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인혁 Sep 20. 2023

이제 "TV 시청률의 시대"는 저물었다.


요즘 같은 시대에 방송콘텐츠가 통했는지 보는 방법


 TV는 그저 방송을 보여주는 미디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TV는 전통적으로 가정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오브제로 살아있다. 모든 모델 하우스의 거실 중심에는 커다란 TV가 자리를 잡고 있다. 우리 집도 마찬가지이다. 


 대가족이 함께 사는 우리집 TV의 시청률 1위는 할머니와 엄마가 즐겨보시는 저녁 드라마이다. 뻔한 주인공이 뻔한 스토리를 헤쳐나가는 ‘그 저녁 드라마’ 말이다. 그 드라마는 10%에 가까운 TV시청률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사회에서 MZ라고 부르는 범주에 속한 나는, 나의 지인들과 그 드라마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다. 마치 어른들의 TV 세계와 젊은이들의 인터넷 세계가 분리된 것처럼 말이다. 우리 집 TV에서 송출되는 ‘그 저녁 드라마’를 친구들에게 말하면 아무도 모른다. 프로그램명 조차 모른다.


한국광고총연합회 광고정보센터의 tv시청률

 반면에, 우리의 입에 오르내리는,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요즘 인기’라는 프로그램은 따로 있다. TV시청률과도 일맥상통하지 않는 화제성. TV시청률은 죽었다고 봐도 무방한 요즘, 우리는 프로그램의 화제성을 어떻게 가늠해야할까?



RACOI는 가능하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RACOI

 놀랍게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서는 이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하고 있다. 바로, RACOI라는 시스템이다. 방송콘텐츠 인터넷반응 조사라고 불리는 이 시스템은, 다양한 분류로 핫한 프로그램을 줄세운다.

 인터넷에서의 프로그램 반응은 시청자버즈와 미디어버즈로 나뉜다. 시청자버즈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인터넷 게시글, 댓글, 동영상 조회로 산출되며, 미디어버즈는 뉴스기사와 관련 영상으로 산출된다. 우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말 시청자들이 좋아하는 것과 미디어(제작자)들이 좋아하는 것을 파악해볼 수도 있다. 



다양한 데이터의 활용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RACOI

 단순히 인터넷 상의 콘텐츠에 대한 버즈뿐 아니라, 화제의 출연자들도 만나볼 수 있다. 데이터 시대에서 이러한 툴을 제공하는 것은 여러모로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 순위도 사라진 지금, 인터넷 상의 사람들이 어느 곳에 관심이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전문적인 논문이나 학술에서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툴들을 통해 더욱 나의 주변 일상을 파악하기 편해졌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 온라인 홍보단

작가의 이전글 왜 그날의 재난 문자는 늦게 울렸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