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피도리 Dec 14. 2020

영어문법에 대한 고찰(Have to, must)

둘 다 의무(Obligation) 를 나타낸다.

우리는 'have to', 'must', 'can', 'should', 'may', 'will' 등을 조동사(modal verb) 라고 부른다. 글자 그대로 동사를 도와주는 품사이다. 그리고, 모든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원형(bare infinitive) 이 위치한다. 

다음 각 예문들의 의미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면, 이미 'have to' 와 'must' 가 나타내는 의미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You must wear your seat belt.

(당신은 반드시 벨트를 매야해요)


You have to wear your seat belt.

(당신은 벨트를 매야해요)


You mustn't wear your seat belt.

(당신은 반드시 벨트를 매면 안 돼요)


You don't have to wear your seat belt.

(당신은 벨트를 굳이 멜 필요는 없어요)



의무적인 것 VS 자발적인 것


위 4개의 예문을 들여다보면, 위에서부터 세 번째 문장까지는 의무적인 행동을 나태내고 있다. 하지만, 맨 아래 문장은, 자발적인 행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의무적인 것과 자발적인 것을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기준으로 나누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이건 의무고 저건 자발적인 것이니 이럴 때 'have to' 를 사용하고, 저럴 때 'must' 를 사용해야 한다는 식의 접근은 실제 사용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의무적이라 함은, 강제성이 포함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책임이 포함되어 있다. 


I don't want to, but I have to go to my friend's wedding. 

(나 안 가고 싶긴 한데, 어찌 되었든 친구 결혼식에 가야 돼)


You must stop smoking here. 

(너 여기서 담배 피우면 안 돼)


Children mustn't go to the swimming pool without their parents. 

(어린아이들은 부모들과 함께하지 않으면 수영장에 출입할 수 없다)


자발적인 것이라 함은,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He said you could use this restaurant, but you don't have to if you want to go to the other restaurant.

(그가 여기 레스토랑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긴 했는데, 너 다른 식당에 가고 싶으면, 여기 굳이 안 가도 돼)


We usually have coffee after lunch, but you don't have to come with us.

(우린 통상 점심 먹고 커피 마시러 가긴 하는데 혹시라도 원치 않으면 굳이 안 와도 돼)


한국말로 대화할 때도 참 많이 쓰는 표현 중에 하나이다. 우리는 정말 공손하고 예의 바르기 때문에 매번 상대방의 의사표현에 대해 궁금해하고, 거기에 맞춰주려는 경향이 많다. 이는 영어를 구사할 때도 비슷하게 나타낸다. 예를 들면,


I am about to go the market, I am just asking you if you want to come with me, but you don't have to go if you are busy.

(나 지금 시장에 갈 건데, 같이 갈래? 그냥 묻는 거야. 너 바쁘면 굳이 신경 안 써도 돼, 혼자도 갈 수 있으니깐)


의무라고 해도 다 같은 의무가 아니다

Internal obligation VS external obligation                                                


'Have to' 도 의무를 의미하고, 'must' 도 의무를 의미한다. 그럼 똑같은 것인가? 대답은, 아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기로는, 'must' 는 무조건 해야만 하는 의무를 나타내고, 'have to' 는 다소 완곡한 의무를 나타낸다. 물론 틀린 말을 아니다. 하지만,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설명이 다소 부족할 수 있다.


'Must' 는 internal 의무일 때 사용한다. 

'Internal' 은 '내부' 라는 의미를 뜻한다. 굳이, 우리나라말로, 내부의무라고 하기에는 어색하기 때문에, Internal obligation 으로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여기서 'internal' 은 'personal' 이라고 간주해도 무방하다. 즉,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아주 개인적 기준의 의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의무는 내가 따라도 되고, 따르지 않아도 전혀 상관없다. 


You must listen to me. 

(너 내 말 들어야 돼)

* 난 듣지 않아도 된다. 내 마음이기 때문이다. 


You must exercise every day if you want to recover.

(너 회복하고 싶으면, 매일 운동해야 돼)

*난 듣지 않아도 된다. 왜냐면, 그건 상대방 생각이기 때문이다. 나만의 회복하는 방법이 따로 있다.


그렇다면 'have to'의 의무는 어떤 의무일까? 바로, External obligation 이다. 외부의 어떤 권한과 연관된 규칙에 따른 의무이다. 예를 들면, 규정이라든지 부모님의 말씀 등이 포함된다. 


My parents told me that I have to exercise every day at leat for an hour.

(의사 선생님이, 나는 최소한 한 시간씩 매일 운동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


We have to follow the traffic signal.

(우리는 신호체계를 지켜야 돼, 규정이니까)


'Must' 의 용법에 대해 원어민들조차 많은 이론을 가지고 이야기한다. 

고대에 법치가 강했을 때 사용했던 단어들 중에 유일하게 남은 단어가 'must' 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든지, 'must' 는 과거를 표현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는 특이한 조동사라든지 등이다. 


하지만, 우리가 문법을 배우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문법이 실제 회화에 어떻게 적용되고 사용되고 있는지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만, 언어로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 하루쯤은, 'must' 와 'have to' 를 활용하여 반복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보는 노력을 해보는 것도 문법의 용법에 대한 느낌을 알아가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감사합니다.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