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학이시습지불역열호 <난 무서운 늑대라구!> <책 먹는 여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는다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논어>의 제일 첫 장, <학이>편에 나오는 글귀로 공자 학습관의 기본이다. 이중 내 마음을 울린 글귀는 說(열)과 樂(락)이다. 說(열)은 悅(열)과 같은 뜻으로 기쁘다는 뜻으로 썼고, 樂(락)은 즐겁다는 의미다. 공자는 배움에 있어 說(열)과 樂(락)을 구분해서 말하고 있다.
배우는 것은 기쁜 일이다. 배움에는 여러가지 희열이 존재한다. 그중에 공자는 '기쁨'을 제일 먼저 논하고 있다.
몰랐던 것을 알게 되는 기쁨,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기쁨이 이에 포함될 것이다. 하지만 배움은 단순한 앎에 그치지 않는다. 공자의 배움은 時習之(시습지), 수시로 익혀서 나의 습관으로 만드는 것까지를 말한다. 내 것이 되어 내 안에서 스스럼없이 나오지 않으면 곱씹거나 되살려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가 없다. 그래서 선조들은 무조건 암송하여 체득하는 방법을 썼다. 비판하기 이전에 내 것으로 만들어버린다. 그러면 살면서 순간순간 계속해서 그것이 불거져 나온다. 나의 삶과 습관 속에 살아있을 때 비로소 삶과 지식이 일치가 된다. 그렇게 내가 배우고 익힌 것이 나의 것이 되어 내 안에 살아있을 때, 배움의 보람이 느껴진다. 그것이 또한 다른 나의 경험과 삶과 연결되어 확장되면 더 큰 기쁨이 생긴다.
멀리서부터 친구가 찾아오니 이것은 즐거운 일이다.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공부가 첫 번째라면, 그 다음은 주변과 함께 하는 공부이다. 혼자 깨닫고 익히는 것을 나누는 단계다. 이렇게 나누면서 함께 하는 공부는 즐겁다. 벗, 동료, 교우와 서로의 의견을 나누면서, 몰랐던 것을 알아가고 가능한 다양한 해석을 꺼내가며 토론한다. 이때는 기쁨보다는 즐거움이 생긴다. 독서토론을 할 때마다 나도 느낀다. 토론하며 함께 읽는 책은, 토론에 참여한 사람의 수만큼의 배움의 크기가 확장된다. 내가 생각지 못한 것을 듣고 깨우친다. 우물 안에 있던 개구리가 세상 밖에 나오는 그런 기분이 아닐까. 함께 하는 공부는 그래서 기쁨을 넘어 즐거워진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사람 사이에서 있을 때 가장 인간다워진다. 함께 하는 공부는 배움의 확장과 더불어 사람과 부딪히며 나누는 즐거움을 포함한다.
기쁨이 내면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면, 즐거움은 외면으로 표출되는 것이다. 공자는 혼자 느끼는 '기쁨'과 함께 하는 '즐거움'을 다른 성정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기쁘게 배우고, 즐겁게 논하고, 주변에서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고 스스로 배움에 집중하는 것이 바로 군자의 길이라 말한다. 爲己之學(위기지학)은 자기 스스로를 위한 학문이고, 爲人之學(위인지학)은 남들을 위한 공부이다. 공자는 자신을 위한 학문, 爲己之學(위기지학)이 진정한 공부라고 하고 있다.
남들을 위한 공부와 나를 위한 공부는 어떻게 다를까? 배움에는 정말 기쁨과 즐거움이 있을까?
늑대 한 마리가 있었다. 옛이야기에 무수히 많이 등장하는 그런 늑대 중 하나이다. 굶주리고 배고픈 늑대. 마치 보이는대로 무엇이든 잡아먹을 것 같은, 우리 마음 깊은 곳의 욕망을 대변하는 늑대이다.
어느 날, 마을 바깥에 있는 농장에서 돼지와 오리, 젖소가 책을 읽고 있는 장면을 목격한다. 늑대는 잡아먹을 듯이 잔뜩 으르렁대면서 그들에게 겁을 주지만, 그들은 책 읽는 데에 빠져 늑대를 신경쓰지 않는다.
그리고 이어지는 대화는 늑대를 변화시킨다.
"야, 너희들, 뭐가 잘못된 거 아냐? 난 무시무시한 늑대라구!"
"알아, 그러니까 다른 데 가서 무섭게 굴어. 우리는 교양 있는 동물들이야. 책 읽는데 방해하지 말고 그만 가 줘."
교양있는 동물들은 책을 읽는다는 말에 늑대는 교양있게 '배움'의 길에 뛰어든다. 늑대는 학급에서 일등을 하고 다시 농장으로 찾아가지만 동물 친구들은 여전히 책 읽는 데에만 집중한다. 다시 도서관으로 달려가는 늑대. 정말 많은 책을 읽고 다시 농장을 찾아가지만, "넌 많이 좋아졌어. 하지만 아직 멀었어."라는 말만 듣는다. 늑대는 포기하지 않는다. 스스로 책방에 가서 직접 돈을 주고 책을 사서 천천히 깊이 있게 읽는다. 늑대가 다시 농장에 나타났을 때, 늑대는 달라져 있었다. 천천히 아주 재미있게 책을 읽으면서 주변 친구들을 매료시킨다. 그리고 그들은 친구가 되어 농장에서 책을 읽으면서 즐거운 오후를 보낸다. 이후 늑대의 삶이 완전히 변했다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알 것 같다.
베키 블룸의 <난 무서운 늑대라구!>의 내용이다. 짧은 그림책이지만, 우리는 늑대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늑대의 배움은 爲人之學(위인지학)에서 시작되었다. 남들이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에서부터였다. 그러나 그것은 나를 채찍질하여 배움의 길로 인도하였고, 그 배움의 과정에서 늑대는 함께 나누는 즐거움을 먼저 깨닫는다. 남이 알아주길 바라는 공부에서, 함께 나누는 즐거움, 혼자 배우는 기쁨으로 좁혀져 간다. 그리고 나중에 그것은 오로지 늑대 스스로를 위한 공부가 되어있다.
공자의 가르침과는 반대 방향이다. 혼자 익히는 기쁨에서 나누는 즐거움 그리고 나를 위한 공부를 공자는 말하였다. 진리는 늘 한 쪽 방향에서만 오는 것은 아니다. 늑대처럼,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공부에서, 나누는 즐거움, 혼자 익히는 기쁨, 그 후에 나를 위한 공부로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우리는 늑대처럼 배움의 길을 시작하지 않을까.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공부를 시작하고, 학급에서 혹은 또래들과 그것을 토론하는 즐거움을 알아가며, 그것이 깊어져 하나씩 하나씩 나의 것이 되는 기쁨의 공부를. 어쩌면 이것이 순서대로 차례차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배움에는 각자 다른 방법과 방향이 있을테니까.
중요한 것은 배움에는 알아가고 익히는 기쁨이 있으며 함께 나누는 즐거움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배움은 남을 위하기 보다 궁극적으로 나를 위하여 이루어져 간다.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책 먹는 여우>의 주인공은 배움의 양상이 사뭇 다르다. 여우는 책을 무척 좋아했다. 책을 너무너무 좋아해 먹어버리기까지 하다가 결국 감옥에 갇히게 된다. 그곳에서 더 이상 책을 먹지 못하게 되자, 그 동안 먹었던 책을 바탕으로 글을 쓰기 시작한다. 여우의 글은 베스트셀러가 되고 여우는 감옥에서 나와 유명한 작가로 거듭난다.
이 책은 여우가 책을 도둑질해서 먹는 것과 감옥에 갇히는 것을 중심으로 내세우는 터라, 독자가 공부의 희열을 엿보기가 쉽지는 않다. 하지만 우리는 안다. 여우가 책을 마구마구 먹는 것은 배움의 기쁨에 빠진 나머지 그것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여우는 학습의 기쁨을 너무나 잘 알았을 것이다. 계속해서 먹지 않으면 공허해지는 그 마음. 공부와 책을 곁에 두지 않으면 먹은 것 같지 않고 살아있는 것 같지 않은 그 기분. 안 먹어보면 몰라도 한 번 먹으면 계속해서 먹게 되는 그런 매력적인 맛이다.
그러한 여우의 공부는 글로 표현되어 다른 이들과 함께 나누는 즐거움으로 연결된다. 훌륭한 예술가이자 존경받는 작가가 된 여우. 그의 공부는 순전히 그 자신을 위한 것에서 시작되어 남들도 위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爲己之學(위기지학), 나를 위한 공부가 결국에는 爲人之學(위인지학), 남을 위한 공부로 연결되는 모습이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는다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공자의 학습관이 드러난 그림책들이다. 간단해보이는 그림책을 공자의 철학을 거울 삼아 다시 보는 재미가 있다. 어린이들과도 <논어>의 깊은 철학을 쉽고 즐겁게 이야기나눌 수 있다. 내가 꿈꾸는 고전서당의 모습이다. 두 그림책을 매개로 <논어>에서 말하는 '배움'의 '기쁨과 즐거움'에 대해 나눠보면 좋겠다.
나를 위한 공부이든, 남을 위한 공부이든, 그 시작은 중요하지 않다. 모든 공부는 결국 나를 위한 것으로 남을 테고, 그 과정 속에서 우리는 기쁨과 즐거움을 느낀다. 새해, 코로나로 대인관계가 줄어들고, 추위로 움츠러드는 시기. 나를 위한 공부를 하나쯤 시작해보면 어떨까. 올 한 해가 배움의 기쁨과 나눔의 즐거움으로 가득차게 될 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