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상추꽃 Oct 22. 2021

90년생의 성장욕구

편한 것만 추구한다는 오해

(정성을 추구하는 이미지에 묻혀버린 90년생의 '성장 욕구')

90년생 장학금에 전전긍긍하고, 알바와 과외를 뛰며 온갖 자기 계발 및 시험 준비를 병행다.  하든 '돈만 잘 벌면 되지'라는 생각만 있었더라면 그렇게 치열하게 살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오히려 의 반, 타의 반 들게 생한 만큼 내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가 매우 중요 사람들이다. 


그러다 보니 더 이상 월급만 잘 나오는 것으로 '좋은, 오래 다니고 싶은' 회사를 정의할 수 없 시대가 래했. 직원들에게 이 회사에서 개인 역량으로 무엇을 얻어갈 수 있는지, 엇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수 있어야 한다.


특히나 사기업에서 직원들의 레쥬메는 입사 전까지만 업을 목표로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입사 후에도 차곡차곡 쌓이고 채워져 나가야 하는 것이 정상이다. 그래서 실제 본업무에 필요한 역량을 쌓을 수 있는 시간을 위한 적절한 업무분장, 체계적인 시스템, 성향 및 능력 어느 정도 반영된 인사배치, 적당한 때에 진급이 되어 직급에 따라 업무성격이 바뀔 수 있도록 극심한 인사적체 해소, 업무 능력에 따라 늦지 않게 매니저가 되어 주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 등이 열려 있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민과 건의사항을 돈 주는 것에 감사하라, '어차피 월급쟁이는 다 거기서 거기야, 여기가 그나마 낫다'라는 말로 묵살시켜 버린다면, 결국 90년생들을 붙잡긴 힘들 수도 있다. 그 말은 '지금이 그래도 IMF 때보다 낫다'(무슨 건의만 하면 돌아오는 말)는 말과 함께 비전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일을 해나갈 수도 있는 직원들과의 소통을 단절시켜버린다.


그 똑같은 회사들 틈 속에서 우리 회사는 어떻게 달라야 할지를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달라지려면)

달라지려면 무엇보다 젊은 직원들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걸 감사해할 줄 모른다고, 편하게만 일하려 한다고 볼 것이 아니라 들을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조직이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건 내가 젊은 직원이어서가 아니라, 실제로 직급이 올라갈수록 달라질 유인이 적어져서이다.


우리 회사엔 왜 이런 쓸데없는 일에 시간을 이렇게 많이 쓸까, 왜 이런 것 때문에 야근해야 하나 싶은 업무가 많다. 내 커리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기간 동안 레쥬메에 이런 업무만 잔뜩 쌓인다고 생각하면 민망하기도 하고, 걱정이 앞선다. 이에 관해 회사 선배님께 여쭤본 적이 있다.


"외국 회사들 보면 이걸 다 직원들이 직접 하진 않던데요... 그건 전사가 다 아는 사실인데 왜 바뀌지 않는 거죠?"


"다들 알긴 알지만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자리에 가면 이건 더 이상 본인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지. 어차피 아래 직원들이 하는 일이잖아. 시키면 또 어떻게든 하고."


직급이 올라갈수록 지킬 것이 많아지고 대하는 윗사람들도 많아지며 튀는 행동을 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그래도 여기가 그나마 낫다'는 자기 위안적 사고방식에 훨씬 더 단련되어 있다. 조직과 업무의 여러 부조리함에 이를 갈던 사람들도 막상 그 자리에 올라가면 벙어리가 되거나 그저 위에만 잘 보이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 되는 모습을 보았다. 그들을 탓하는 것이 아니다. 라고 다를 것이라는 확신을 못하니까. 하지만 모든 회사가 다 똑같지 않다고 알려주는 변화의 주체는 젊은 직원들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전 07화 회사는 정말 어딜 가나 똑같은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