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원용 Oct 14. 2020

마스크 뒤편의 입으로 부르는 이름.

나의 코로나 9월

코로나19와 함께 하게 된 계절이 쌓여갑니다. 가을의 문지방 앞에 가까워지는 모양새가 아직은 멋쩍은 9월입니다. 코로나19가 잡기 싫은 손을 놓지 않고 있으니 왠지 여유가 없고 무언가 뺏긴 듯한 기분이 드는 게 유별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저에게 9월은 어딘가 분기점 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그것은 입추가 적당히 지난 시점이기도 하고 생일이 껴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올해 생일에는 조금은 특별한 전야를 보냈습니다. 바로 김희준 시인의 시를 낭독하는 자리에 간 것입니다. 낭독회는 아무래도 코로나19로 인해 조심스러운 상황이니 소수의 인원으로 이뤄졌습니다. 그의 첫 시집이었기에 시인과 시를 제대로 이해하고 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시인의 육성을 들을 순 없었지만 그가 우리의 낭독을 듣고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시인의 죽음을 애달아하고 비통해하기보다는 생전의 그와 같은 열도를 지닌 시집을 한 글자씩, 한 단어씩, 한 문장씩 읊어보는 자리이자 느슨하게 얽힌 기억 속에서 시인을 더 뚜렷하게 위치시켜보는 시도였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게 다행이라고도 생각했습니다. 아무도 모르게 시인의 이름과 시를 작게 읊조릴 수 있으니까. 이처럼 요즘도 때때로 다시 불러보는 이름이 있습니다.

     

생일날에는 엄마와 나, 누나와 막내 단이가 함께 김밥 두 줄을 포장해 주말의 도로로 나섰습니다. 한참을 달려 산의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가 도착한 곳에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아마 추석을 앞둔 주였기 때문이겠죠. 아빠는 변함없이 그 자리, 그 칸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빠를 만나기 위해서 밟는 단계는 조금 길어졌습니다. 줄을 서서 예약자 명단을 확인받고, 체온을 재고, QR코드를 찍고 들어가야 했습니다. 아빠가 여기 말고 내 옆에 있었다면 생각해보기도 하고 차라리 산소(山所)가 있으면 어땠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그러면 아빠의 등을 안아볼 수도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벌초할 때 제초기가 풀을 베면 나는 냄새가 어쩐지 풀의 비명 같기도 하여 그 생각도 그만둡니다. 아빠를 작은 창밖에서 바라보며 눈인사와 마스크처럼 갇힌 말을 나눕니다.    

 

납골당을 나오면 앞에 있는 수목장이 보입니다. 이제 막 허리를 펴보려는 어린나무도 있고(그건 세상을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얘기이기도 할 테죠. 이곳을 떠난 사람들이 두고 간 시간이 길어질수록 나무의 생명은 더 뚜렷해지는 건 왠지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고개를 한참 들어야 눈 마주칠 수 있는 나무도 있습니다. 그 여리거나 우직한 흔적들 뒤로 산등성이 곳곳에 발그레한 반점이 옅게 눈에 띕니다. 마스크 뒤편의 입으로 어떤 이름들을 불러봅니다. 대개는 이곳에 없는 사람들을. 엄마도, 누나도, 단이도 모르게.     

 

가을이 접어들고 있었습니다.

이전 21화 영향력을 논하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