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
1. 사랑은 기술인가?
- 사랑은 벼락처럼 다가오는 감정의 소나기가 아니다. 사랑은 화가나 목수가 기술을 연마하여 위대한 작품을 창작하듯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 기술이다.
- 사랑에 대한 일반적인 오류
1) 사랑을 하기 보다 사랑을 받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매력적으로 보여 사랑을 받기를 추구한다.
2) 사랑은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대상'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3) 사랑을 '하게 되는' 최초의 경험과 사랑에 '머물는' 상태를 혼동한다. 성적 결합과 더불어 다가오는 격앙된 경험으로의 초기의 사랑을 사랑으로 착각한다.
2. 사랑의 이론
1) 실존적 문제의 해법으로의 사랑
- 자연으로부터 분리, 엄마로부터의 분리는 인간의 실존적 불안의 원천
(분리- 무력감- 몰이해 - 수치감, 죄책감---> 합일에 대한 필요)
- 합일에 이르는 방법
(1) 도취적 합일: 성적도취, 알콜, 마약(p28)
- 강렬,난폭/몸과 마음에서 일어남/일시적
(2) 집단 일치적 합일: 신앙, 관습(p30~34)
- 차이의 제거- 비개성화된 평등- 개성이 사라짐
- 효과불충분/ 정신에서만 작동/지속적이다--사이비합일
(3) 창조적 활동 : 예술, 일, 작업
- 대인간적이지 않다.
- 완전한 해답은 대 인간적인 결합, 사랑이다.
(1) 공서적 사랑(p38)
- 수동적 형태 : 마조키즘(피학성), 위대한 힘에 대한 복종-분리감에서 도피
- 능동적 형태 : 사디증(가학성), 타인을 지배함으로써 고독에서 도피
(2) 성숙한 사랑(p40)
- 자신의 통합성, 곧 개성을 '유지하는 상태에서의 합일'
" 두 존재가 하나로 되면서도 둘로 남아 있다"
- 사랑은 능동적 형태의 활동
"사랑은 '참여하는 것'이지 '빠지는 것'이 아니다."
- 사랑은 주는 것이다(오르가즘과 남자의 사정)
" 부자란 많이 가진 자가 아니라 많이 주는 자다"
- 사랑은 생명을 주고 받게 되는 상생이다.
" 참으로 줄때, 그는 그에게로 되돌아오는 것을 받지 않을 수 없다"(p45)
- 사랑의 기본 요소
(1) 보호: "사랑은 사랑하고 있는 자의 생명과 성장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다"(p47)
(2) 책임: "책임은 다른 인간 존재의 요구에 대한 나의 반응이고, 응답이다"
(3) 존경 :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 독특한 개성을 아는 능력이다"
(4) 지식 : 서로의 비밀을 아는 것(사고가 아니라 경험에 의해)
'대상과 나를 객관적으로 알아야 본질을 알 수 있다'
2)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
- 아기때는 무조건 받는 수동적 사랑(자아도취)
- 사랑 받는 것에서 '사랑하는'으로 성장해야
"나는 사랑받기 때문에 사랑한다(소아적 사랑)에서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 받는다(성숙한사랑)"
- 보상으로서의 사랑
. 어머니의 사랑 : 무조건적, 자연의
. 아버지의 사랑 : 조건적,
"성숙한 사람이 되려면 자신이 자신의 어머니가 되고 아버지가 되어야 한다"(p71)
3. 사랑의 대상
- 사랑은 대상이 문제가 아니라 능력의 문제다
"사랑은 세계와의 관계를 결정하는 태도, 곧 '성격의 방향'이다" (p74)
① 형제애
. 가장 기본적인 사랑이며 모든 인간에 대한 사랑이다.
. 동등한 자 사이의 사랑이다.
② 모성애
. 아기의 생명과 욕구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이다.
- 생명 유지와 성장를 위한 보호, 책임 - 젖
- 삶에 대한 사랑을 가르치는 것 - 꿀
. 아이에게 '젖' 뿐만 아니라 '꿀'도 줄 수 있는 어머니는
좋은 어머니 뿐 아니라 행복한 사람이어야 한다.
③ 성애(SEX)
. '사랑에 빠진다'는 폭발적 경험의 혼동
. 성적 욕망의 기만성(분리감- 친밀감- 희박 - 새로운 사랑...)
"육체적으로 결합하려는 욕망이 사랑에 의해 자극되지 않는다면, 성애가 동시에 형제애가 아니라면, 이 욕망은 도취적이며 일시적인 합일에 지나지 않는다" (p85)
. 형제애와 모성애에는 없는 배타적 독점욕의 성애
④ 자기애
. 이기적인, 비이기적인 사랑,--> 자기애...자기도취
. "특정인을 사랑하려면 인간 보편을 사랑할 수 있어야"
"자녀들에게 사랑, 기쁨, 행복이 무엇인가를 경험하게 하는데 있어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어머니의 사랑보다 더 전도력 잇는 것은 없다"
⑤ 신에 대한 사랑
. 자연에서 분리된 불안의 해소(동물토템 - 우상 - 신인동형)
. 지식이나 사고가 아니라 일체성을 경험하는 행위
3. 현대사회에서 사랑의 붕괴
- 자본으로부터의 소외, 분리
- 성적 기교에 대한 환상
- 프로이트의 '성적 사랑론' vs 성숙한 완성으로서의 사랑
- 프로이트는 자본주의 경쟁원리, 즉 소비주의 관점
- 설리반의 제휴로서의 사랑(팀워크)
- 신경증적 사랑의 여러 형태
. 어머니/아버지 중심의 퍼스낼러티의 애인에게의 전이
. 어머니를 벗어나지 못하는 유아적 남자들
. 아버지 애착증
. 부부관계가 좋지 않은 어버이 --> 피학적 음란증
. 우상 숭배적 사랑 --> 갑작스럽고 강렬한 ..감응 정신병
. 감상적 사랑(사이비 사랑)
4. 사랑의 실천
- 몸소 겪어야 하는 개인의 경험이다.
1)훈련 2)정신집중 3)인내 4)최고의 관심
- "도피로 사랑하지 말고 서로 친밀해져라"
- 자신과 상대에 민감해져라 아이처럼.
" 어린시절 민감함의 완전한 기능상을 체득해야 한다"
- 자아도취를 극복하라. 자신의 내면만을 경험하는 것을 극복하라
. 객관성의 결여 ---> 겸손
- '신앙'(믿음)을 실천하라.
. 생산적 지성, 정서적 활동
. 합리적 비전을 세우고 믿음을 갖고 실현
- '활동'
. 모든 것을 사랑. 분업은 없다
. 공정성과 사랑의 차이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을 믿어라.
"사랑이란,
개체적 자아를 보전하는 것을 토대로 그 개인을 다른 사람과 결합시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