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쓰는사람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읽쓴이 Feb 14. 2024

사랑.

도르르르 굴러온다.

현우는 다시 눈을 감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진짜로 가기다. 그렇게 웅얼거렸다. 이상하지. 너에게 상처를 줄 때면 사랑이 살아나. 나는 조용히 가슴에 두 손을 얹어보았다. 슬픔이 차오르는 것 같은 자리에. 슬픔을 감지한 사랑이 오리발을 신은 수영 선수처럼 물살을 가르는 것 같았다. 사랑 곁에는 언제나 슬픔이 있는데 나는 어쩌면 그것만을 사랑하는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 공룡의 이동경로 중 사랑의 신 편에서 / 김화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다. 사람이 많은 길거리에서 아이의 손을 놓쳤다가 다시 잡은 부모가, 아이의 엉덩이를 두어 대 때리고 인상을 깊이 쓴다. 아이의 손을 잡고 있는데도, 걷다가 자꾸만 뒤돌아 아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 그게 사랑이라는 글을 말이다. 확실한 건 사랑의 곁에는 슬픔이 한 60%쯤, 행복이 한 30%쯤? 그리고 나머지 요상한 감정들이 ‘기타’ 항목으로 10%를 채우는 것 같다.


요즘 내가 가장 크게 사랑을 느끼는 순간은, 사랑하는 이가 깊은 잠에 들었을 때다. 가만히 눈을 감고 무방비하게 자고 있는 그 모습을 보면 가슴에 묵직한 돌 하나가 도르르르 굴러와 톡 하고 박히는 것 같다. 사랑스러운 건 아니고, 그렇다고 보기에 좋은 것도 아닌데, 마냥 마음이 꽃밭인 것도 아닌데,,, 어딘가 말로 설명하기 힘든 감정이 뭉쳐 돌이 된다. 그 돌은 도르르르,,, 쾅! 도 아니고 조심스럽게 도르르르 굴러와 톡 박히는 기분이다. 이상하다. 사랑은 뭘까.


사랑은 뭘까?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아플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