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NA May 17. 2024

피 속에 죽음과 사랑이 있었다

옌롄커, 『딩씨 마을의 꿈』

“열병은 핏속에 숨어 있었다.”


딩씨 마을에 열병이 번졌다. 십 년 전 피를 팔았던 사람들이 걸렸다. 중국 정부가 장려했던 사업. 사람들은 피를 판 돈으로 기와집을 올렸고 고기를 사 먹었다. 매혈을 중개한 사람은 더 큰 집을 지었다. 처음에는 피를 판 사람만 열병에 걸렸지만 나중에는 피를 팔지 않은 사람도 걸렸다. 열병에 걸리면 죽었다. 열병의 정확한 병명은 에이즈였다.


옌롄커의 『딩씨 마을의 꿈』은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 시골 마을에서 벌어졌던 추악한 일을 소재로 삼아 비극과 고통, 그리고 사랑과 권력을 이야기한다. 이야기의 목소리는 열두 살 아이의 것이다. 딩샤오창. 그런데 이 아이는 죽었다. 죽었기에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다(죽은 이가 화자라는 점은 할아버지의 꿈이 모두 현실이라는 점과 함께 이 소설을 조금은 환상적인 면을 띠게 한다). 아이는 매혈 운동에 앞장섰던, 이른바 ’피 우두머리‘ 딩후이의 아들이었다. 딩후이는 하나의 솜을 가지고 세 명의 주사 자국을 문질렀다(김유태의 『나쁜 책』에서는 “주사 약솜 하나로 아홉 명을 문질렀다”고 했지만, 약솜 하나로 한 사람에 세 번씩 세 사람을 문질렀다). 주사기도 돌려썼다. 피도 더 많이 뽑았다. 열병이 돌고 나서, 아이는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마을 어귀에 놓여 있던 토마토를 하나 집어먹고 중독사로 죽었다. 누군가 일부러 한 일이었다. 복수였다. 누가 한 일인지는 밝혀지지 않는다. 밝힐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죽은 화자의 눈길은 거의 그의 할아버지에게 가 있다. 할아버지의 꿈을 이야기하는 것도, 할아버지의 마음을 이야기하는 것도 아이다. 딩씨 마을 학교의 선생님이자 선생님이 아닌, 마을의 지도자이자, 지도자가 아닌 할아버지. 그는 마을을 위해 헌신하지만, 그는 대체로 무기력하다. 열병은 잡을 수 없으며, 큰아들 딩후이는 교묘한 악행으로 돈을 번다. 열병에 걸린 둘째 아들은 역시 열병에 걸린 사촌의 아내와 간통을 저지른다. 그리고 마을의 일을 관장하는 권리마저 기가 막히게 뺏기고 만다(뺏겼다 하기도 뭐한 게 그는 애초에 권력을 탐하지 않았다).


작은 마을에서 협박으로 쟁취한 권력은 무시무시하기도 했고, 좀스럽기 했고, 허망하기도 했다. 그 작은 권력으로 한 일은 결혼식에 쓸 탁자를 학교에서 빼오는 것, 학교의 온갖 나무로 된 것을 분배하는 것, 관으로 쓰기 위해 마을의 큰 나무를 베는 것, 그리고 약간의 음식을 더 얻는 것. 그들의 끝도 죽음이었다. 10년 전 마을의 주임이었다 매혈 사업에 동참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자리를 빼앗긴 리싼런이 관인에 그토록 목매다는 이유도, 마을의 권력을 할아버지로부터 빼앗은 쟈건주와 딩유에진 역시 관인과 함께 묻히고 싶다는 이유도 그 작은 권력 때문이다. 그것이 그들을 버티게 했던 것이다. 비록 허무할 뿐이지만.


비극 속에서도 피를 가진 인간이기에 사랑이 피어난다. 그 사랑은 실상 불륜이다. 그러므로 환영받지 못할뿐더러 할아버지에게 커다란 약점이 되어 버린다. 그런데 금지되었기에, 열병에 걸린 그들에게는 그것밖에 남은 것이 없었기에 사랑은 더욱 불타오른다. 소설에서 가장 감동적인 장면은, 당연히 그 사랑의 불길이 가장 활발히 타올랐다가 갑자기 꺼지는 장면일 수밖에 없다. 각각의 상대에게 이혼장을 받고, 결혼이 성립된 날, 남자는 몸에 열이 오르며 사경을 헤매고, 아내가 된 링링은 실오라기 걸치지 않은 맨몸에 차가운 물을 끼얹고 남자를 끌어안아 열을 식힌다. 그리고 자신은 대신 열이 올라 죽는다. 다음 날 아침 남자 역시 따라 죽는다. 신파인가? 이게 신파라면 왜 신파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를 말한다고 본다.


이 작품이 중국 당국에 의해 금서가 된 이유는 짐작이 간다. 매혈 운동을 주도한 게 정부였고, 에이즈가 퍼지는 가운데 돈벌이에 급급했던 이는 상부에 끈이 닿은, 그리고 결국은 상부가 된 이(큰아들 딩후이)였기에 이를 중국 정부에 대한 분명한 비판으로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옌롄커의 비판은 인간의 본성을 찌르고 있고, 감동의 지점은 비극 속에 피어오르는 뜨거운 사랑에 닿아 있다. 그 배경이 중국일 따름이다. 이 이야기는 어느 곳에서라도 벌어지는 이야기인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과학은 죄가 없지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