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삶의 기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물루티 May 11. 2016

기분 나쁘지 않게 말하는 것이 능력이다

아랫 사 잘 갈구는 것을 엄청난 능력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누굴 야단치는 것도 참 스트레스 받는 일인데, 본인이 악역을 도맡아 분위기를 딱 잡아놨으니 조직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 이들은 '어떻게 잘할까'가 아니라 '어떻게 쪼을까'를 늘 고민한다.


그러다 보니 아랫사람(아랫사람이 아니라 연차가 나보다 적은 직장동료지만..)의 약점과 실수를 찾는데 선수다. 이런 사람들이 주로 잘쓰는 표현이 있다.


'이번 일만 갖고 하는 말이 아니잖아'

'지난 번에 니가 나한테 뭐라고 했어'

'내가 몇번을 더 얘기해야 돼?'

'과장이나 됐으면말야'


이렇게 말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 압박을 통해 정량적인 성과를 내는 경우도 많다. 어떤 회사에선 이런 유형의 관리자를 더 선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무실의 공기를 칼날처럼 만드는 군기반장이 결코 유능한 사람은 아니다.


능력의 기준은 전문성과 리더쉽이다. 여기서 말하는 리더쉽은 버거운 과제가 있을 때, 부하직원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도, 어떻게든 일을 해내도록 만드는 것이다.


불가피한, 막중한 업무가 주어졌을 때를 생각해보자. 리더는 전문가로서 여러가지 가능한 시나리오를 설명하고 그나마 모두에게 유리한 돌파구를 제시해야 한다. '이게 최선이니 나를 믿고 따르라'라고 말해야 한다.


유능함이란 냉철한 판단을 통해서 공감대를 만들어내는 힘이다. 공감대는 사실 서로간에 오가는 말을 통해서 형성된다. 관리자가 부하직원에게 물어보고 지시하는 말한마디에도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올바른 지시가 맞는지, 일을 두 번 하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혹시 내 의도를 오해하진 않는지' 두 번, 세 번 고민해야 한다. 이건 깝깝한게 아니라 섬세한 것이다. 리더쉽은 바로 이런 디테일에서 나온다.


* 상단 이미지는 영화 오피스 중 한장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