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승연 May 09. 2023

불안의 순간들

10대에 느꼈던 불안은 대부분 실없는 것들이었다. ‘어떻게 하면 덜 혼날 수 있을까’, ‘실수로 집에 있는 물건이 망가졌는데 이걸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라는 것부터, ‘친구가 화를 빨리 풀었으면 좋겠는데’, ‘좋은 대학에 갈 수 있을까’ 등 내 나름의 진지한 문제들까지 대충 이런 것들이었다. 그러나 당시에 느낀 불안은 긴장에 더 가까운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불안'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가까이, 자주 왔으며 내 몸에 지장을 주기까지 했다. 불안함을 느끼는 순간 심장이 빠르게 뛰었고 집중력이 떨어졌으며 잠을 설치기 일쑤였다. 어떨 때는 내가 원하는 방향과 정반대로 상황이 벌어지는 꿈을 꾸기도 했다. 이처럼 불안함을 느낀다는 건 나 자신을 갉아먹는 일이기도 하다. 이제는 불안이 크기가 다를 뿐 중요한 일에서 점점 사소한 일로 번져갔다.


 책 사이에 책갈피를 꽂아두는 일. 나에게 책갈피는 있어도 없어도 불안한 물건이다. 책갈피는 책을 애써 구기거나 표시를 하려고 낙서를 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이 좋은 물건을 두고 나는 종종 불안을 느끼곤 한다. 내 급한 성격 탓에 책을 ‘휙!’ 하고 들었는데 바람과 힘에 의해 책갈피가 빠져나올 수도 있고, 책을 읽으려고 책갈피를 뺐는데 나도 모르게 손에 힘이 풀려 책이 접혀버린다면 나는 내가 읽은 곳을 애써 기억해내야 한다. 그리고 아무 생각 없이 책 펼치는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들었다간 나도 모르는 사이에 책갈피가 떨어질 수도 있다.


해외여행 갔을 때 데이터 무제한 유심을 구입했음에도, 몇 번이고 내가 구입한 유심의 정보를 검색해 보면서 와이파이가 터지는 장소에서는 굳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느린) 와이파이 사용을 고집하기도 했다. 외출할 때는 또 얼마나 유난을 떠는지 모른다. 휴대폰, 지갑, 충전기, 화장품 등 챙길 것은 다 챙겼는지 가방을 뒤적거리며 수도 없이 괴롭힌다. 모르는 장소에 가는 날이면 전날 밤부터 시뮬레이션에 들어간다. 지도를 잘 보는 편이 아니라 일단 가는 법을 찾아 놓고도 로드뷰를 따라 미리 그곳에 다녀오기도 한다. 그리고 가는 법과 그 주변 지도를 캡처해서 사진첩에 저장을 하고 확인까지 해야 마음이 한결 편해진다.


나를 괴롭히는 가장 힘든 일은 중요한 일을 앞두고 일단 부정하고 보는 버릇이다. 한 마디로 ‘망치면 어떡하지’ 같은 것들이다. 예를 들어, 완벽에 가깝게 시험 준비를 했는데 시험지를 받자마자 머릿속이 하얘지는 상상을 한다. 선배에게 내가 만들어낸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때, 할 말이 없을 정도로 형편없을까 봐 전전긍긍한 적도 허다하다. 아니면 친구와 1시까지 만나기로 했는데 눈을 떠보니 1시가 훌쩍 넘었고 부재중 전화가 5통 넘게 찍혀 있다면 그 친구는 나를 다시 만나주지 않을 거다. 그렇게 나는 친구들을 잃어갈 것이다.

 

나는 아직까지도 같은 꿈을 반복해서 꾼다. 긴 여름방학을 지나 개학하는 날. 실내화, 운동화를 두고 와 맨발이 되어 있거나 기껏 해온 방학 숙제를 다 놔두고 오는 멍청한 순간들이 펼쳐진다. 그리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한 어린 나를 마주하게 된다. 잃어버리는 과정은 생략되지만 잃어버린 후 나의 불안한 모습이 적나라하게 꿈에 그려진다.


이런 사소한 불안을 넘어서 어쩌면 내가 살아가는 것 자체가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 불안함을 안고 가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도 든다. 한 때는 ‘불안하다’라는 마음이 크게 와닿지도 않았고, 그걸 깊게 느낄 만큼 세상의 많은 걸 알지도 못했다. 그리고 그만큼 열심히 살지 않았던 것 같기도 하다. 그냥 흘러가면 흘러가는 대로 나는 딱 이 정도니까, 거기에 머물렀다. 크게 욕심을 부리지 않았던 것이다.


내가 불안함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뭐가 됐든) 온전히 내 잘못이기 때문에

-아무리 잘해도 남들만큼 잘하지 못해서

-생각이 너무 많아서

-그냥 내가 문제다


하지만 아닌 것 같았다. 아니라고 하고 싶다.


매번 100만큼의 노력이나 힘을 들이진 않았겠지만 그 뒤에는 항상 잘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 상을 받진 못할지언정 칭찬 한 마디만 듣고 싶었고 결과가 완전하진 않아도 내 노력을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잘 해내고 싶었다. 그게 일이든 사람과의 관계든 나를 나타내는 모든 것들, 그게 뭐가 됐든 간에.


내가 지금 서 있는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려는 순간, 불안은 나에게 격려를 하고 있었다. 어차피 결과가 뻔히 보이는 일들, 기대가 없는 일들에 대해서는 진작에 포기했겠지만, 그렇지 않기에 내일을 기대하며 그 속에 불안함을 품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여기서 잘못하면 안 되니까, 내 행동에 좀 더 떳떳해지기 위해 보호막을 치는 것 같은.


다시 말해, 불안의 순간들은 잘하기 위해 나와 상대방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갖는 마음 같은 거라고 생각한다. 잘하려는 순간 결과로 이어질 때까지 중심을 잡아주는 무언가가 되기도 한다. 어느 순간 불안하다는 걸 애써 부정하지 않기로 했다. 물론 좋은 결과만 가져다주는 건 아니었지만 반대로 부정적인 결과만 가져다주는 것도 아니니까. 불안하다는 것은 결코 위태롭다는 신호가 아니다.


불안은 ‘잘 해내기 위해 견뎌내야 하는 일종의 심리적 압박감’ 같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작가의 이전글 2017년 메모장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