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imal May 03. 2020

뉴욕쥐는 왜 뉴욕에 살기로 했을까

Urbanism Newyork

'서울쥐는 왜 굳이 서울에 사는가?'

뉴욕을 이해하는 키워드,

도시성 (Urbanism)


나의 글이 누군가에게 읽히길 바라는 마음에 글이 재미가 있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낀다. 하지만, 뉴욕에 관한 글을 쓸 때에는 여러 가지 매력적인 요소가 많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도시학 내지는 어바니즘이라고 불리는 학구적인 내용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편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어바니즘을 꼭 어렵게 설명할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을 한다. 가령 '이번 주 금요일에는 뭐해요?'라는 질문만으로도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에서 찍은 백화점 Macy's


이번 주 금요일에 뭐해요?


여러분의 주말 계획이 어떻게 되시냐고 묻는다면 어떤 대답을 하시겠는가? 한 주가 너무나도 힘들었던 나머지 주말엔 푹 쉬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아니라면, 이번 주 금요일 밤은 달려야 한다며 전의를 다지는 분도 있을 것이다. 나는 이 두 가지 모두 다 할 수 있을 때 어바니티(Urbanity)를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보습 대일 땅’과 같이 내 영혼이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서도, 언제든지 달려 나가 ‘미친 듯이 놀아볼’ 수 있는 곳에서 어바니즘(urbanism)을 논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 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시를 찾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를 잘 해내는 도시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뉴욕은 이 사이의 균형을 잘 맞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철저하게 익명성을 지니며 홀로 살아갈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쉽게 교류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아놓은 도시이다.


나에게 있어 도시학은 나를 공부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나를 알기 위해선 우선 남을 바라봐야 하기 때문이다. 그 안에 비친 내 모습이 어떠한가를 놓고 사색할 때에서야 비로소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지 않을까? 그 수많은 거울은 바로 도시로서 존재한다. 전망대에서 마주친 수많은 관광객들을 바라보고 그들의 여러 가지 감정들을 돌아보면서 나는 나 홀로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님을 느꼈다.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옥상에는 플라스틱으로된 곡면이 있다. 그 곳에 비친 뉴욕의 스카이 라인


이러한 고민을 다루는데 뉴욕만 한 곳이 없다. 태평양을 사이에 둔 서울과 뉴욕은 달라도 너무나도 다르지만 역설적이게도 서울이 뉴욕을 참 많이 닮았다. 무엇이 닮았고 어느 점이 다른지, 고민하는 것만으로도 그 안에서 나의 정체성이 드러나고 내가 누구인지 이해할 여지가 생긴다.


도시 공부를 평생 하고 싶은 이유다.

다시 여행을 떠나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뉴욕 허드슨강을 담아낸 건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