기’ 하나로 목표한 거리를 달성하겠다니! 이제 겨우 500미터도 채 되지 않은 것 같은데 한증막에서 제자리 뛰기를 하는 것 같았다. 저급한 체력 탓도 있지만, 코스도 잘못 선택했다. 나무 그늘이 있는 코스를 갔어야 했는데, 사람을 피한다는 이유로 선택한 이 코스는 너무 뜨겁다. 이러다 대회는커녕 당장이라도 응급차에 실려 갈 수도 있겠다 싶었다.      


러닝의 여러 좋은 효과 중의 하나가 잡념 제거라는데, 왜 나는 뛰면 뛸수록 번뇌가 한강물처럼 일렁이는지, 아직 몸이 덜 힘든 건지도 모르겠네. 그럼 더 속도를 내야 하는 걸까? 머리는 내가 저질러 놓은 행동에 대한 질문과 의심 사이를 오가면서 횡설 수설 하는데, 다리는 모든 걸 포기했는지 묵묵하게 달리기 시작한다. 러닝 앱이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1km’라고 거리를 알려 주고 킬로당 속도까지 친절하게 알려준다.      

피식 웃음이 나오고 말았다. 평소에 걷는 속도와 다를 바 없는 속도였다.


‘걷기보다는 최소한 조금이라도 빨라야 하는 거 아냐?

이건 뛰기가 아니라 뛰는 척하는 거잖아!’     


마음이  몸을 타박하기 시작했지만, 1킬로미터 정도 지나자 몸은 이제야 주제 파악이 된 듯했다. 더도 들도 아닌 딱 버틸 수 있을 만큼의 속도를 유지했다. 저 멀리 뜬 구름 속에서 몽글몽글 말을 해대던 마음을 끌어다가 발 옆에 나란히 두었다.     



독일어로 ‘bodenständig’이라는 단어가 있다.

독일어는 합성어 천지다. 이 단어도 의미를 두 개로 나눌 수 있다. Boden(바닥) + stehen(서다) 이 두 단어를 합치면 ‘바닥에 서있다’, ‘바닥에 서다’라는 의미다. 여기에서 파생한 ‘bodenständig’은 여러 의미가 있지만 강조하고 싶은 뜻은 ‘현실적인’이라는 개념이다. 이 단어는 뜬구름 잡는 소리와 반대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자기 분수에 넘치거나, 허영이 많거나, 사치스러운 의 반대말의 개념으로도 사용된다. 허세와 과대 포장 없이, 자신이 서 있는 곳이 어디인지 객관적인 모습과 수준을 주관적으로 인정한다는 뜻이다. 사회의 시선과 평가를 개인이 인정할 때 가능하다.


이 표현은 기업회의나 부자들의 모습에서도 자주 쓰인다. 독일 기업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보다 bodenständig 한 제안을 더 선호한다거나, 찐 부자들은 티 나지 않게 bodenständig 한 라이프 스타일을 즐긴다는 는 표현을 독일 신문기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나 역시도 독일 생활 동안 이 단어가 독일인의 보편적인 태도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했었다.  뜬구름 속에서 상상과 공상에 기꺼이 빠져 있는 나에게는 다소 밋밋하고 김 빠진 사이다 같은 느낌이었지만, 그들이 두 발 딛고 당당하게 땅바닥에 서 있는 현실적인 모습에 자주 감동했었다.


달리기를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내 삶에 대해 bodenständig 해졌다.

지금까지 애써 힘껏 붙들고 있던 희망과 꿈이 한순간에 다 날아가 버린 것 같았다. 내가 지금 여기 서 있는 곳은 쨍하고 해 뜨는 저 푸른 초원 위의 하얀 집이 아닌 뜨거운 아스팔트 바닥이었다. 여기에 발을 데지 않으려면 또 뛰어야 한다. 뛰어가면 어디가 나올까, 수없이 도전하고 기대하고 실망하고 좌절하고 원망하면서 또 도전하고 기대하고 울고 포기했다가 또 같은 희망 고문이라는 뫼비우스의 띠에 기꺼이 올라탄다.  올해도 공모전이란 공모전에는 다 도전했고 지금 그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 이 기다림의 풍선이 저 허공에서 터져 버리면 추락이겠지만, 다행이다. 땅바닥 위에 서 있어서.  한계 비용, 매몰 비용, 남아 있는 생의 시간, 가능성, 기회비용까지 앞으로는 시간과의 경쟁일 텐데... 내 체력과 중력의 무게를 철저히 온몸으로 느끼면서 두 발을 딛고 서 있었다. 두 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상체를 숙여 숨을 고른다. 그 짧은 시간 동안 평소라면 느끼지 못했던 오만가지 감정이 밀려왔다.


무계획으로 시작한 무모했던 첫 번째 달리기는 완벽한 실패이자 성공이다. 속도와 기록면에서는 뛰기라고 할 수도 없는 기록이었지만 내가 어디에 서 있는지 나의 위치와 체력과 필력을 완전히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사실까지  파악하는 데는 완벽하게 성공했다. 운칠 기삼이 따르는 공모전은 모르겠고, 우선은 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하자. 곧 다가올 단기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고 주최 측이 권장하는 1시간 30분의 완주에 도전해 보자. 드라마 공모전은? 정말 모르겠네, 오늘은 여기까지만. 숨차다!

이전 04화 옷이 없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