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onny J Apr 25. 2020

'거북이'가 결국 '토끼'를 이긴 이유

'완벽한 멀리뛰기'를 하려 폼 잡지 말고, 지금 당장 '한 걸음'을 걷자

오늘로서 딱 한 달.


한동안 브런치에 글을 올리지 않았다. 3월 말에 마지막 글을 올린 후, 벌써 4월 말.

하루하루 미뤄지다 결국 한 달이 되었다. 물론, 괜찮은 핑곗거리들은 있다.  

4월 1일 남자 친구와의 뜻깊은 1주년. 4월 10일 내 생일. 4월 15일 총선. 몇 달간 코로나 때문에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 갑자기 바빠진 회사일, 한동안 가지 못했던 지방 본가 방문 등등...


4월은 지난 3월과는 달리나 혼자만의 시간보다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많이 가졌던 것 같다. 그래서 혼자 사색하고 글을 쓸 시간이 상대적으로 충분치 않게 느껴졌다.

 


사실, 지난달은 코로나로 인해 회사일도 별로 없고 집콕해야 했던 상황이라 온전히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 덕분에 내 머릿속, 내 마음속, 내 몸속 구석구석 찬찬히 살펴보고 성찰하며 글 속에 녹여낼 충분한 재료들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3월 한 달간 가졌던 생산적인 침묵의 시간봄바람 부는 4월이 되자 마음처럼 쉽게 가지기 힘들어졌다.



따뜻한 햇살 아래 꽃잎을 포슬포슬 흩날리며 만개한 벚꽃나무들은 나를 집 밖으로 나오라고 손짓했고, 앞서 언급했던 다양한 이벤트 릴레이와 코로나 때문에 만나지 못했던 친구들의 연락, 다시 바빠진 회사 업무로 인해 지난 한 달간 쌓아왔던 습관과 루틴들이 조금씩 조금씩 무너지는 느낌이 들었다. 가끔 예전처럼 돌아가버릴까 불안했다.


그렇게 나는 '행복감불안감이 공존하는 한 달'을 보냈다.


그런 불안정한 시간을 보내는 동안, 나는 이전처럼 몇 시간을 쭉 앉아 밀도 있는 글을 쓸 엄두를 내지 못했다.




코로나가 지배했던 지난달은 집에서 매일 책을 읽고 좋은 콘텐츠 속에 나를 파묻을 시간이 충분했기에, 좋은 아이디어가 매일 넘쳐흐르고 글을 쓸 의욕도 왕성해서 하루에 1시간만 글 써야지 했다가 내리 8시간을 쭉 글을 쓰기도 했고, 연달아 6편의 글을 발행하여 하루에 조회수 600~700을 기록했고, 며칠 만에 총 조회수 2000을 넘기도 했었다. 처음엔 큰 기대하지 않았지만 꽤 많은 사람들이 내 글을 읽어주고 있다는 사실이 글 쓰는 것이 더 즐겁고 행복하고 뿌듯하기 해주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글을 쓰고 싶어졌다. 이렇게 한동안 글을 쓰는 행복을 만끽했다.

하지만, 최근에 나는 집안보다는 집 밖에서 보낸 시간들이 많아졌고, 그렇게 내가 브런치를 떠나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조회수는 곤두박질쳤다. 또한, 밖에서 에너지를 많이 쓰다 보니, 내 안을 깊이 들여다볼 에너지와 여유가 남아있지 않았다. 3월 한 달, 내 머릿속에서 오랫동안 숙성된 많은 아이디어들을 몰입해서 한꺼번에 다 쏟아내고 나니 한동안 나를 찾아오지 않았던 '번아웃'이 다시 온 걸까.


글을 써야 한다는 생각은 매일 가지고 있으면서도, 하루하루 조회수 10 언저리를 기록하는 브런치 통계만 들여다보면서 글 쓸 의욕도 조금씩 사그라들고 있음을 느꼈다. 하지만, 아예 손을 놓았던 것은 아니다. 시간이 날 때마다 글을 찔끔찔끔 써 내려가긴 했다. 그러나, 매일마다 일기에 '오늘은 꼭 브런치 글을 완성해서 업로드 완료하기'를 쓰며 매일 굳게 다짐했음에도 불구하고 조각난 글 조각들은 한 편의 글로 쉽게 완성되지 않았고, 브런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저 민트색 '발행' 버튼은 점점 멀게만 느껴졌다.




지난달, 그렇게 하루 종일 글을 써도 지치지 않고 끝도 없이 글을 써 내려가던 나는 지금 왜 그렇지 못할까. 그 이유에 대해 한동안 고민해보았다.


역시나, '너무 완벽하게 쓰려고 하다'보니 그랬건 것 같다. 


지난달, 운 좋게 내 글이 브런치 메인에 노출이 되었던지 하루에 조회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그 '이력'이 있다 보니, 또다시 그런 글을 쓰려면 시간도 많이 들여야 하고 많은 사람들이 읽는 글이니 완성도 있는 글만을 발행한다는 생각이 나를 점점 더 '발행' 버튼을 누르지 못하게 했던 것 같다. 화면 하얀 마우스 커서발행 버튼은 마치 자석의 같은 극처럼 서로 닿으려고 해도 닿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동기부여를 위해 찾아본 한 유튜브 영상에서 나온 문구 하나가 내 마음에 다가왔다.

Done is better than perfect.


'완수하는 것이 완벽한 것보다 낫다'라는 말이다. 페이스북 본사에도 붙어있는 유명한 글귀라고 한다.


그렇다. 비록 아직 완벽하지 않더라도 그저 몇 번 더 시도하는 것이 더 낫다. 완벽하려고 준비만 하다가 실행을 늦추면, 결국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다.


더 잘 써서 올려야지 하다가 결국 한 달에 글 한 편도 못 쓴 4월의 내가 딱 그랬다. 유명한 이솝우화인  <토끼와 거북이>의 '토끼'가 되려고 하다가 결국 '거북이'보다도 느려진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거북이가 토끼를 이길 수 있었던 것은 느리더라도 쉬지 않고 계속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뎠기 때문이다.


올해 내 브런치 작가로서의 첫 목표는 글 100편을 써서 구독자를 1,000명 확보하는 것이었다.


나름대로 큰 목표를 세웠기 때문에, 나는 최소 일주일에 3편 이상은 써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글 한 편을 쓰는 것이 생각보다 엄청난 시간과 몰입이 필요하다 보니 출근해야 하는 평일에는 3일에 글 한편 쓰는 것도 쉽지는 않았다. 그러다 가끔씩 한 번에 3시간 들여 한 편의 글을 완성하려고 폼 잡다가 그럴 시간 없고 귀찮다고 미루면서 2주의 시간을 그냥 흘려보내기도 했다. 이럴 거면 그 시간동안 그냥 매일 하루에 30분씩 나눠서 글을 써서 쉬지 않고 일주일에 한씩 완성하는 게 더 빠를 수 있었다.


만약 처음부터 한 번에 멀리 뛰려고 하다 지쳐 잠든 토끼가 아니라, 답답하게 느려도 매일 걷는 거북이가 되고자 했더라면, 지금까지 나는 글 5편은 더 쓰지 않았을까.




우리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나처럼 뭔가를 빨리 이루려고 욕심을 부리다가 오히려 더 느려지거나 아예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 운전도 그렇지 않은가. 늦지 않게 목적지에 도착하려고 과도하게 빨리 가다가 타이어에 펑크가 나서 더 늦어진다거나, 오히려 사고로 목숨을 잃고 다시는 목적지에 다다르지 못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는 고속도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어처럼 '빨리 가려다 정말 (저 세상으로) 빨리 가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빨리 가려다가 경로를 이탈하거나 사고가 난 자동차가 되지 말자.

그러니,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빨리 도달하려고 처음부터 몰아붙여 시속 200km의 속도를 내다가 결국 번아웃이 와서 한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것보다는, 속도를 조금 낮춰 시속 80~100km 정도로 여유를 가지고 꾸준히 달리는 것이 결국은 더 빠른 방법일지도 모른다.




지난 한 달, 비록 생각보다 느려지고 많은 것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이런 불편한 감정이 또 이 글을 쓸 수 있는 소중한 재료가 되어주었다고 생각하니 조금은 후회감이 사그라든다. 하지만, 그동안 내 프로필에 구독을 눌러주셨던 고마우신 독자분들께는 좋은 글을 지속적으로 보여드리지 못해 죄송했다.

빨리 달리다가 지치지 말고, 그냥 매일 한 걸음씩 걷자.

자, 그럼 이제 한 달 동안 완벽하게 멀리뛰기하려고 미적거렸던 나를 반성하며, 매일 그저 조금씩 걸어가기를 시도해보려고 한다. 하루에 딱 한걸음.  하루에 10분이라도 글을 다시 써보려고 한다. 아무리 바빠도 하루에 10분 시간은 낼 수 있지 않을까.


완성도 측면에서는 예전처럼 한 번에 쏟아내는 글이 분명히 더 좋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보다는 매일 조금씩 쓴 글 조각들을 하나하나 이어 붙이고 다듬으며 꾸준히 글을 올리고, 그 후에 더 완성도 있게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개선해가는 것이 이렇게 한 달에 글 한 편도 못 쓰는 상황이 다시 오는 것보다는 더 낫지 않을까. 사실 그게 더 멀리 더 빠르게 가는 길일 것이다.




그러니 너무 완벽하려 하지 말자.

그저 조금 느려도 '매일 걷는 거북이'가 되자.

작가의 이전글 '진짜 중요한 것'들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