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팝업스토어 준비 무엇이 가장 중할까?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까? A-Z까지 다해본 담당자의 TMI 소견

by 마음결 Dec 10. 2024

팝업스토어 준비?

그냥 오프라인에 매대 설치하고, 제품 제작하면 되는 거 아냐? 라고 생각하기에는 생각보다 많은 업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팝업스토어를 오픈하기로 결정했다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첫째, 목적/목표 정립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는 목적은 브랜드마다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브랜딩, 매출신장, 신규고객 확보 등으로 구분된다. 하나의 팝업으로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질 수도 있겠지만, 단기간 최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뾰족한 메인 목적을 가지고 이에 맞게 팝업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적과 목표에 따라 팝업의 기획 방향이 완연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장소 선정

장소 선정은 '온라인'에서 살펴보면, 메인 광고 구좌를 컨택하는 것과 동일하다. 브랜드에 맞는 최적화된 타겟이 밀집한 장소를 찾아 원하는 기간에 부킹하는 것이 필요하다. 팝업 장소는 일반적으로 장소 기간에 따른 일정 금액의 대관비가 소요되지만, 업체에서 먼저 입점 제안이 온 경우 기간 내 오프라인 트래픽과 매출 수수료를 제공하고 무료로 장소를 대관하는 방안도 있다.(장소 선정은 결과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향후 글에 자세한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셋째, 컨셉 기획

장소를 선정했다면 이제 팝업의 컨셉 기획이 필요하다. 단기간에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잘 전달하고, 고객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고려해야 한다. 컨셉에 따라 이벤트, 협업 업체, 굿즈 제작의 많은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물론 굿즈 제작이 필요 없거나 브랜드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해 별도의 컨셉이 필요 없는 예외의 경우가 있을 있다. 그러나 하루에도 수십 개씩 새롭게 쏟아지는 팝업 시장에서 방문객의 발걸음과 만족도를 잡아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브랜드만의 매력적인 컨셉이 필요할 것이다.

매력적인 컨셉은 분야가 전혀 다른 브랜드를 하나로 묶어 협업하도록 돕기도 한다. 실제로 우리 브랜드는 F&B와 전혀 관련 없는 IP웹툰 콘텐츠를 소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당 컨셉으로 팝업을 기획했기 때문에 F&B 브랜드와 함께 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협업을 진행한 브랜드도 이와 같은 컨셉의 방향에 동의했기 때문에 이벤트 기획, DP, 시공 등의 모든 단계에서 콘셉트를 불어넣은 협업을 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콘셉트는 방문객들에게 재미요소로 작용해. 전혀 어울리지 않는 두 개의 브랜드의 만남을 경험한 고객에게 "잘 어울린다"라는 현장 평가로 이어지기도 했다.










작가의 이전글 우리 브랜드는 누구를 도울 것인가?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