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따위, 무섭지 않아
밤마다 온수를 졸졸 틀어놓고 자야 하는 추운 겨울이다. 이렇게 졸졸 틀어놓지 않으면 밤새 수도가 얼 수 있다. 고등학생 때, 우리 집은 2층짜리 단독주택의 2층을 통째로 썼는데 무척 오래된 주택이라 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엄청 추웠다. 그 집에서 엄마는 전투적으로 보온에 신경을 쓰셨다. 밤마다 물을 쫄쫄 틀어놓는 것은 물론, 모든 창문을 비닐로 꽁꽁 덮었다. 당연히 환기는 되지 않았지만, 그렇게 살지 않으면 밤마다 코가 시려서 잘 수 없었다. 그러고도 너무 추워서 온 가족이 안방에 이불을 덮고 앉아 고구마에 김치를 얹어 먹었던 시절이었다.
양평의 겨울은 매섭다. 주소로는 경기도지만, 날씨로는 강원도와 경기도 중간에 낀 곳이라 겨울의 매서운 강바람을 무시할 수가 없다. 약 50년 전, 팔당댐이 생기기 전에는 두물머리 주변이 온통 꽁꽁 얼어붙어 걸어서 강 위를 건널 수 있었다. 지금은 강물이 훨씬 깊어지고 예전보다 기후도 온난해져 그렇게 두껍게 강이 언 풍경은 쉽게 볼 수 없다.
하지만, 겨울의 시골살이는 추위에만 잘 대비한다면 크게 어려울 건 없다. 사실, 아파트에서도 추위는 무서웠다. 주택으로 이사 오기 전에 지냈던 15년 된 아파트는 다용도실의 하수관이 얼거나, 세탁기 호스가 어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매일 같이 관리실에서 '한파로 인해 세탁기 사용을 자재해달라'는 방송이 나왔다. 그에 비하면 단열이 잘된 요즘 주택은 훨씬 관리가 쉽다.
가장 중요한 건 수도다.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기 시작하면, 수도계량기 주변을 헌 옷과 이불 등을 이용하여 잘 감싼다. 그리고 외부에 노출된 수도의 물을 전부 뺀다. 수도의 물을 빼놓지 않으면 얼어붙은 물에 외부 수도관 일부가 파열되는 경우가 흔하다. 결국 다음 해 봄, 외부 수도 바닥을 깨고 땅 속의 수도관을 수리해야 하는 큰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작년에 함께 이사한 집 중 하나도 그렇게 수도관을 교체해야 했다. 물을 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스티로폼 단열재나 이불 등을 이용해서 외부 수도관 주변을 꼼꼼히 감싸 놓길 바란다. 작년 우리 집도 수도관 물이 빠지지 않아 그렇게 해 놓았는데, 다행히 수도관 파열 없이 겨울을 잘 넘겼다.
그리고 조심해야 할 것은 보일러. 요즘 보일러는 보일러가 얼지 않도록 자동으로 보일러를 가동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보일러가 얼어서 고생했다는 얘기는 예전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십수 년 전 학교 앞에서 동생과 자취하던 무렵 살던 집의 보일러는 집 옆의 외부 창고에 있었다. 그때도 보일러를 좀처럼 틀지 않던 동생과 나 때문인지 결국 보일러 일부가 얼어 사람을 불러 해결해야 했던 적이 있다. 지금 생각하면 웃픈 얘기지만, 그래서 보일러 실은 꼭 집 내부에 있는 것이 좋다는 게 내 생각이다.
간혹 전원주택을 주말주택으로 사용하는 분들의 경우, 보일러 문제는 생각보다 쉽지 않다. 요즘처럼 강한 한파에 온기가 없는 집에서는 어김없이 어딘가가 얼고, 보일러 관 일부가 터지는 경우도 많다. 결국 집 전체에 물난리가 나는 경우도 생긴다. 그래서 한 달에 며칠 사용하지도 않는 집에, 보일러를 18~19도 정도로 켜놓고 다닌다는데 그 비용이 생각보다 적지 않다. 단열이 잘 되어 있지 않은 집은 이 정도 사용만으로도 한 달에 30~40만 원씩 가스비를 낸다는 얘기도 전해 들었다.
이런 경우가 적지 않다 보니, 내 주변의 지인 중 한 분은 주말주택에 아예 보일러를 설치하지 않았다. 봄, 여름, 가을에만 그곳을 이용하고 겨울에는 집의 모든 물을 다 빼둔 채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봄, 가을 추울 때는 난로와 전기장판 등으로 난방을 한다고 했다. 무엇이 더 효과적인지는 알 수 없지만, 주말주택의 난방은 집주인의 과감한 결정을 요하는 부분인 것 같다.
마지막으로 얘기하고 싶은 것은 자동차 배터리다. 시골살이 첫 해였던 작년 나는 배터리 방전으로 겨울 한철에만 세 번의 출동 서비스를 받아야 했다. 물론 배터리가 아주 쌩쌩하지는 않았던 것 같지만,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에서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일이었다. 결국 배터리를 교체했고 그 이후로 출동 서비스는 한동안 만나지 않았다. 하지만, 매년 배터리를 교체할 수는 없는 일. 그래서 주차 중에는 블랙박스의 전원을 꼭 꺼둔다. 동절기 배터리 소모의 가장 큰 부분이 블랙박스이기 때문이다. 사소한 행동이지만 생각보다 효과가 크다는 걸 꼭 말해주고 싶다.
그리고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는 날이 이틀 이상 길어지면, 잠깐 나가서 시동을 걸어주기도 한다. 주차장에 셔터가 내려진 경우라면, 조금 덜할 것 같지만 아무래도 영하의 날씨를 그대로 감당하는 건 자동차에는 무리가 되는 것 같다. 출발 전 5분 이상 시동을 걸어두고 자동차의 온도를 높인 후에 출발하는 것도 추천한다. 출동 서비스 기사님이 말씀하셨던 부분으로 추운 날씨에 바로 출발하는 경우, 자동차의 엔진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고 하셨다.
겨울에 조금 더 신경 써야 하는 것들은 이게 전부다. 잔디를 깎을 일도, 텃밭을 챙길 일도 없는 시골의 겨울은 여유롭다. 창 밖으로 눈 쌓인 풍경을 보며, 다시금 고구마에 김치를 얹어 먹는 시간이다. 수십 년 전의 그때보다는 훨씬 따뜻한 내 집에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