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는 김치 담을 때나 꺼내지…
그래도 돌이켜보면
남들이 하지 않는 것, 할 수 없다고 여기는 걸 시도하긴 했었다.
‘산티아고 가는 길’이 그 시작이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여행처럼 다녀오는 유명한 길이 되었지만 내가 갔던 2011년만 해도 쉽게 가기 힘든 곳이었다. 그 길을 걸어야만 하는 이유가 제1 조건이지만 돈도 시간도 체력도 꼭 필요한 곳! 어떤 면에서 보면 파혼이라는 실연의 아픔을 준 그놈에게 감사한 일이다. 그놈이 아니었으면 내 평생 가장 잘한 일 중에 손꼽히는 산티아고 순례길을 갈 수 있었을까?
산티아고 순례길은 스페인을 횡단하여 800km를 걷는 엄청난 모험의 길이다. 웬만한 체력으로는 10kg가 넘는 배낭을 메고 한 달간 매일 25km 이상을 걷는 건 무리다. 그 길을 걷겠다는 결심은 확실히 보통 사람이라면 하기 힘든 결정이다. 그런 길을 걷겠다고 겨우 1년 반 다닌 회사에 한 달간 휴가를 내고 간 건 누가 봐도 미친 짓이었지만, 그때의 난 걷다가 ‘나를 잃더라도‘ ’나를 살리기 위해’ 그 길을 걸어야 했다.
평소 운동과 담쌓고 살았던 내가 새벽 5시부터 매일 10시간을 걷다 보니 열흘 만에 심한 몸살을 앓게 됐고 한 번 아프고 나니 위경련까지 와서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걸었다. 마음도 추스르지 못했는데 몸까지 아프니 그 길을 계속 걷지 못할 수도 있겠다는 걱정이 앞섰지만 되돌아갈 수 없으니 무작정 걸었다. 며칠이 지나니 물만 마시고도 걷는 게 가능할 정도로 다리에 근육이 붙었다. 가끔은 미련하게라도 하던 걸, 해야 하는 걸 밀어붙이는 게 도움이 될 때가 있다.
내 몸에 근육이 가장 많았던 시기가 아마 산티아고에 도착한 때였을 것이다. 산티아고의 콤포스텔라 대성당 앞에 섰는데 아팠던 위가 거짓말처럼 나았고-위에도 근육이 붙었었나 보다- 그렇게 먹고 싶었던 뽈뽀(스페인의 문어 요리)에 맥주 한 잔을 마셨다. 며칠을 쫄쫄 굶다가 먹어서인지, 30일을 쉬지 않고 걸어 마침내 횡단을 마친 내가 기특해서인지, 맛이 기가 막혔다. 충분히 더 걸을 수 있을 만큼 몸이 가벼웠지만 회사로 돌아가야 했기에 세상의 끝이라 불리는 ‘피니스테레’까지는 버스를 타고 갔다. 그곳에서 텅 빈 나를 꽉 채울 수 있는 나로 충전하고 돌아와 한동안 에너지 충만한 상태로 살았던 것 같다.
회사에 다시 복귀했는데 일하는 게 예전과 달리 버겁지 않았다.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는 있었지만 스트레스를 해소할 충전된 에너지가 아직 많이 남아 있었다. 그래서 남은 에너지로 사회복지학을 공부했다. 퇴근 후 시간을 쪼개 수업을 듣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을 보는 일이 생각만큼 수월하진 않았지만 먹지도 못하면서 걸었던 길 위에서의 다짐은 어떤 고난도 이겨낼 힘이 되었다.
인디라이터 수업도 들었다. 서울을 오가며 자기 글을 쓰고 싶어 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났고 그때 처음으로 내 책을 쓰기 위한 글들을 써나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거의 책 한 권을 완성해 갈 무렵 본격적으로 글을 써야겠다는 결심이 섰고 미련 없이 사직서를 냈다. 불혹을 앞두고 있던 30대 후반이었다. 파혼 후 남자라고는 거들떠도 안 보고 나이가 들어가는 막내딸이 회사라도 잘 다니길 바라셨던 부모님은 말은 안 했지만 속이 타셨을 거다.
2년을 죽어라 글 쓰는데 매진했다.
퇴직금과 모아둔 돈을 쪼개가며. 매일 등산을 하고 돌아와 집에 콕 박혀 책을 읽고 소설을 썼다. 누군가 알려준 방법대로 고전 소설 전집을 사서 읽고 또 읽었다. 소설의 정수를 뽑아내기 위해 한 권을 여러 번 읽었다. 방송작가로 일하면서 10분짜리 꼭지 대본과 1시간짜리 다큐 대본을 써보고, 영화 시나리오 교육원에 다니며 2시간짜리 영화 대본도 여러 편 써봤지만 소설은 처음이었기에 완전히 새로운 장르였고 낯선 글쓰기였다. 읽을 때는 그보다 더 재밌는 소설을 쓸 수 있을 것 같았는데 내 소설 처녀작은 쓰레기 그 자체였다. 2년이란 시간이 너무 짧았다. 공모전에선 모두 탈락했고 생활비도 바닥났다.
어쩔 수 없이 생활전선에 뛰어든 게 큰 형부가 운영하는 S사 사내카페였다. 카페에서의 일은 육체적으로 힘들었지만 연장근무가 없어 여유 시간이 많았다. 카페에 다닌 지 1년 만에 다시 새로운 글쓰기에 도전했다. TV 드라마였다. 한국방송작가교육원에 등록해 왕복 4시간이 걸리는 그곳으로 일주일에 두 번씩 퇴근했고 매일 저녁마다 스터디카페에서 3시간씩 글을 썼다. 그렇게 5년을 썼는데 역시나 공모전은 모두 탈락했고 자신감은 끝 모를 바닥으로 추락했다.
이렇게까지 해도 안 되면 글 쓰는 걸 포기해야 하는 거 아닐까?
애초부터 글 쓰는 일이 나와 맞지 않았던 건 아닐까?
작가가 아무나 되는 게 아닌데 너무 먼 길을 걸어오느라 시간만 낭비한 게 아닐까?
포기의 문턱에 서니 글이고 뭐고 돈이나 벌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퇴사했던 회사에 재입사했다. 3년 다녔던 회사에 8년 만에 재입사를 하니 대리였던 사수는 부장이 되었고 나보다 나이가 많은 사원은 단 한 명뿐이었다. 선임들이 모두 나보다 어렸지만 입사 선배이며 직장인으로서는 대선배님들이었다. 그들에게서 노하우를 전수받기 위해 몸을 납작 엎드려야 했다. 하지만 나이 어린 선배를 극진히 대우하며 맡은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과정은 아무리 마음을 단단히 먹어도 스트레스가 쌓이게 마련이었고, 나는 다시 도망갈 구멍을 찾기 시작했다. 그래서 입사한 지 6개월 만에 사이버대학교에 등록해 심리학 공부를 시작했다.
2년 동안 매일 수업을 듣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을 보기 위해 공부했다. 퇴근 후 공부하는 시간만큼은 스트레스에서 해방되는 유일한 창구였다. 10년 전 사회복지학을 공부할 때와는 확실히 집중력이 떨어지고 체력이 금방 바닥나긴 했지만 심리학 공부를 통해 많은 영감을 받았다. 그렇게 다시 회사에 다니며 글을 쓰기 시작했다. 새로운 장르의 글쓰기인 에세이를, 지금까지.
나는 포기를 밥 먹듯이 했다.
도망가는 게 가장 쉬운 일이라는 걸 너무 빨리 알아버렸다. 꾸준히 글을 썼지만 내 머릿속은 꾸준히 포기를 했던 것 같다. 어떤 상황에서도 써야겠다고 우겼지만 실상은 어떤 상황이 오면 쓰지 않았다. 쓸 수 없는 이유를 갖다 대다가 쓰지 않는 나를 자각하게 되는 순간이 오면 자책을 했다. 자책의 시간이 오면 다시 글을 썼다. 그리고 다시 포기했다.
글쓰기뿐만 아니라 매번 힘든 상황이 오면 이겨내기보다는 도망가기 바빴던 게 사실이다. 중년의 나이에도 결과는 없고 여전히 과정 안에서 허우적대는 게 그동안 포기와 너무 친해졌기 때문이 아닐까? 그나마 목적지에 도착하면서 유일하게 성공한 도전이 산티아고 순례길 완주가 전부다. 벌써 10년이나 지난 일인데…
도전은 했지만 너무 이른 포기로 만족할만한 성과가 없는 삶, 과정만 있고 결과가 없는 삶, 이런 과정을 반복하지 않는 것이 이번 미션의 시작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