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쌤 Aug 09. 2022

SUEper의 인생은 먹는 즐거움으로

2022년 8월



당근 옆에 저 초록이는 무슨 나물일까요?


고춧잎나물입니다. 한국에 오니 호박잎, 고춧잎나물은 물론이고 처음 보는 나물까지 풍성해서 좋아요.


야채를 먹기 싫거나 귀찮은 날은, 저렇게 돌김에 말아서 쉽게 먹어요. 돌김은 구멍이 잘 나고, 물에 잘 녹아서 야채에 뭍은 물에 흐물거리는 단점은 있지만, 씹는 질감이 더 좋아서 돌김을 자주 먹어요.


만들어둔 단무지를 넣거나 김치를 넣어, 특히 쓴 야채들을 김에 말아먹으면 아주 쉽게 많은 양을 먹을 수 있답니다.


이건 무슨 조합인가? 싶으시죠?^^


될 수 있으면 조리를 덜 하고, 조미료를 넣지 않은 채 본 재료 원래대로 먹으려고 노력 중이에요. 


예를 들어 두부를 부치거나 조리지 않고, 그냥 살짝 데쳐서 먹거나, 버섯도 그냥 찌고, 고기나 생선도 마늘, 생강 정도만 넣고 삶아서 먹어요.


물론 맛은 덜 하지만, 그동안 여러 양념에 가려져 못 느꼈던 순수한 두부, 버섯, 고기, 생선의 맛을 느끼는 새로움이 있답니다.


이렇게 하면 요리하는 시간이 줄어서 요즘처럼 더운 여름 주방에서 일하는 시간이 적게 들고, 설거지도 적어서 여러 가지로 좋아요.


매번 그렇진 않지만, 한 접시 안에 담기는 색도 고려해요. 각각의 색이 가진 에너지가 다르니, 가능하면 여러 색을 먹으려고 노력해요. 참고로 파프리카 중에서 제일 건강에 도움 되는 색은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 초록색 순이라고 합니다.



여름 양파는 맵기보단 달다는 것을 이번에 알았어요.


깨는 산화가 잘 된다고 해서 미리 갈아두지 않고 사진에서처럼 통으로 먹고요. 항상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고 들기름, 참기름도 꼭 냉장보관합니다. 들기름이 산화가 더 잘 되는데 참기름과 섞어두시면 보관기간이 조금 는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여름 얼갈이김치와 잡곡밥, 한국 코스트코에서 발견한 100% 쌀 누룽지 소포장된 것이 있어서 사봤어요.


병원이나 문화센터 갈 때 점심은 제가 싼 도시락으로 해결해요. 외식은 다소 자극적인 맛이라서 아직은 자제하고 있습니다. 야채와 유자차를 활용한 빵과 잡곡밥이에요.


이름은 통밀빵입니다. 계량 안 하고 항상 제 맘대로 하다가 매번 실패했는데, 이스트 넣고 발효에 성공해서 빵다운 texture를 가진 저만의 걸작입니다.^^


코코아 가루와 으깬 바나나를 섞어 냉동하면 초콜릿 아이스크림 비슷한 맛과 질감이 돼요. 


물론 사 먹는 것에 비하면 맛이 덜하다 싶으시겠지만, 건강을 생각하신다면 이렇게 천연 간식 만들어보세요. 여기에 여러 견과류 넣으시면 더 좋고요.


음식 조절하느라 이것저것 안 먹은 것들 중에 하나가 라면이라서 한 일 년 만에 먹었나 봐요.^^ 그나마도 유기농 쌀라면인데, 여기에 야채가 반절이라 예전에 먹던 라면 본연의 맛은 없었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먹어서인지 감동이었답니다.



더운데 어떤 음식들 해서 드시나요? 여러분의 식탁도 궁금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SUEper의 역이민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