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n Lee Dec 13. 2023

Broken Window Theory

깨진 유리창 이론

어느 날, 회사의 나의 옆자리 동료가 '깨진 유리창 이론'이 UX디자인에 어떻게 적용, 또는 작용하는지 글을 써보는 건 어때요? 라며 제안을 해왔다....  

너무 유명한 이론 중 하나이고, 이미 여러 미디어나 전문가들에게서 흔하게 거론되는 이론이라 따로 글을 써볼 생각을 않고 있다가.. 얼마 전 'IT의 중심 실리콘밸리, 도시 붕괴 시작되었나'라는 기사 아티클을 보며, 개인적으로  영원할 것 같던 실리콘 벨리가 이렇게 된 건 깨진 유리창 이론의 아주 적합한 예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의 생각을 글로 정리해 보기로 결정하였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너무 유명한 이론이라 따로 설명은 안 하려고 한다. 


깨진 유리창 이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7047&cid=58345&categoryId=58345

https://vanschneider.com/blog/the-broken-window-theory/


깨진 유리창 이론은 작은 문제에 대한 주의와 조치가 전체적인 시스템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작은 문제를 무시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전반적인 사회 안전과 안정을 유지하고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론이다. 


디자인은 물론 범죄, 도시계획, 교육, 경제, 노동, 환경, 사회등의 전분야에 적용이 되는데, 작은 범죄, 문제, 또는 불량이 무시되면 나비효과처럼 그 사소한 것이 전체에 까지 안 좋은 영향을 준다.


이전에 소개했던 인지 편향 휴레스틱이나, 대표성 휴레스틱과 맞닿아 있는 우리 인간의 쉽게 착각하는 심리이다.  


얼마 전 인터넷으로 재미있는 시각적 착각을 일으키는 이미지를 보았다. 

위 이미지에서 노란색 원이 보이는가? 

그러나, 확대해서 노란 원 부분을 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노란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이렇게 쉽게 착각하는 존재이다. 

우린 어느 빌딩의 깨진 유리창 하나만 보고도 도시 전체가 위험하거나, 질서가 무너진 곳으로 착각할 수 있는 존재이다. 


깨진 유리창 이론의 예시

https://study.com/learn/lesson/broken-window-theory.html


뉴욕

1990년대 초, NYC 경찰청장 William Bratton과 시장 Rudolph Giuliani는 "삶의 질 이니셔티브"라고 불리는 유지 관리 및 치안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만들었다. 이 계획에는 깨진 유리창 이론을 접목해 도시의 물리적 피해를 복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경범죄에 대해 무관용 정책을 적용했다.


특히 뉴욕에서 깨진 유리창 단속의 중요한 요소는 경범죄 체포를 공격적으로 추구하는 것이었습니다. 경찰은 이전에 탁상 딱지로 발행되었던 위반 행위(배회, 공공장소에서 마리화나 흡연, 낙서 뿌리기, 무면허 클럽에서 춤추기, 비과세 담배 판매, 개찰구 점프 등)로 사람들을 체포하고 투옥함으로써 사회 질서를 추구하였고, 처음 2년 동안 뉴욕시에서 경범죄 체포 건수는 두 배 이상 늘었고 주요 범죄율은 일부 범주에서 최대 50%까지 크게 감소했다.

뉴욕에선, 지하철의 무임승차만 단속해도 지하철 내의 그라피티, 강도, 살인등의 범죄도 줄이는 효과를 보았다. 


앨버커키

1996년에 뉴멕시코 주 앨버커키의 경찰과 주민들은 범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로 난폭운전과 같은 교통 관련 문제가 증가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들은 교통 범죄율이 높은 도시 지역에 집중했습니다. 경찰관 순찰을 늘리고 음주운전과 과속을 단속했다. 분석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자동차 충돌 건수를 줄임으로써 프로그램이 시행된 첫 해 동안 살인, 강간, 강도 등의 폭력 범죄가 5%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로웰

매사추세츠 주 로웰의 연구원들은 뉴욕과 앨버커키에서 깨진 유리창 단속의 명백한 성공에 주목하여 2005년에 이 이론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로웰에서 범죄율이 높은 34개 지역을 확인한 후 깨진 유리창 이론의 개념을 이 지역 중 절반에 적용하여 청소, 가로등 수리, 낙서 제거 등을 통해 해당 지역을 전반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더 많은 사회적 지원을 제공하고 경범죄에 대해 무관용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연구를 위한 통제 그룹을 만들기 위해 위치의 나머지 절반에는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경범죄 검거 건수를 늘리는 것보다 물리적 손상을 청소하고 공공장소를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깨진 유리창 이론을 적용한 동네에서는 전체 범죄율이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지난 몇 년간 실리콘 벨리의 중 범죄율의 증가는 사소하게 생각했던 작은 범죄나 잘못들이 눈뭉치처럼 부풀어 난 것이라 생각한다.  

실리콘 벨리는 지역 특성상 IT 스타트업 문화와 히피 문화, 그리고 진보적인 성향으로 미국에서 ‘관용’의 상징으로 통한다. 2004년 동성애 부부에게 결혼 증명서를 발급해 줬고, 2014년엔 950달러(약 120만원) 이하 절도는 경범죄로 취급해 기소하지 않는 법안이 통과됐다. 2019년에는 경찰과 정부 기관들의 안면인식 기술 사용을 미국 최초로 금지했다. 

이렇게 처벌받지 않거나 가벼운 처벌을 받는 실리콘 벨리의 작은 경범죄들은 도시의 깨진 유리창들을 증가시켰고, 지금의 헤로인, 코카인 등의 마약으로 몰락하고 있는 도시를 만들어 버린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5마리 원숭이 실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