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꽃차이 May 07. 2024

징검다리가 필요할 때, 찔레꽃

학원에서 알려 주지 않은 것들

처음 꽃을 배울 때는 꽃으로 돈을 버는 방법이 꽃집뿐인 줄 알았다. 일을 익히기 위해 꽃집아르바이트생을 꼭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정도야 할 수 있겠지.’라는 내 생각이 현실의 벽을 발견하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았다.


우선은 대부분 근무 시간이 9시부터 저녁까지였다. 주말 포함도 많았고 거리도 가깝지 않았다. 많은 돈을 받는 것도 아닌데 아이들을 맡아 줄 사람도 없는 나는 지원서를 낼 곳조차 거의 없었다. 게다가 대부분의 꽃집 사장이 젊다 보니 본인보다 어린 나이의 경력자를 원했다. 4학년을 코앞에 둔 나는 마음이 바빠졌다. 창업 반에서 이론으로 배운 것과 무척 달랐다.


학원에서 취업을 연계해 주는 경우가 있었지만, 당연히 시간이 자유로운 수강생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나의 도전은 결국 또 실패하는 걸까, 현실을 모른 무모함의 대가일까? 배우기만 하고 일은 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자괴감에 눌렸다.


배움과 일 사이 그 간극은 ‘혼란해’라는 바다 같다. 경험해 본 사람만 아는, 태평양에 나침반 없이 나룻배를 띄운 막막함이 넘실댄다. 이 바다를 먼저 건너간 선배들의 책도 읽고 강의도 들어 보지만, 나의 삐걱거리는 배에는 그들에게 탑재된 기능이 없다. 집에 있어야 하는 시간이라는 밧줄이 달려 있어 멀리 나갈 수도 없다. 이 얕은 바닷가에는 물고기도 안 보인다. 유지비도 안 나오고 마음만 흔드는 배를 이제 그만 조용히 거둬들일까 싶어진다. 


벚꽃이 떨어져 아쉬운 봄과 장미가 피는 여름 사이, 그때가 찔레꽃이 피는 시기이다. 꽃 모양도 크기도 꽃잎 두께도 벚꽃과 장미의 중간쯤이다. ‘벚꽃이랑 장미를 섞어 주세요.’라고 주문 제작한 작품 같다. 또 하나의 요청 사항, ‘향이 초여름 더위를 잊을 만큼 짙게 해 주세요.’도 제대로 반영되어 있다. 장미보다 가는 줄기라서 여리여리해 보이지만 단단하고 가시가 촘촘하다. 나지막해서 눈에 띄지 않지만 매년 반드시 그리고 꽤 오래 피어 있다.

그해 길고 길었던 봄과 여름, 그 조그만 찔레나무가 있는 모퉁이를 아이 학원 데려다주느라 매주 지나갔다. 처음에는 무심히 보았다. 이제 졌겠지, 싶으면 다음 주에도 그다음 주에도 여전했다. 어느 날, 신호등을 기다리는 동안 찔레와 눈이 딱 마주쳤다. 초면이 아니라 한마디 할 만도 한데 찔레는 그저 잠잠히 날 바라보았다. 곧 초록 불. 결국 내가 먼저 말했다.


그래 버텨 보자!
나도 너처럼 오래 피어 있어 볼게.
너도 다음 주에도 피어 있어 줘.


찔레 동지가 되어 누구나 겪었을 이 시기를 나도 묵묵히 지나가 보기로 했다. 찔레의 꽃말, ‘고독’, ‘자매간의 우애’처럼.


눈길을 확 끄는 꽃들이 피고 지는 사이에 누가 보지 않아도 틈새를 메우는 꽃들이 있다. 이런 꽃들을 알릴 때 기쁘다. 유명하지 않아도 멋진 나의 친구를 소개하듯 하나하나 이름과 매력을 정성스레 문장에 담아 본다. 주목받지 않아도 자리를 지키는 대부분의 사람 같은 꽃들. 그들이 내 마음의 징검다리가 되어 줬듯, 당신도 그 손을 잡아 보기를.     

작가의 이전글 꽃 수업에서 다 못 한 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