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8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어느 구의원의 무모한 혹은 아름다운 도전에 관한 단상

[이희동의 5분] 강남구 구의원의 사퇴를 바라보는 강동구 구의원의 시선

by 한량바라기 Jan 16. 2024

강남구 구의원의 사퇴     


▲  강남구 김민경 전 구의원              ⓒ 강남구의회▲  강남구 김민경 전 구의원              ⓒ 강남구의회


지난 10일 서울시 강남구의회 김민경 의원(국민의힘, 37)이 오는 4월 총선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습니다. 아직 구의원의 임기는 2년 넘게 남아 있지만, 청년 비례대표나 지역구 등을 통해 국회의원에 도전하겠다고 의원직을 던진 것입니다.       


그는 사퇴의 변에서 우선 자신을 뽑아준 지역 주민들을 배신하는 것 같아 죄송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구의원보다 더 높은 곳에서 주민들을 위한 정치를 펼치겠노라고, 아직 젊어서 아름다운 도전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에 대한 지역 정가의 평가는 엇갈립니다. 동료 의원으로서 큰 뜻을 이루기 위해 도전하는 용기가 멋있다며 좋은 결과를 응원하는 이들도 있지만, 다른 한 편에서는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아직 기초의원으로서 지역 활동도 온전히 경험하지 못했고, 구정을 통해서 배울 것도 많이 남아 있는데, 굳이 보궐선거 비용까지 감수하면서 도전해야겠냐는 것이지요.     


당선된 지 1년 6개월 차에 접어드는 구의원의 총선 출마를 위한 의원직 사퇴. 이는 무모한 도전일까요? 아름다운 도전일까요?     


구의원 사퇴의 현실     


옆 동네 기초의원으로서 이번 김민경 의원의 사퇴를 바라보는 저의 첫 번째 감정은 우선 놀라움이었습니다. 구의원이 국회의원을 도전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김 의원은 젊기에 가능하다고 했지만, 젊은 것과 무모한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이니까요.     


물론 구청장이 국회의원이 되기 위해 사퇴를 하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이는 구청장이 그만큼 유권자들을 상대로 인지도를 쌓았다고 자신했기에 가능한 일인데요, 이 경우에도 구청장은 대부분 다선입니다.      


그런데 구의원에 하물며 초선의 도전이라. 구의원의 이름은커녕 존재 자체를 모르는 이도 부지기수이며, 대부분의 유권자는 구의원 개인보다는 소속 정당을 보고 뽑는 것이 현실입니다. 4년 내내 구정을 살피더라도 지역구 인구의 5%나 구의원을 알아볼까요?     


때문에 이번 김민경 의원의 사퇴를 두고 지역에서 여러 가지 소문이 도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가 부유해서 가능한 일이다, 당 지도부와 청년 비례를 약속 받았다 등등. 이는 그만큼 그의 사퇴가 이례적이고 무모하게 보일 수밖에 없음을 반증합니다. 같은 구의원으로서 그의 도전이 놀라운 이유이기도 합니다.      


기초의원의 역할     


▲  수해피해 현장을 둘러보는 필자.              ⓒ 이희동▲  수해피해 현장을 둘러보는 필자.              ⓒ 이희동


이번 사퇴를 바라보는 저의 두 번째 감정은 착잡함입니다. 그가 밝힌 바와 같이 국회의원이 구의원보다 높은 자리인 것도 분명하고, 많은 이들이 구의원을 국회의원으로 가는 하나의 단계로 인식하는 것 또한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초의원은 기초의원으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있기 때문입니다.     


기초의원은 국회의원과 같은 정치인이기도 하지만, 그 지역에 오래 살아왔던 생활인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 전체를 대상으로 법을 만들고, 정책을 고민하는 국회의원과 달리, 지역에 밀착하여 주민들의 일상 속에서 함께 웃고, 울고, 고민하며 생활 정치, 풀뿌리 정치를 실현합니다. 사람들이 원하는 바를 현장에서 체득하고, 그렇게 얻은 판단을 소속 정당에 전달합니다.     


사실 2022년 6월 당선된 이후 1년 6개월 동안 본 의원의 구정 활동을 돌이켜보면 그것은 기존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지역에서 똑같이 아이들을 키우고, 생활하고, 이웃들과 소통하는 등 저의 지역에서의 일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의원으로서 조금 달라진 것이 있다면 그 일상 속에서 정치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들을 살펴보고, 내가 낸 세금이 제대로 쓰이나 꼼꼼하게 신경을 쓴다는 사실입니다. 같은 이웃이기도 하지만 하나의 플랫폼이 되어 후원과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연결하기도 합니다. 우리의 일상이 나아지도록 노력합니다. 그것이 기초의원이 할 일입니다.      


▲  기초의회서부터 경력을 쌓은 이해식 국회의원  ⓒ 이해식의원실▲  기초의회서부터 경력을 쌓은 이해식 국회의원  ⓒ 이해식의원실


따라서 기초의원이 국회의원이 되는 경우 큰 시너지를 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서울시 강동을 지역의 이해식 국회의원입니다. 그는 1995년부터 23년 동안 구의원, 시의원, 구청장을 거치면서 일상의 정치를 실현해왔습니다. 시민들의 삶 속에 깊숙이 스며들어 대안을 고민했고 더 나은 삶을 꿈꿨습니다. 그 결과 지금의 의정활동이 훌륭하다고 평가를 받습니다. 그가 많은 기초의원의 롤모델이 되는 이유입니다.      


그런데 강남구 김민경 의원은 그와 같은 기회를 스스로 져버렸습니다. 1년 6개월 만에 구의원을 사퇴하면서 더 높은 곳에서의 정치를 논했습니다. 자신의 도전을 마냥 아름답다고만 했습니다. 같은 기초의원으로서 유감스럽고 안타까운 이유입니다.      


앞으로 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김민경 의원의 도전을 응원하며, 혹여 그가 국회의원이 된다면 비록 짧지만 기초의회의 경험을 살려 일상에서의 정치가 원활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힘써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1야당 대표 살해기도... 해방정국을 떠올린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