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집우주 Feb 02. 2020

동물들의 초대장

여는말

나는 봉준호를 좋아한다. 혹시 오해가 있을 것 같아 다시 한번 말하면 ‘나는 봉준호를 좋아한다’. 나는 <살인의 추억>을 보면서 처음 봉준호의 영화에 매료되었다. 그 후 현재 각종 영화제를 휩쓸며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는 <기생충>까지 나는 늘 그의 영화를 기다렸고, 기대해 왔다. 영화가 개봉할 때마다 내가 꼭 영화관을 찾는 감독은 봉준호가 유일하다. 물론 공식 관객수가 말해 주듯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했던 영화, 내가 그의 첫 번째 장편 <플란다스의 개>를 본 건 그 영화 필름이 파일로 바뀌고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였다.


영화는 감독의 예술이다. 감독은 자신이 영화로 표현하고자 하는 장면을 가장 잘 전달하기 위해 프레임 안에 놓이는 모든 것을 결정한다. 감독은 그 공간을 배우, 소품, 배경, 조명 등으로 꾸며 놓고 시간을 흘려 보낸다. 그것을 촬영한 컷 cut들을 붙여서 씬 scene을 만들고, 내러티브 narrative로 꿰어 내면 한 편의 영화가 된다. 영화가 시작되면 이제, 평가는 관객의 몫이다. 관객들은 영화의 스토리와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서 말하고, 화면에 놓인 것들의 의미와 상징을 발견하고, 그것들을 프레임 밖으로 꺼내어 현실과 연결시키기도 한다. 아름다운 영화는 우리를 영화 이야기로 한참 떠들게 하고, 머릿속에 영화 이미지를 한참 동안 떠돌게 한다. 그것은 그만큼 감독이 영화를 만들면서 프레임 하나하나를 알차게 채워 놓고, 컷과 컷을 알맞게 이어 놓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봉준호의 영화는 아름답다.


처음 이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한 건 <기생충>을 보고 난 후였다. 한 공간에서 사회적 계층이 다른 두 가족(정확히는 세 가족)에게 일어난 한바탕 소동이 비극적 사건으로 끝을 맺는다. 나는 기세 당당한 전개와 서스펜스 suspense의 리듬에 올라탔고, 정말 재미있게 영화를 봤다. 극장 문을 나서며 ‘역시 봉준호’라며 실컷 떠들다가 이야기의 초점이 박 사장네가 키우는 개들에게로 옮겨졌다. 그러고 보니 이 영화에서 개들이 꽤 자주, 비중 있게 나온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세 마리의 개들도 박 사장네와 한 가족을 이루고 있는 것 같았다. 영화 촬영을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도 영화에 동물을 등장시키는 게 어렵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안전을 포함해서 현장에서 신경 써야 할 일이 많아지는 이유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동물에게 연기를 시킬 수 없으니 감독이 원하는 장면을 얻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감독이 프레임 안에 동물을 놓아둔 것에는 동물을 통해 말하고 싶은 분명한 연출 의도가 있는 게 아닐까?


그래서 나는  마리의 개가 나오는 장면을 중심으로 <기생충> 다시 봤다. 그리고  영화에서 쮸니, 베리, 푸푸가 근세(박명훈 )만큼이나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알게 되었다. 물론 나의 해석이 감독의 의도와 맞는지는   없다. 하지만  나름대로 영화를 읽어내는 일은 언제나 즐겁다. 그리고 궁금해졌다. 봉준호의 다른 영화에도 동물이 나오는지, 동물이 나온다면 무슨 동물이 나오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 싶었다. 그렇게 <기생충> 시작으로 <플란다스의 >, <살인의 추억>, <괴물>, <마더>, <설국열차>, <옥자> 다시 봤다. 이야기의 흐름과 인물의 감정선을 따라가다가도 갑자기 동물을 보고 멈춰서 바라보는 감상법은 무척 색다르면서 흥미로웠다. 제목만으로도 동물이 나오는  쉽게 짐작할  있는 영화도 있고, 도저히 감이  잡히는 영화도 있을 것이다. 다행히, 그의 모든 영화에는 동물이 나온다.  글을   있게 돼서 기쁘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