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소황 Aug 23. 2022

아기가 제공한 달콤한 잠자리

간극을 줄이려는 남편의 노력과 보상

상대적으로 아기와 함께하는 시간이 적어서일까, 아기는 아빠를 양육자가 아닌 친구, 혹은 경쟁자로 여기고 있다고 남편은 생각했다.


맞벌이를 하지만 아기를 어린이집에 데려다주는 것은 오롯이 아내의 역할이었다. 육아를 하던 중 취직을 하게 되어 자연스레 결정되어버린 역할이지만, 남편의 회사는 출근시간에 있어 아주 자유로운 편은 아니었기에 1년이 가까워지도록 유지되고 있는 중이다. 게다가 아내는 재택근무에 있어 부정적이지 않은 부서장을 만나 퇴근 후 곧바로 이모와 놀고 있는 아기를 마주할 수 있다. 그래서 맞벌이 부부임에도 불구하고 아내가 아기와 보내는 시간이 확연히 많다.


그래서일까 우리집 작은인간의 애정표현도 엄마인 아내에게 집중되고 있다. 졸음을 참느라 짜증이 날 때면 아빠를 배척하고 엄마를 찾는다. 자다 깨서 어둠이 무서울 때면 엄마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아빠를 가라 한다. 1등으로 일어날 때면 엄마를 찾아가 "아침이야-"하며 사랑스럽게 깨우고, 아빠에게는 별다른 반응이 없다. 졸릴 때 말고는 짜증이 없는 아기라 졸리지 않은 시간에라도 아기와 함께할 수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천만다행이라 생각하는 남편이었다.


아기가 엄마만 찾는다는 사실이 남편은 살짝 아쉬웠다. 비록 아내가 더욱 많은 시간을 아기와 함께한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편을 찾아줄 수는 없을까, 기분이 울적할 때면 아빠와 놀고싶어 남편을 찾아주지는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늘 품어대는 남편이었다. 그래서 아내가 자리를 비울 때면 평소에 아기가 엄마와 하지 못하던 일들을 함께하며, 최대한 아기가 즐거워하는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비록 남편만 보면, "아빠, 티비(TV)보여줘"하며 인사하는 소득 없는 결과에 도달했지만.


남편은 아기가 남편을 배척하고 엄마를 찾는 이유를 알고 있었다. 교감을 나누는 절대적인 시간이다. 그리고 아기와 함께하는 교감시간에서의 간극을 도저히 줄일 수 다는 현실편은 알고 있었다.


맞벌이 부부이지만 아내의 출근시간이 늦었고, 직장의 거리로 인해 아내의 귀가시간이 빨랐다. 게다가 졸릴 때 엄마를 찾는 아기로 인해 자기 전 1시간 남짓의 시간은 오롯이 아내와 아기만의 교감시간이었다. 그래서 남편은 우리집 작은인간과의 교감시간을 늘리기 어려웠다.


시간이 흘러갈수록 그 간극은 커지기 마련, 남편은 아기에게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생각했다.


이미 아내가 쉬이 허락하지 않는 TV를 틀어줌으로써 한차례 시도했듯이, 남편이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은 '일탈의 제공'이었다.


아내가 아기와 함께하지 못하는 일들을 함께 하는 것. 그리고 그것이 아기에게 잊지 못할 기억이 되도록 하는 것. 그래서 엄마와 놀다가도 한번씩 아빠를 찾게 만드는 것. 그것이 남편의 작전이고, 간극을 줄여 아기와 가까워지기 위한 노력이었다.


남편은 걷기 싫어하는 아기를 위해 자주 안아주었다. 베란다 화분 담당으로서 분갈이를 아기와 함께 했다. 아기가 잘 때면 페트병 자가급수 화분을 만들어두고, 아기와 함께 씨앗을 심었다. 아내가 허락하지 않는 아이스크림이나 과자는 늘 남편이 제공한다. 한가지, 두가지, 세가지, 새로운 경험이 늘어날수록 남편은 아기가 아빠에게 마음을 열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남편도 예상했던 바이지만, 여전히 간극은 좁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커져가던 간극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도는 했다고 남편은 생각했다.


여전히 존재하는 간극으로 인해, 도저히 좁힐 수 없는 시간이라는 현실적 장애물로 인해, 아기는 아직도 엄마를 일순위로 찾고 있다. 하지만 남편은 그간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순간을 맞이했고, 그 순간은 온 가족이 잠들기 위해 등을 뉘인 침대 위에서 찾아왔다.


"오늘 재밌었어"


아기의 한마디는 남편의 지친 마음을 녹였다. 새로 심은 시금치를 수확할 때까지, 우리집 작은인간을 사로잡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또다시 고민해야겠다. 달콤한 밤이다.



https://brunch.co.kr/magazine/babysitter

남편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육아에 대해 적고 있습니다. 출산과정을 지나 육아에 돌입한 남편의 일상 속 생각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면 더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픈 아기를 대하는 남편의 자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