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연 Mar 28. 2022

필사

새로운 습관 혹은 취미

20살 초반에 일본에 1년 정도 있었고 20대 후반에 새로 들어간 학부에서 일본어를 주전공했다. 3학년부터는 복수전공인 큐레이터과 공부에 열중하느라 일본어를 거의 놨다. 졸업 후 큐레이터로 일하게 되면서 일본어를 공부할 시간은 잘 생기지 않았다. 하지만 마음 한 구석에 아까움이 계속 있었다. 계속 갖고 있으면 좋을 것을 어딘가 내 팽개쳐버리는 기분이었다. 이런 찜찜함을 가지고 몇 년에 한 번씩 JLPT 시험을 보곤 했다. 작년에도 봤다. N1에 운 좋게 붙은 적도 있어서 그걸 볼까 하다가 N2를 봤다. 시험을 보는데 문제가 다 이해가 되고 잘 풀렸다. 신기했다. 이후 일본어를 어떻게든 계속 이어가야겠다는 의지가 불타올랐다.


그러다 우연히 매일 2페이지씩 일본어 책을 필사하는 모임을 만났다.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어 부담도 없었다. 첫 책은 마스다 미리의 얇은 만화 『す ー ちゃんの恋』였다. 만화여서 글자 수가 많지 않았다. 모임은 단톡방을 통해 이루어졌다. 사람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해당 분량을 단톡방에 필사해 올렸다. 두 달 정도 진행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나는 평소보다 아침에 한 시간 정도 일찍 일어나게 되었던 것 같다. 필사는 30분도 안 걸렸지만 필사를 마치고 단톡방에 올린 후 다른 공부를 조금 더 했다. 위 책 전체 필사를 마치고 현재는 같은 작가의 에세이 『今日も怒ってしまいました』필사를 시작했다.


최근엔 시나 미술 관련 에세이도 필사한다. 평소 나는 시 읽기를 어려워하는 편이다. 문장을 곱씹으며 완전히 몰두하고 상상하는 것이 잘 안 됐다. 내가 시구를 제대로 대하고 있지 못한다는 생각에 안절부절 페이지를 들여다보다 책을 덮어버린다. 그런데 필사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시구를 좀 더 진득하게 대하는 기분이 든달까. 필사를 할 때는 시를 읽다가 금방 책장을 닫아버리지 않는다.


미술 에세이를 필사하게 된 것은 시각문화연구자 김신식 님의 인스타그램을 보다가 시작되었다. 그는 씨네 21 편집위원 김혜리의 미술 에세이집 『그림과 그림자』를 필사하며 읽었다고 했다. 평소 김신식 님의 글을 좋아했던 나는 도서관에 가서 그 책을 빌려다 필사를 해보았다. 글 몇 편을 골라 필사를 하다 보니 내가 좋아하는 책으로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미술 에세이는 미술평론가 김진숙 님의 『인간다움의 순간들』이다. 미술을 막 공부하기 시작한 이들에게 꼭 추천해주고 싶은 책 중 하나이다. 나도 언젠간 저런 글을 쓰고 싶다.


일본어를 헐겁게나마 붙잡는 수단, 그냥 재미로 하고 있는 필사가 나의 일본어 실력, 글쓰기 실력에 어떤 효과를 가져다 줄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빈 시간이 생길 때면 뭘 좀 베껴써볼까~ 하는 마음이 든다. 해서 책장에만 꽂혀있던 어려운 시집도 들여다보게 되고 비슷한 류의 다른 책들도 탐색하게 된다. 필사 습관이 만들어지고 있나. 혹은 취미? 

작가의 이전글 이윤엽 판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