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소림 Mar 21. 2022

세상에 없던 도서관, 세상에 없던 사서.

이도 개관 기념 인터뷰 <2> 이도 운영팀 김연은 주사

2021년 11월, 세종시립도서관 3층에 space T의 네 번째 기지인 「스페이스 이도」가 문을 열었습니다. 이도의 개관을 즈음하여 건축팀, 운영팀 그리고 콘텐츠팀을 만나 프로젝트의 과정을 짚어보았습니다. 이번 인터뷰는 이도의 안팎을 살피며 트윈세대들을 만나고 계신 이도 지기, 김연은 주사와 함께 진행했습니다. 



PART 1 : 반갑습니다!


이소림│자기소개를 부탁드려요!


김연은│안녕하세요? 세종시립도서관에서 청소년 공간 이도와 시립도서관 문화프로그램 기획 운영 등을 담당하고 있는 김연은입니다. 반갑습니다.

 

이소림이제까지 어떤 일을 해오셨는지 궁금해요.


김연은│20대에 사서 공무원으로 임용된 후 기록물 관리, 도서관 개관, 도서관 운영 업무 등 다양한 도서관 업무를 하였습니다. 일하는 도중에 아이를 낳고 긴 육아휴직의 시간을 가지기도 했습니다. 복직 후 어린이 도서관에서 다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는데 오랜 업무 단절에도 내 책상이 남아있고 나의 일이 있다는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세종시로 온 지 이제 3년째이지만 혼자서 도서관을 담당하여 운영하는 업무나 새로운 대표도서관을 개관하는 업무 등 사서로서는 일상적이지 않은 새로운 업무를 맡아서 더 다양하게 일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소림│처음 이도 프로젝트를 맡으셨을 때, 어떤 다짐이나 기대가 있으셨을까요?!


김연은│우연히 MBTI 테스트를 본 적이 있는데 공무원 중에서는 흔하지 않은, 보수적인 업무를 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질 수도 있는 타입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었거든요. 이도 프로젝트는 정형화된 공무원의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더 기대가 되었던 것 같아요. ‘아! 이 일은 지금까지 해오던 일과는 다른 일이다. 정확히는 내가 처음 경험해보는 일이다. 새롭고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어요


 

PART 2 : 이도가 궁금해요!


이소림│완성된 이도 공간을 처음 만나던 날 기억나시나요? 어떤 기분이셨나요?!


김연은│작년 11월 11일이었죠. 그날은 도서관 개관도 함께 한 날이라 정말 정신이 없고 어떤 감상이나 생각에 젖을 새가 없었어요. 그 와중에서도 이도를 찾아준 트윈세대 분들께서 잘 이용해주셔서 기쁜 마음이 들었던 기억이 나요. LP를 정말 듣는 다고? 와.. 저렇게 몰두해서 책을 읽는다고? 이 공간을 이렇게나 좋아해 준다고? 신기하고 온통 뿌듯한 마음, 고마운 마음이 가득했어요.


©주현동
©주현동

 

이소림이제 운영 3개월 차에 접어든 이도 운영자 분들 덕분에 정말 빠른 속도로 공간의 경험이 무르익고 있는 것 같아요. 이제까지 이도에서 일하시며 뿌듯하고 인상 깊었던 탐험가들의 모습이나 에피소드가 있으실까요? 그런 모습을 볼 때 이도 탐험가들에게 이도는 어떤 공간이 되어주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김연은│이도의 첫 이용자를 저희 운영자끼리 ‘1호 탐험가’라고 부르고 있어요. 이 1호 탐험가님이 제일 기억에 남습니다. 이도를 열고 제일 처음으로 제가 맞이했던 탐험가님이고 당시 개관 행사로 앞에서 기다리다 들어오셨음에도 밝은 모습으로 기뻐해 주셔서 정말 감사했거든요! 또 첫날 이용을 한 후 자주 오시던 순간도 참 좋았어요. 더 나아가서 다른 이도 이용자들과 친구가 되는 순간은 정말 기쁘더라고요! 이제 17세가 되셔서 이도 이용을 못하게 되었지만 그렇게 만난 친구와 함께 이도에서 봉사활동까지 하고 계세요. 이도의 역사를 보는 듯한 기분으로 뿌듯하더라고요. 탐험가로 왔던 공간을 봉사자로 이어져 와도 어색하지 않고, 앞으로도 탐험가들께서 내가 주인이라는 마음이 드는 그런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소림│이런 이도를 만들어가기 위해, 공간의 앞과 뒤에서 운영팀 분들이 정말 많이 애써주시고 계실 것 같아요. 이도에서 맡고 계신 각자의 일을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김연은│저는 두 분의 이도지기님과 팀장님 관장님 사이에서 연결점이 되고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어요. 이도 업무만을 맡아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도지기로 오래 있지 못해 아쉽기도 하지만 두 이도지기님과 함께 이도의 많은 부분의 결정과 팀장님 관장님 사이에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팀장님, 두 이도 지기와 늘 함께 하는 김연은 주사의 모습

 

PART 3 : 새로운 공간, 새로운 일.


이소림│세상에 없던 공간이 만들어졌어요. 일반적인 공공 도서관을 만드는 사업들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어떤 점이었나요?


김연은│공간의 분위기와 자료의 구성, 가구의 배치 등 모든 것이 달라요. 보통 도서관에서는 공부나 학습을 하는 공간이라고 많이들 생각하시죠. 그러나 이도 안에서는 학습은 권하지 않아요. 대신 이도 공간의 책을 읽거나 다른 콘텐츠와 창작활동을 해주십사 권유드리고 있거든요! 이러한 점부터 큰 차이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소림│구축 과정에서 가장 도전이 되셨던 부분은 어떤 것인가요?


김연은│공무원은 보통 문서로 말을 하고 문서로 표현을 하며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도 프로젝트는 협업 과정에서 다양한 워크숍도 많았고 회의도 자주 가졌어요. 공무원이 아닌 분들과 진행했던 협업의 과정 하나하나가 다 새로운 부분이었던 것 같아요.


모든 주체가 만났던 월례회의 외에도 콘텐츠 기획과 배치, 공간 정체성 구축 등을 위해 수시로 만나 이도를 위한 협업을 진행했다.

 

이소림│이 새로운 공간이 지속적으로 잘 운영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김연은│운영자들이 지치지 않아야 할 것 같아요. 운영자들이 새로운 힘이 생겨야 공간도 그 힘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이소림│이도를 함께 꾸려가는 동료 운영자에게 한마디 남기신다면?!


김연은│밝은 에너지와 끝없는 책임감을 갖고 일해주어 감사합니다. 앞으로 지금처럼 서로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많은 이야기 나누며 건강 잘 챙기며 오래오래 이도지기로 함께 하고 싶어요.

 

이소림│앞으로 스스로에게 기대되는 모습이나 이도에서 더 해보고 싶은 것들이 있으신가요?


김연은│우선 이도 콘텐츠인 책과 영화, 그리고 음악을 전부 다 파악하고 탐험가들의 취향을 잘 흡수해서 그보다 앞서가며 소개할 수 있는 콘텐츠 마스터 이도지기가 저의 목표입니다!!

또 지금처럼 설레고 편안한 이도 공간을 쭈욱 유지하고 싶습니다.



‘아! 이 일은 지금까지 해오던 일과는 다른 일이다. 정확히는 내가 처음 경험해보는 일이다. 새롭고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어요. 이제는 이도 콘텐츠인 책과 영화, 그리고 음악을 전부 다 파악하고 탐험가들의 취향을 잘 흡수해서 그보다 앞서가며 소개할 수 있는 콘텐츠 마스터 이도지기가 저의 목표입니다!!

­ ―

○ 인터뷰 진행 및 편집: 도서문화재단 씨앗 이소림 매니저


<세상에 없던 도서관, 세상에 없던 사서.> 글 어떠셨나요?

▶ 도서관 속 트윈세대 전용공간, space T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 각 space T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궁금하시다면?

세종시립도서관 웹사이트

우주로1216 인스타그램

공릉청소년문화정보센터 인스타그램

트윈웨이브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세종시립도서관 스페이스 이도를 소개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