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주 Jan 29. 2024

결석하긴 싫지만 땡땡이는 치고 싶어

저녁 7시 40분경 외근을 마친 어느 날, 바로 검도장에 간다면 최소 1시간은 운동할 수 있었지만 동료와의 치맥을 택했다. 다음 날, 또 한 번 결석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지금, 어제 하루 친구들과 놀고 나니 "하루쯤 결석해도 괜찮은데?"라는 생각이 들면서 "오늘도 걍 쉴까?"라는 유혹에 나홀로 흔들리고 있다. 이것이 바로 결석의 맛일까. 여기에 한번 빠지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게 될 것 같다. "30분밖에 못하더라도 무조건 나오라"라는 관장님 말씀엔 다 이유가 있었던 거다. 관성처럼 아무 생각 없이 검도장에 가야지, 한두 번 결석하기 시작하면 끝도 없이 늘어질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잘하거나 못하거나 꾸준히 하는 게 더 중요한 거겠지.


검도장의 말말말

하나, 컨디션이 좋지 않아 호구를 입을까 말까 고민하는 나에게 "대련하는 거 배워요!" 21살 친구가 눈을 반짝이며 말한다. 수련 내용이 대련이라서 피하려던 것은 아니지만, '배운다'라는 마음으당차게 대련을 대한 적은 없어서 신선했다.


둘, "많이 늘었네요!" 한 게 없는데 칭찬을 받았다. '오늘 대련 연습에서 제대로 한 게 없는데?'라는 의아한 마음이 한 줄기 피어오르기도 했으나, 전체적으로 발전했다는 뜻이겠지. 과거 한 연사가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라, 성장에 있다"라고 한 말이 기억 난다. 발구름도 제대로 하지 못할 때가 있었는데 많이 늘었고 말고.


셋,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그우먼 조혜련의 일화가 화제가 됐다. 일본에 진출했을 당시, 방송 전 매우 긴장하며 "잘하지 않아도 돼. 있는 그대로 해"라며 스스로 다독이고서는 진짜로 못했다고. "잘하지 않아도 돼. 배우는 과정인데 뭐" 하고서는 대부분의 대련 시간을 서서 보낸 나 같았다. 하다 보면 어떻게 되겠지 뭐.



매거진의 이전글 어디서나 당당하게 걷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